[기고]‘골든타임’을 단축시키는 ‘U-119 안심콜 서비스’ 가입하셨나요?
2021-12-02 07:45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골든타임’을 단축시키는 ‘U-119 안심콜 서비스’ 가입하셨나요?

동부소방서 남원119센터
소방사 김정호


응급상황 발생 시 출동하는 구급 대원들은 출동 중 환자의 위치와 함께 현 상태, 병력을 파악하며 출동한다. 하지만 신고자가 정확한 병력을 모르는 경우, 환자가 명확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경우 등과 같이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는 상황도 발생하게 된다. 환자의 과거 병력이나 질병 정보 등 환자 상태에 대한 파악이 수월하면 환자에게 ‘골든타임’내에 더 좋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골든타임’을 단축시켜주는 시스템이 바로 ‘U-119 안심콜 서비스’이다. ‘U-119 안심콜 서비스’는 임산부나 노약자, 독거노인, 장애인과 같은 재난취약계층 또는 심장질환, 천식 등 급성으로 환자의 상태가 악화될 가능성이 있는 중증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질병 정보를 등록해 응급처치 및 이송병원 선정 등 신속한 구급활동을 도와주는 서비스다. 응급상황 발생 시 대응이 어려운 취약계층이 개인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입력하게 되면 응급상황 발생하여 119로 신고될 시 신고자의 특성, 질병 상황을 파악하여 맞춤형 구조‧구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해주는 ‘도우미’인 것이다.

그렇다면 ‘U-119 안심콜 서비스’를 신청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신청 방법은 119안전신고센터 홈페이지(www.119.or.kr)를 통하여 본인 또는 대리인이 서비스 대상자의 전화번호와 주소 등과 같은 개인 정보와 병력, 복용 약물, 보호자 연락처 등 필수 입력 사항을 기재하면 된다. 이때 유의해야 할 점은 응급상황 발생 시 기본 정보에 등록한 전화번호로 신고가 되어야 119에서 정보 활용이 가능하다. 홈페이지를 통해 등록이 어려운 경우 가까운 119센터 또는 소방서를 방문하여 안내를 받거나 대리인 등록 요청을 하면 된다.

‘U-119 안심콜 서비스’는 재난취약계층뿐만 아니라 질병 여부 상관없이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다. 사건‧사고는 언제 어디서든 일어날 수 있고 응급상황에서의 빠른 환자 파악은 ‘골든타임’을 줄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신과 소중한 가족을 위해 ‘U-119 안심콜 서비스’를 등록하여 안전하고 따뜻한 겨울이 되었으면 좋겠다.

No 제목 이름 날짜
3129 생활 하수 처리 방법 홍보, 도민이 더욱 체감할 수 있는 효과적 방법 마련해…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 강지훈 04-28
3128 곱을락'樂' 삼촌들 편안하우꽈~?  ×1 고경희 04-27
3127 일자리가 가져다준 행복  ×1 염옥란 04-26
3126 일상생활 사고 피해, ‘도민안전보험’으로 보상 받으세요  ×1 ×1 제주시 안전총괄과 김성수 04-26
3125 전쟁으로 주목받는 농업의 중요성  ×1 ×1 비밀글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04-25
3124 개발,무관심에 사라지는 용천수제도 개선 필요  ×1 기봉 04-25
3123 삭제 비밀글 삭제 04-22
3122 소상공인의 든든한 퇴직금 노란우산공제에 가입하세요   ×1 문원영 04-21
3121 출력제어, 분산에너지 그리고 에너지 분권  ×1 ×1 오정헌 04-21
3120 4월 22일 자전거의 날 “자전거로 제주를 지켜요!” 소중한 지구를 지키는 …  ×1 강태욱 04-20
3119 대학의 위기, 제주의 위기  ×1 원고운,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04-18
3118 [기고] 확산이 끊이지 않는 불법광고물  ×1 ×1 오라동주민센터 김건 04-18
3117 코로나19시대, 힐링 제주는 산불예방으로 부터...  ×1 도 세계유산본부 비자림관리팀장 하성현 04-13
3116 지구의 날, 한 사람의 열 걸음보다 열 사람의 한 걸음부터  ×1 ×1 임지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04-12
3115 서귀포YWCA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활용한 식생활개선 교육 시민대상 교육 참…  ×2 서귀포YWCA 04-11
3114 [기고]작은 불티도 다시 보자  ×1 ×1 남원119센터 오봉근 04-10
3113 고사리 꺾을 땐 함께가요  ×1 ×1 양희진 04-06
3112 일회용품 없는 제주, 미래 세대를 위한 약속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고민희 04-06
3111 어른들은 주차장을 만들겠죠  ×1 ×1 비밀글 홍라원 04-05
3110 한라산탐방로 쓰레기종류  ×1 ×1 김용훈 04-04
3109 심각해지는 미세먼지, 이제는 행동할 때!  ×1 임승현 04-02
3108 나무심기, 기후변화 대응의 시작  ×1 김은지 04-01
3107 코로나19로 늘어난 환경오염의 주범, 플라스틱 폐기물은 누구의 책임인가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민지 03-30
3106 미래를 위한 작은 실천_플로깅을 통한 환경 정화 활동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현민희 03-27
3105 비양도습지생태학교에 초대합니다.   ×1 생태교육허브물새알 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