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용기를 내어 볼까요?"
2021-06-14 16:24
김희망 (Homepage : http://)
우리, “용기를 내어볼까요?”
-플라스틱 줄이기-

SNS에서 용기내를 검색해본 적 있나요? 언뜻 보면 단순한 ‘응원’ 같지만, 이건 직접 ‘용기’를 가져가 쓰레기 없이 음식을 가져오는 실천운동을 말한다.
작년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배달이 일상화되면서 일회용품 사용이 급증했다. 더불어 '제로웨이스트(zero waste·제품 재사용을 장려하며 폐기물을 방지하는 데 초점을 맞춘 원칙)' 운동도 주목받고 있다.
최근 쓰레기 문제의 화두는 배출될 쓰레기 자체를 줄이는 것이다. SNS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제로웨이스트 챌린지’는 이런 취지에 부합하는 대표적인 운동이다. 개개인이 일상생활에서 배출하는 쓰레기를 최소화하자는 취지로, 비닐봉지와 일회용 컵 등 썩지 않는 쓰레기를 줄여 쓰레기 생산을 줄이는 생활습관을 말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선 ‘용기내 캠페인’도 확산되고 있다. 용기내 캠페인이란 다회용 용기에 음식을 포장한 뒤 사진을 찍어 SNS에 인증하는 운동이다. 코로나19 이후 환경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도 부쩍 늘어나면서 제로웨이스트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제로웨이스트 운동은 필요하지 않은 것은 소비를 거절하고(Refuse), 소비를 거절할 수 없는 것은 줄이고(Reduce), 소비하면서 거절하거나 줄이거나 더 재사용할 수 없는 것은 재활용하고(Recycle), 쓰레기로 버리는 것을 다시 쓰자(Rot)는 4R의 실천 방법이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장바구니나 에코백 쓰기, 종이 타월 대신 손수건 쓰기 등의 운동이 있다.
용기내 캠페인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들은 더 많은 부분에서도 실천하고자 하고 있다. 그중 소비자들이 가장 강력히 주장하는 것은 ‘플라스틱 없이 장보기’이다.
2019년 그린피스가 조사한 것에 따르면 대다수 소비자가 대형마트의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이 과도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마트 상품의 경우 이미 비닐과 플라스틱으로 포장되어 소비자들이 선택권이 없이 불필요한 플라스틱까지 구매하게 되고, 쓰레기 처리는 오로지 소비자의 몫이 되기 때문이다.
우리는 코로나 19로 인하여 건강과 평범한 일상 등 많은 것을 잃었다. 여기에 환경까지 잃게 된다면 코로나를 극복하더라도 인류의 미래는 밝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소비자 개인의 실천뿐만 아니라 정부의 규제와 정책, 기업의 문화 선도 등 모두가 함께해야 할 것이다. 당장의 환경을 바꿀 수는 없지만 제로웨이스트를 향한 나의 작은 실천들이 모이면 변화가 찾아온다는 믿음을 갖고 동참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김희망,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No 제목 이름 날짜
3057 나눔과꿈 알약프로젝트 사업보고회 진행  ×1 비밀글 서부종합사회복지관 12-21
3056 영어잘하기~, 내건강지키기~ 유익한 12-20
3055 한 학기 환경정책학 강의를 마무리하며..  ×1 고기봉 12-18
3054 서귀포YWCA ‘서귀포시MZ세대를 위한 청년토크콘서트’ 개최  ×1 서귀포YWCA 12-17
3053 서귀포YWCA ‘서귀포시MZ세대를 위한 청년토크콘서트’ 참가자모집  ×1 서귀포YWCA 12-15
3052 신호등 없는 횡단보도, 어린이들의 안전은?  ×1 신성여자중학교 이다현 12-15
3051 서귀포시장애인종합복지관, 행복설계사례관리사업 성과보고 및 사례발표…  ×1 ×1 최예진 12-13
3050 국민건강보험공단제주지사 (사)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에 성금 전달  ×1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12-13
3049 우리들의 추억의 장소 탐라문화광장, 앞으로의 모습은?  ×1 양지혜 12-10
3048 소통과 공감으로 하나되는  ×1 제주대 12-10
3047 안전이 보장되는 특수교육의 필요성  ×1 강권식 12-09
3046 [기고] 뇌졸중 치료는 시간이 금이다  ×1 ×1 노형119센터 소방사 김주원 12-08
3045 지역 상생협력 및 발전을 위한 「제주지역 산학 취업매칭 간담회」실시  ×1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제주본부 12-07
3044 헌법 제35조 제1항 환경권을 아십니까?  ×1 ×1 제주특별자치도 자원순환관리팀장 정근식 12-07
3043 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생활지원’ 실시  ×1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12-06
3042 환경보전기여금, 더 이상 미적 대서는 안 된다.  ×1 김소언 12-06
3041 벌써 12월, 한 해를 돌아보니  ×1 서귀포시 12-06
3040 전파분야 인재육성을 위한 전파측정 기술교육 특강  ×1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제주본부 12-04
3039 야간학교 “동려”와 함께하는 전자파 예방교육 실시  ×1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제주본부 12-04
3038 담장  ×1 ×1 강현윤 12-04
3037 [기고]‘골든타임’을 단축시키는 ‘U-119 안심콜 서비스’ 가입하셨나요?  ×1 ×1 남원119센터 소방사 김정호 12-02
3036 제주60+교육센터(용담), 인형극단 양성과정 교육실시  ×1 사단법인느영나영복지공동체 11-30
3035 그린뉴딜 정책과 노인일자리가 갈 방향  ×1 강동현 11-29
3034 뇌졸중 치료는 시간이 금이다  ×1 ×1 노형119센터 소방사 김주원 11-28
3033 백세인생의 고백  ×1 김병언 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