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되는 사회적 폭력 이대로 괜찮을까
2021-05-28 16:21
|
||||
---|---|---|---|---|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산아 (Homepage : http://)
|
||||
마찬가지로 2020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채정호 교수 역시 성 착취물을 구매하려 했다는 억울한 누명을 쓰고 알지도 못하는 수 백 수 천명의 사람들에게 비난의 눈초리를 받았다. 그는 적극적으로 누명을 벗기 위해 노력했고 결국 아무런 잘못도 없음이 드러났지만 그것이 그에게 가한 수백의 비난이 잘못없다 하진 못할것이다. 위 사건들의 공통점은 폭로의 대상자들이 공식적인 사법절차에 의해 유죄 - 무죄의 판결을 받고 그에 관한 비판을 받은게 아닌 디지털 교도소라는 개인의 사적제재를 목적으로 한 사이트로 인하여 피해를 받았다는 것이다. 저 사건의 피해자들 모두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가장 큰 문제점이 바로 판결 이전부터 가해진 사회적, 집단적 폭행이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에 발생한 한강 의대생 실종 사건에서 이런 사회적 폭행은 여전히 자행되고 있다. 사망한 손정민씨의 친구 A씨는 손정민씨가 실종된 그날 수상한 정황을 보였다. 하지만 그 수상한 정황이 그에게 가해지는 수많은 사회적 폭력의 근거가 될 수는 없다. 친구 A씨가 나중에 범인으로 특정되고 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지금은 아니다. 지금의 그는 사회의 여느 학생과 다를바 없는 생활을 누릴 권리가 있고 그 누구의 압박 없이 그런 생활을 누려야한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친구 A씨와 그의 아버지로 추정되는 인물들의 신상이 온라인 상에 유포됐고 아버지가 운영한다고 알려진 병원에 악플을 남기고 별점 1점을 주는 등의 사회적인 폭력이 가해지고 있으며 친구 A씨의 친구가 5월 12일 A씨는 현제 정신이 완전히 무너진 상태로 이민까지 고려중이라며 과열된 네티즌들을 비판하는 글을 남긴바 있다. 작금의 세태는 더이상 간과해도 될 상황이 아니다. 온라인에서 가해지는 사회적인 폭력들은 이미 무고한 희생자들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심지어 목숨을 잃는 피해자들도 발생하고 있다. 지금의 상황을 바라보면 부화뇌동이라는 말이 떠오른다. 남들도 욕하기에 자신들도 욕하는 현 사회가 그런 분노의 굴레에 빠져든것만 같다. 하루라도 빨리 이 사회가 이런 굴레를 끊고 화합의 한발을 내딛으면 어떨까. |
|
민주노총 제주 “290원 찔끔 인상, 최저임금 취지…
제철 지역 농축산물 할인... 제주농협, 14일 직거…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5년 7월 11일 제주뉴스
제주 하논 분화구 핵심구역 사유지 매입 본격 착…
시민단체 “추자해상풍력, 도내 신재생에너지 …
제주여름 별미 ‘한치’ 사라졌다.. “고수온 서…
이 대통령 문체장관 후보 최휘영·국토장관 김윤…
추자해상풍력 공모 시작했는데… 해상 경계 여…
한지 위에 새긴 삶… 박철 작가 회고전 '흔적의 …
[문화쪽지] 드로잉으로 그린 '청춘의 단면' …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