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제주, 도시 숲과 공원이 답이다.
2021-05-24 12:40
송민주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나무 한그루 심는 마음
소음이나 혼잡을 벗어나기 위하여 조용하고 한적한 숲을 찾는 도심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요즘 오름이나 숲, 도심의 외각 지역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도심을 떠나 자연을 느끼기 위해서 캠핑, 글램핑이 유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미세먼지가 세계보건기구 환경 기준으로 어린이 같은 민감군에게 유해한 영향을 주는 나쁜 수준에 해당되고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신선한 공기에 갈증을 느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해주는 숲을 찾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숲은 우리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주고 여가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준다. 도심에 있다가 숲에 가면 편안해지는 느낌을 한번쯤은 누구나 느껴봤을 것이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숲속을 하루에 한번 씩 가는 교육공간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산림청 숲 학교는 숲 속안에 쓰레기를 재활용하여 악기를 만들거나 장난감으로 만들어 아이들의 숲에 가는 것을 즐기면서 환경 교육 활동으로도 쓰인다.
제주도에서는 서귀포시 월드컵경기장 살내에 식물 정원 조성 사업추진 및 학교 주변에 녹지 공간을 만들어 아이들에게 상쾌한 통학로를 제공해 준다고 한다.
올해 새롭게 추진하는 사업으로 새서귀포초, 창천초, 서호초 3개교가 선정되고 어도초, 대정중 등 4개교에서는 학교 숲이 조정된다고 한다.
또한‘숲 속의 제주 만들기 500만 그루 나무심기’사업을 실시하여 매년 100그루 나무 심기를 추진하고 있다.
도시 숲은 외곽의 맑고 시원한 공기를 도심으로 끌어들이는 도시 바람 길을 조성하여 열섬현상을 방지하고 나무를 심음으로서 공기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줄여준다.
제주특별자치도는‘도심 내 나무 심을 짜투리 땅 찾기 공모’를 지난 2월28일 진행하였다.
조그만 짜투리 땅에라도 꽃이나 나무를 심어 나만의 휴식공간을 마련하는 것은 누구나 한 번쯤 꿈꿔봤음직한 일이다.
관심 있는 도민은 나무 심을 장소와 신청사유를 기재하여 관할 공원녹과로 응모 신청이 가능하고, 자세한 사항은 제주도청 홈페이지 공고문을 참고하거나 관할 공원녹지과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지난해는 너나 할 것 없이 코로나19로 모든 사람의 일상이 바뀌었다. 우리 주변에 숲을 조성하기 위해 청정 제주도를 만드는데 도민이 함께 참여하여 힘을 보태야한다.
지구온난화와 코로나 시대에 사는 우리는 후대를 위해 도시 숲과 공원을 더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우리 도민들의 관심과 노력이 가장 필요하다. 집콕 시대에 지루한 일상에서 옥상에 공원을 만들어보거나 식물을 가꾸는 취미를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요?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1학년 송민주

No 제목 이름 날짜
2966 청소년이 스스로 만들어가는 '자율동아리'  ×1 우리동네지역아동센터 07-26
2965 함께 하면 행복해요!  ×1 고기봉 07-19
2964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도서산간 거주 신장장애인들에게 찾아가…  ×2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07-19
2963 이팔청춘실버학당, 한림읍 신청사 개소 식전공연 참여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7-13
2962 친환경 전기농사의 모습  ×1 ×1 비밀글 강용권 06-29
2961 한라일보의 불법도촬 고경찬 06-28
2960 서부종합사회복지관과 함께하는 다문화학교, 제주어도 배우고 다문화도 알…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6-24
2959 사회적 건강을 위한 백신 '치유농업'  ×1 고기봉 06-24
2958 아파트 단지 내 소방출동로를 열어 주세요!  ×1 ×1 화북여성의용소방대장 오춘희 06-23
2957 탄소중립을 위한 자전거 페달을 밟아요!  ×1 김희연 06-22
2956 연동119센터 기고문 1초와의 사투  ×1 임찬식 06-18
2955 1초와의 사투  ×1 ×1 연동119센터 06-17
2954 “다문화가정 자녀가 겪는 어려움”  ×1 비밀글 위연주 06-16
2953 제주도 교통문제의 새로운 패러다임, 공공자전거  ×1 비밀글 현도연 06-14
2952 우리, "용기를 내어 볼까요?" 김희망 06-14
2951 (기고)도민이 꿈꾸는 쓰레기 걱정없는 제주  ×1 이희남 06-14
2950 환경차 전환 탄소중립 사회의 주춧돌  ×1 비밀글 고기봉 06-13
2949 코로나19와 환경교육 - '코로나'로부터 환경을 지키자  ×1 고수아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06-13
2948 [기고] 작은 실천으로 줄일 수 있는 의료폐기물  ×1 진수빈 06-13
2947 환경 보호, 지금 우리에겐 선택 사항이 아닌 필수 사항  ×1 강채연 06-12
2946 그린 투어리즘과 6차 산업, 제주 도약 발판 마련  ×1 양인헌 06-10
2945 코로나19로 인해 일회용품 사용량 늘어나  ×1 백지원(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9
2944 후안무치  ×1 강방수 06-09
2943 탄소중립시대에 우리는  ×1 양현정 06-09
2942 도로 위에 무법자 전동퀵보드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고아라 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