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앞당긴 쓰레기 대란
2020-12-30 11:36
고기봉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코로나19가 앞당긴 쓰레기 대란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개인의식 필요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감염에 대한 우려로 외부 접촉을 피하는 ‘언택트(untact) 소비(온라인 유통업체, 택배, 배달음식 등)’로 일회용품 사용량이 급증했다. 온 국민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생활하는 것이 일상화돼버린 상황에서 당장 매일 쓰고 버리는 일회용 마스크만 해도 아마 그 양이 어마어마할 것이다.일회용 마스크는 부직포와 콧대를 고정해 주는 철사, 마스크 풀림을 방지해 주는 플라스틱 연결고리, 고무줄 등으로 구성돼 있지만 마스크는 재활용품 분리배출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쓰레기 종량제 봉투로 배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막대한 양의 일회용 마스크들이 종량제 봉투에 담겨 버려지고 있으며, 이를 소각하는 과정에서 플라스틱과 철사 등은 대기오염 물질은 물론 인체에 해로운 물질 역시 발생시킨다.또한 일회용품 줄이기를 위해 시행했던 커피 전문점 등에서의 일회용품 사용 금지 정책이 완화됨에 따라 플라스틱 테이크아웃 컵과 빨대 등의 사용량 역시 크게 증가했다. 일부 프랜차이즈 매장은 다회용 컵 사용 중단을 넘어서 감염 차단을 위해 개인 텀블러 등의 사용을 금지하기도 했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일회용품 사용 정책 완화가 지속되면 앞으로도 플라스틱 컵 등의 사용량 역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한편 일회용품 폐기물 발생량을 줄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쉽지 않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감염 위험성이 있는 다회용 용기를 꺼리는 소비자들의 목소리로 인해 코로나 19 이전까지 사용이 금지됐던 카페와 식당에서도 일회용품 사용을 재개 하면서 그 동안 자리 잡았던 친환경 제도가 무너질 위기라는 평가가 나오는 실정이다. 
이에 코로나19의 장기화와 함께 감염 예방 대책은 물론 쓰레기 문제에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가적인 차원의 강력한 정책보다 중요한 것은 바로 개인의 인지와 노력이다. 
우리는 일회용품의 사용을 줄이려고 노력하고, 올바른 쓰레기 분리배출과 배달 음식 줄이기 등으로 쓰레기 문제를 완화하는 데 동참해야 할 것이다. 코로나19가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는 것처럼 이로 발생하는 쓰레기로 인한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 역시 인류에 심각한 위협이라는 것을 우리 모두 인식해야 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재활용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과 규제에 참여하는 자주 시민의 자세가 필요하다. 코로나19 사태로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쓰레기 팬데믹’ 해결을 위한 메시지로 생각하기 바란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시간강사 고기봉

No 제목 이름 날짜
3739 (기고문)6월 자동차세, 연납 신청으로 절세하기  ×1 ×1 비밀글 애월읍사무소 이다온 06-07
3738 제주 바다를 우리 손으로 보호하자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현주환 06-05
3737 호국영웅 제주마(馬), “레클리스”를 기억하자!  ×1 한국마사회 제주본부 06-05
3736 향군 여성회 봉사활동 "영웅과 함께 고고고"  ×2 제주도향군 06-04
3735 제주의 숨겨진 보물, 올레길의 현실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오승민 06-04
373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5월 청소년의 달’ 참여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5-31
3733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은 우리의 선택  ×1 ×1 비밀글 전윤경(농협경주교육원 교수) 05-29
3732 [기고] 세계 환경의 날을 맞이하여  ×1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미경 05-28
3731 서귀포시정방라이온스클럽,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1 양정은 05-27
3730 천혜의 섬, 제주 지오브랜드를 통해 힐링을 떠나자!  ×1 박선웅 05-26
3729 바다의 날을 아시나요!  ×1 김예 05-26
3728 전쟁, 기후위기 그리고 식량안보  ×1 비밀글 김종우 05-24
3727 식품안전, 더운 여름 특히 유의해야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재원 05-24
3726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노인일자리 참여자 문화체험활동 실시 …  ×1 강은희 05-23
3725 APEC유치는 제주청년부터 나서야 한다  ×1 이성재 05-20
3724 탄소제로 세상을 만들기 위한 업사이클링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이민수 05-20
3723 생물다양성, 우리가 보존해야할 가치  ×1 ×1 김수연 05-20
3722 [기고] 따뜻한 봄철, 부주의로 인한 화재예방 당부  ×1 ×1 서귀포소방서 효돈119센터 임준영 05-15
3721 [기고] 막힘없는 빗물받이 만들기  ×1 장명서 05-14
3720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수료식 및 개강식 개최  ×1 양정은 05-14
3719 월 100만원의 학원비가 의미 없는 이유  ×1 강규선 05-13
3718 지속 가능한 교통 시스템의 구축  ×1 송시현 05-12
3717 기고) 봄철, 온 가족이 화재 예방으로 안전을 지키자  ×1 김민수 05-12
3716 기고) 찾아가는 현장 세무상담실 세금고민 도와준다.  ×1 고종필 05-09
3715 [기고문] 지하공간 침수를 사전대비가 필수입니다.  ×1 장명서 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