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투고) 어울림과 멀어짐으로 계획하는 김장김치 담그기
2020-11-17 15:49
유승훈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이름 : 유승훈(농협구례교육원 교수)
연락처 : 010-8612-7801

저녁 식탁에 막 담아 빛깔 좋은 김치가 반찬으로 올라왔다. 맛을 보고 장모님표 김치겠구나 생각했는데, 내 예상이 보기 좋게 빗나갔다. 아내가 직접 담은 진짜 우리집 김치였다. 사실 아내표 김치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아내는 떡볶이 맛이 나는 김치를 선보인 적이 있었다. 딸아이 시집가면 보내줄 김치가 없을 수도 있겠구나 생각했는데, 이젠 아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올해 김장을 준비해봐야겠다.

케이웨더 발표에 따르면 올해 김장하기 좋은 시기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11월 하순부터 12월 하순까지로 전망했다. 일 평균기온이 4℃ 이하이고, 일 최저기온이 0℃ 이하로 유지될 때 김장을 하면 가장 좋은 맛을 낸다고 한다. 지금 김장을 담으면 맛있는 김치를 먹을 수 있겠다.

김장재료 구입을 위해서 집근처 농협하나로마트를 방문해보니 김장채소와 돼지고기 등 농축산물에 대해 20% 할인을 해준다고 한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올해 11월 11일부터 ‘대한민국, 농활갑시다! 김장편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다고 했다. 이번 행사로 농협·대형유통업체, 온라인쇼핑몰, 친환경전문점, 로컬푸드 직매장 등 3500여개 매장에서 신선 농축산물을 20% 할인된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다. 여러모로 김치담그기 좋은 시기인 것 같다.

하지만 지금은 김치를 담그기 좋은 시기이지 이웃, 가족과 한데 어울려 김장을 하기엔 적절하지 않은 시기이다.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도 등재된 김장은 도란도란 이야기 나누며 품앗이 김치를 담그는 전통문화이다. 좋은 재료의 어울림 속에서 맛을 더하고, 이웃, 가족과 어울림을 느낄 수 있는 것이 우리네 김장문화이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장기화되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고 있는 지금은 어울림보다 멀어짐이 필요한 때이다. 가족, 이웃과 정성을 가득 담은 김치 나누기로 마음은 어울리지만, 서로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멀어짐이 절실하다.

이웃, 친지들과 함께 하는 김장은 어렵지만, 아이들과 함께 김장하는 날을 정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코로나19로 가정내 활동이 부쩍 많아진 요즘, 가족과 함께하는 김치담그기는 좋은 교육이 될 수 있다.

No 제목 이름 날짜
3993 고사리철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1 고기봉 04-18
3992 [기고] 자연재해! 준비는 지금!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안심하세요.  ×1 장명서 04-18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
3989 [기고] 내 재산은 내가 지킨다! 풍수해·지진재해보험!  ×1 장명서 04-16
3988 "제주, 가로등 불빛의 밝혀 드립니다. “한 줄기 빛으로 시작되는 안심의 …  ×1 심소연 04-14
3987 봄철 부주의 화재, 예방이 최우선!  ×1 제주소방서 외도119센터 조영수 04-14
3986 환경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다  ×1 ×1 강지상 04-11
3985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11
3984 (기고) 비밀글 박승빈 04-10
3983 전동가위 사고 주의! "안전이 수확의 시작입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4-10
3982 (기고)제주 바다를 지키는 작은 실천, 플로깅의 힘 제주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4-10
3981 불법 소각, 더 이상은 안 됩니다  ×1 ×1 아라119 센터장 김승률 04-09
3980 두 바퀴 위의 제주, 변화의 길을 찾다  ×1 오명수 04-07
3979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04
3978 [기고] 봄철 산불, “작은 부주의”가 대형 사회재난으로 이어집니다.   ×1 ×1 김지훈 04-04
3977 119구조대가 알려주는 봄철 안전하게 산행하기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4-02
3976 고사리 채취 안전수칙!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3-31
3975 서귀포시노인복지관, 고치모영봉사단 어반스케치팀 '겨울이야기25' 작품…  ×2 서귀포시노인복지관 03-27
3974 [기고] 오동통통 고사리 안전하게 따세요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3-27
3973 (기고)김 육상양식산업의 미래, 제주 염지하수가 답이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26
397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찾아가는 청소년 노동 인권 교육…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19
3971 세계 물의 날을 맞이하여  ×1 고기봉 03-15
3970 (사)제주YWCA, ‘2025 1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1 (사)제주YWCA 03-12
3969 길어진 바닷속 여름, 수산물이 사라지고 있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