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공항 여론조사를 말하다
2020-11-09 15:57
오병관 (Homepage : http://)
제2공항에 대한 여론조사를 말하다.hwp ( size : 27.50 KB / download : 8 )
제2공항에 대한 여론조사를 말하다.(1)

제2공항 성산읍추진위원장 오 병 관

포화상태인 제주공항은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 그래서 제주도와 제주도의회가 줄기차게 정부에 요청했다. 정부는 제주도의 미래 항공수요와 현공항의 확장가능성 등 모든 검토 끝에 제2공항 건설을 결정했다.

당시 정부에서는 첫째로 제주공항에 대한 확장을 검토하였으나 확장에 한계가 있고, 막대한 비용에 비해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제외시켰다. 두 번째로 검토했던 통합신공항 건설은 대규모 부지를 확보하기가 어렵고 이에 따른 오름 절취와 환경 훼손이 불가피하였다. 과다한 건설비용과 제주시 공항 인근의 지역경제 공동화를 우려하였다. 세 번째 성산 제2공항은 오름이나 동굴 훼손이 없고 환경성과 소음부분에서 다른 지역보다 가중치가 높아서 대안으로 선택했던 것이다.

정부가 우선적으로 검토해서 불가로 결정했던 제주공항에 대한 보완대책은 찬성측과 반대측의 토론회를 거쳤으나 결말을 끌어내지 못했다. 승복 없는 토론회에서 반대측은 찬성측의 논리를 뒤집거나 반박할 만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반대를 위한 억지주장과 황당한 논리로 평행선만 이어갔다.

제주공항의 활주로를 연장하는 문제는 불가능에 가깝다. 억지로 강행한다면 엄청난 건설비용이 들고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가 심각할 것이며 제주시의 도로, 교통, 쓰레기, 오폐수 문제와 2만여 가구가 겪고 있는 소음 피해도 더욱 가중될 것이다. 활주로만 아니라 주기장과 계류장도 모자라다. 혼잡한 대합실은 늘리고 고치면서 누더기가 다 됐다. 더 이상 확장이 불가한 것이다.

이런 상황인데도 도의회 갈등해소특위는 사안마다 제2공항을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해 왔다. 도민의 대의기관이 아닌 반대단체의 대변기관에 다르지 않다. 과거 도의회가 만장일치로 정부에 요청했던 것도 망각한 체 오히려 유치활동에 전력해야 할 그들이 도민 갈등을 조장해 왔다. 인구가 많은 제주시와 서부지역 주민을 선동하면서 편 가르기와 줄 세우기로 이익을 취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깔려 있는 것이다. 갈등해소특위가 아니라 갈등조장특위로 이름을 바꿔야 한다.

지금에 이르러 도의회 갈등해소특위는 제2공항을 여론조사로 밀어붙이려 하고 있다. 제주공항 보완 가능성을 여론조사 문항에 포함시키려 하고 있다. 도민은 안중에 없는 가당치 않은 행위이다. 제주도의회가 너무 무책임하다.

제주도의회는 국민(도민)의 안전과 편의를 외면해선 안 된다. 모든 절차가 진행 중인 국책사업을 불확실한 대안으로 끌고 가려해서는 안 된다. 안전을 선택한 정부의 결정을 번복하려해선 안 된다. 도의회는 국책사업의 피해지역 주민들에게 진정성 있는 보상과 상생방안을 위해 최선을 다 해야 한다. 제주도의 백년대계를 고민하고 진정으로 도민을 섬기는 자세를 잃어선 안 된다.

No 제목 이름 날짜
3993 고사리철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1 고기봉 04-18
3992 [기고] 자연재해! 준비는 지금!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안심하세요.  ×1 장명서 04-18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
3989 [기고] 내 재산은 내가 지킨다! 풍수해·지진재해보험!  ×1 장명서 04-16
3988 "제주, 가로등 불빛의 밝혀 드립니다. “한 줄기 빛으로 시작되는 안심의 …  ×1 심소연 04-14
3987 봄철 부주의 화재, 예방이 최우선!  ×1 제주소방서 외도119센터 조영수 04-14
3986 환경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다  ×1 ×1 강지상 04-11
3985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11
3984 (기고) 비밀글 박승빈 04-10
3983 전동가위 사고 주의! "안전이 수확의 시작입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4-10
3982 (기고)제주 바다를 지키는 작은 실천, 플로깅의 힘 제주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4-10
3981 불법 소각, 더 이상은 안 됩니다  ×1 ×1 아라119 센터장 김승률 04-09
3980 두 바퀴 위의 제주, 변화의 길을 찾다  ×1 오명수 04-07
3979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04
3978 [기고] 봄철 산불, “작은 부주의”가 대형 사회재난으로 이어집니다.   ×1 ×1 김지훈 04-04
3977 119구조대가 알려주는 봄철 안전하게 산행하기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4-02
3976 고사리 채취 안전수칙!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3-31
3975 서귀포시노인복지관, 고치모영봉사단 어반스케치팀 '겨울이야기25' 작품…  ×2 서귀포시노인복지관 03-27
3974 [기고] 오동통통 고사리 안전하게 따세요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3-27
3973 (기고)김 육상양식산업의 미래, 제주 염지하수가 답이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26
397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찾아가는 청소년 노동 인권 교육…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19
3971 세계 물의 날을 맞이하여  ×1 고기봉 03-15
3970 (사)제주YWCA, ‘2025 1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1 (사)제주YWCA 03-12
3969 길어진 바닷속 여름, 수산물이 사라지고 있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