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의 감상문
2020-08-19 14:47
오지현 (Homepage : http://)
"여기서는 먹고사는게 먼저야,,,
어디있을지 죽을지도 모르는 사람이 아니라, 여기있는 누군가가 너를 책임져줄 수 있을거야..
네 친구가 저기 있어... 저사람에게 간다면, 배는 안굶을거야...'
사랑때문에 울지마라..."
위는 영화의 한 장면 중 '마리아'의 대사이다. 이로 전쟁 후에 독일 여성들이 겪었던 문제점을 어떻게 풀어나가면서 살아남는지에 대한 생존의 방법을 보여주며 당시 독일 사회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담담히 드러내는 '마리아 브라운의 결혼' 영화에 대한 평을 전문가적인 면모보단 조금 서툴지만 적어보려한다.
배경은 1960년대 말 부터 1970년대에 걸쳐 독일에서 일어난 2차 세계대전 후의 독일 영화는 침체에 허덕이고 있었는데 60년대 영화 산업 외부에서 활동하던 일련의 젊은 영화인들에 의해 독일 영화가 부흥된 뉴 저먼 시네마 시기로 영화의 장면마다 사회성이 담겨져있는 것을 보아 인상적인 장면으로 손꼽을 수 있었다. 독일 사회의 황폐함과 참혹한 현실이 담긴 장교 한명이 버린 담배 꽁초를 차지하기 위해 여러명이 싸우는 장면과 남편을 잃어버리고 떠도는 '아낙네들'과 포탄 습격을 받은 듯한 건물을 나타내는 세트들을 보아 전쟁 중이나 전쟁 직후 독일 사회를 사실적으로 구현된 모습이 나타났다. 더나아가 생각하자면 우리나라의 6.25전쟁을 떠올릴 수 있었다. 여기서 우리는 문제를 한 번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과연 전쟁 후에 우리나라나 독일에서는 얼마나 많은 '마리아'와 같은 여성들이 있었을까? '그 대답은 분명히 있었을 것이다'라고 확신한 대답이 마리아의 모습과 대사를 통해서 말할 수 있다.

"이 넓은 세상에 한 사람 뿐이랴?
바다에 고기가 한마리 뿐이랴?
날 기쁘게 하는 모두를 사랑하리라..."
이는 당시 여성들은 남자하나에 매달릴 필요없이, '살기위해' 다른 남자들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마음을 대변하는 노래로 자신의 몸을 팔아가며 승진까지하는 모습을 통해 살아남는 방안으로 선택하였다. 또한 영화의 전반에는 가족끼리 화기 애애한 분위기와 전쟁 중에는 살아남기 위해 단합한 모습을 전쟁 후에는 '돈'과 '성공'의 유혹에 무너지고 마는 마리아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같은 여성으로서 마음이 아프고 그녀가 안쓰러웠다. 돈과 성공을 위해서라면 마다하지 않는 마리아의 모습을보며 독일 뿐만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여성들이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의문이 들었다. 전쟁을 통해 여성의 삶이 얼마나 비참하고 그 사회가 여성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도 알 수 있었다. 시대적 상황이 낳은 '마리아'라는 여인은 언제 돌아올지 모르는 남편을 배신하고 이익을 챙겨 미국 흑인인 '빌'을 선택한 파렴치한 인물로 보아야할지 혹은 살기 위해 어쩔 수 없는 행동이므로 그녀의 행동이 올바른 것인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하는지도 의문을 가질 필요가 있다. 남편을 배신하고 부도덕한 일을 한건 맞지만 그렇다고 무작정 나쁘게만 볼 수 없다. 우리 세대들이 '페피니즘', '성차별' 등의 문제도 여전히 발생하고 있지만 유사한 문제가 60년대 70년대에도 지금보다 가옥하게 '살아남기 프로젝트'를 하는 것을 표면적으로 느낄 수 있었다.
위에서 말한 마리아의 모습을 통해 '자본 주의'라는 체제 자체에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있는 파스빈더 감독의 날카로운 통찰을 통해 전후 독일 사회를 되돌아보는 것에만 의미를 둘뿐만아니라 영화가 자본주의 폐해의 심각성에 대해 다루고 있음을 깨닫을 수 있었다. 년도가 다를 뿐 현재 살아가고 있는 모든 사람들이 자본주의 세상이라고 입이 닳도록 말해 힘겹게 살아가다 삶을 포기하지는 않는지에 대해 생각을 해본 계기가 되었다.
이 영화를 통해 시대적 사회 상황에 맞춰 세상에 살아가는 방법에는 정답이 없다고 보지만 쉽고 편하게 생각할 것들의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 임금 문제, 노사 문제, 인종 차별 등의 이러한 문제들과 같이 발생되는 '여성 문제'도 매년 새롭게 문제 인식이 되는 부분이다. 우리가 합의를 보면서 적정선을 말하지만 해결이 안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그만큼 문제 해결방안은 우리가 천천히 대범한 마음을 가지고 그것을 변화시킬 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이 글을 마친다.






No 제목 이름 날짜
3943 꾸준함이 전문가를 만든다!  ×1 아라동주민센터 산업팀장 차무관 01-31
3942 여성긴급전화1366 제주센터에 후원해주셨습니다 1366제주센터 01-31
3941 [기고]신속한 대피가 어려운 요양시설, 화재 예방이 생명  ×1 구좌119센터 소방사 오승근 01-30
3940 (사)제주YWCA, 제58차·제4차 정기총회 개최  ×1 (사)제주YWCA 01-21
3939 (사)제주YWCA, 창립 70주년 기념식 성황리에 마무리  ×1 (사)제주YWCA 01-21
3938 <플라스틱의 딜레마, 우리는 어떻게?>  ×1 제주개발공사 품질관리팀 이정헌 01-21
3937 즐거운 겨울철 산행을 위한 팁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1-21
3936 전기자전거 구입 지원, 더 가까워진 녹색제주  ×1 오명수 01-20
3935 두 바퀴로 여는 제주의 푸른 미래  ×1 오명수 01-14
3934 [기고] 119구급대원 꿈을 위한 아라119센터 소방 실습을 마치며  ×1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한지원 01-10
3933 어른다운 어른이 되어야 한다 비밀글 김수현 01-09
3932 우리는 알게 모르게 유교(儒敎)적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향교재단 01-07
3931 [기고] 효돈119센터에서의 실습을 마치며  ×1 박서현 01-07
3930 [기고] 불법현수막 없는 도시, 함께 만드는 깨끗한 미래  ×1 아라동 표세진주무관 01-07
3929 나의 꿈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 이번 실습  ×1 현종민 01-07
3928 생명의 존귀함을 대하는 119 구급대원의 자세  ×1 ×1 고서현 01-06
3927 [기 고 ]전기자전거로 그리는 제주의 새로운 일상  ×1 오명수 01-06
3926 [기고] 구좌119센터 실습을 마치며  ×1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윤고은 01-03
3925 산분장: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장례 문화 비밀글 전윤경(농협경주교육원 교수) 01-03
3924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제주도본부,유진주간활동센터에 10년간 기부금 전달  ×1 김경민 12-27
3923 제주은행봉사단 보은의집 요양원 후원물품전달  ×1 박금희 12-24
392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연말맞이 기념 마카롱 꾸미기’ …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12-23
3921 안전한 겨울나기. 작은 습관이 큰 안전을 만든다.  ×1 성산 12-23
3920 행복한 크리스마스에 가려진 환경의 실태  ×1 오가은 12-23
3919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우리 모두의 노력이 필요한 때  ×1 고기봉 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