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재해 철저한 대비로 안전한 여름을 보내자
2020-07-21 10:01
한국전력 서귀포지사 김정웅 차장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 한국전력 서귀포지사 김정웅 차장 -

해마다 여름이면 한국전력은 태풍과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정전으로 고객의 피해가 발생될까 긴장을 하게 된다. 특히 지구를 35바퀴나 돌 수 있는 길이의 배전 전선이 차량충돌, 조류접촉과 같은 요인 뿐만아니라 자연환경에 노출되어 태풍, 집중호우, 낙뢰 등의 불가항력적 원인으로 정전이 발생되기 때문에 여름은 더욱 신경을 곤두서게 한다.
이에 한전 제주본부에서는 태풍 및 집중호우에 의한 설비피해를 최소화
하고 정전을 줄이기 위해 수억원의 비용을 들여 설비를 보강하고 첨단진단
장비를 활용하여 적기에 진단, 조치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하계 재난재해 비상대책 상황실을 운영하고, 휴일 등 취약시간대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전 신속복구체제를 구축하여 고객 불편 최소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력설비 특성상 발전소에서부터 각 가정에 이르기까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불가항력적 정전이 발생할 수 있어 고객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만큼 태풍과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몇 가지 당부사항을 소개한다.
우선 태풍과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로 인한 전기사고가 발생했을 때, 가정에서는 정전 중에는 가전기기의 모든 플러그를 뽑아 주어야 한다. 전기가 재공급될 경우 순간적인 과부하로 인해 가전기기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땅에 떨어진 전선이나 쓰러진 전주 등 손상된 전력설비는 매우 위험함으로 접근하지 말고 국번없이 123번(전기안내)으로 신고하여야 한다.
특히 하우스, 축산, 양어장 등 정전시 경제적 손실이 발생될 우려가 큰 정전민감 고객은 전기사용 특성에 따라 비상용 자가발전기, 무정전공급장치, 정전 경보장치 또는 결상 보호장치 등 정전피해 예방 장치를 설치하여 불시에 발생될 수 있는 정전에 대비해야 한다. 아울러 주기적으로 내선 설비에 대한 점검을 받고 노후 취약설비 발견 시 즉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불시정전으로부터 피해를 예방하는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한전 제주본부는 전력사업은 산업의 원동력이자 국가기간산업임을 깊이 인식하고 고객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드리고 태풍,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정전 시 한전의 신속한 복구능력을 믿고 전기가 공급될 때까지 기다려 주는 시민의식을 발휘해 주실 것을 기대한다.

No 제목 이름 날짜
3918 사라지는 제주 바다, 무너지는 해양 생태계, 남은 시간은 얼마나?  ×1 박환희 12-20
3917 사라져가는 계절을 체감할 수 있던 2024년  ×1 ×1 비밀글 고현준 12-20
3916 제주 uam의 실현가능성에 대하여  ×1 고동현 12-18
3915 제주의 자연자원, 우리의 미래를 지키는 책임  ×1 박지희 12-17
3914 [기고] 화목보일러 안전하게 사용하기  ×1 ×1 효돈119센터 소방사 임재윤 12-17
3913 (사)제주YWCA ‘문주란(간병사)클럽’ 제주대학교병원에 성인 기저귀 1200장 …  ×1 (사)제주YWCA 12-16
3912 (사)제주YWCA, ‘2024 2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사)제주YWCA 12-16
3911 “기후위기와 탄소 중립 지금 행동하지 않으면 늦습니다.” 탄소 중립을 …  ×1 허승주 12-14
3910 제주도, 쓰레기 위기 속 '제로 웨이스트' 도전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하현영 12-13
3909 (사)서귀포YWCA, 기부의날 주간기념 사랑나눔바자회 개최  ×1 서귀포YWCA 12-12
3908 제주의 농업과 환경 문제: 감귤 재배와 지속 가능한 미래  ×1 제주대 행정학과 하현영 12-10
3907 "탄소를 줄이고 미래를 채우다, 탄소중립 이야기"  ×1 백시진 12-10
3906 "탄소발자국 줄이기, 걷기에서 ESG로 이어지는 길"  ×1 백시진 12-10
3905 "기후변화의 시대, 우리의 선택은?"  ×1 백시진 12-10
3904 "기후변화의 시대, 우리의 선택은?"  ×1 ×1 백시진 12-10
3903 오조리, 단기적인 관심보다는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때  ×1 김다영 12-09
3902 해수면 상승, 이젠 남의 일이 아니다  ×1 현주환 12-09
3901 모두의 권리를 위한 한 걸음  ×1 부유민 12-09
3900 기후 위기의 시대, 제주 농업을 지켜라!  ×1 김재원 12-08
3899 고요한 산 속의 비명: 산림 보호를 위한 우리의 역할  ×1 강주현 12-07
3898 메리 크리스마스, 화려한 조명 아래 드리운 그림자  ×1 신하늘 12-06
3897 제주도 요일별 배출제,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첫걸음일까?  ×1 ×1 박환희 12-05
3896 제주의 숨겨진 보물, 오름의 현실  ×1 오승민 12-05
3895 일회용컵 보증금제도 아시나요?  ×1 ×1 청정제주환경모니터단 부단장 김용균 12-04
3894 일회용컵 보증금제도 아시나요?  ×1 ×1 청정제주환경모니터단 부단장 김용균 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