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산불 예방은 나의 작은 관심으로부터
2020-04-22 12:44
노형119센터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제주소방서 노형119센터
소방위 강희동

초목이 싹트는 따뜻한 계절인 봄철 제주 들녁에는 고사리와 드릅 등 산나물을 채취하려고 사람들로 넘쳐난다. 이 시기에는 날씨 변화가 심해 따뜻하다가 다시 추워지기도 하며 기상이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기후 특성으로 연중 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계절이기도 하다. 또한 봄철에 산불이 자주 발생하는 큰 이유는 건조한 날씨 때문이기도 하다. 습도는 낮고 강수량이 적은 기후 특성 때문에 작은 불씨가 큰 화재로 이어지게 되는데 봄철의 강한 바람도 산불이 크게 번지는 원인이라 할 수 있겠다.
산불은 산 내부의 풀, 나무와 강풍이 동반될 경우 연소 확대가 빠르게 진행되며 많은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가져온다. 2019년 4월 강원도 산불의 경우에도 전국의 소방장비와 인원을 동원하여 최대한 빠르게 진압하였지만 초록빛의 산은 거먼 잿더미로 변해버렸다. 2019년 산림청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 평균 440건의 산불이 발생하였는데, 이 중 60%가 넘는 281건이 봄철에 발생한 건수다. 산불의 주요 원인은 입산자 실화가 34%, 소각으로 인한 산불이 30%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산불이 사람들이 부주의로 발생했다는 것이다. 흡연행위, 인화성 물질 취급 및 소각행위 등 만 금지하면 사전에 충분히 예방도 가능하다는 얘기가 된다.
특히, 소각행위는 연소 확대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한다. 폐기물관리법 제8조 2항에 따르면 폐기물 소각 행위를 할 시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따라서 이 법 또는 각 지역의 조례에 따라 허가 또는 승인을 받거나 신고한 폐기물처리시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방관서에 사전 신고를 하지 않고 화재로 오인할 수 있는 행위는 제주특별자치도 화재예방에 관한 조례 제3조에 따라 2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처음부터 큰 화재가 되는 것은 아니다. 작은 불씨에서 시작된 불이 걷잡을 수 없는 화재로 이어지는 것이다. 산행을 하는 한 사람 한 사람이 산불로 인한 피해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산불조심을 생활화하는 우리 모두의 주의와 관심이 필요하다.
‘나는 괜찮겠지’ 하는 안일한 생각이 큰 산불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봄철 산불 예방을 위해 항상 예의주시하고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993 고사리철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1 고기봉 04-18
3992 [기고] 자연재해! 준비는 지금!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안심하세요.  ×1 장명서 04-18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
3989 [기고] 내 재산은 내가 지킨다! 풍수해·지진재해보험!  ×1 장명서 04-16
3988 "제주, 가로등 불빛의 밝혀 드립니다. “한 줄기 빛으로 시작되는 안심의 …  ×1 심소연 04-14
3987 봄철 부주의 화재, 예방이 최우선!  ×1 제주소방서 외도119센터 조영수 04-14
3986 환경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다  ×1 ×1 강지상 04-11
3985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11
3984 (기고) 비밀글 박승빈 04-10
3983 전동가위 사고 주의! "안전이 수확의 시작입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4-10
3982 (기고)제주 바다를 지키는 작은 실천, 플로깅의 힘 제주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4-10
3981 불법 소각, 더 이상은 안 됩니다  ×1 ×1 아라119 센터장 김승률 04-09
3980 두 바퀴 위의 제주, 변화의 길을 찾다  ×1 오명수 04-07
3979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04
3978 [기고] 봄철 산불, “작은 부주의”가 대형 사회재난으로 이어집니다.   ×1 ×1 김지훈 04-04
3977 119구조대가 알려주는 봄철 안전하게 산행하기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4-02
3976 고사리 채취 안전수칙!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3-31
3975 서귀포시노인복지관, 고치모영봉사단 어반스케치팀 '겨울이야기25' 작품…  ×2 서귀포시노인복지관 03-27
3974 [기고] 오동통통 고사리 안전하게 따세요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3-27
3973 (기고)김 육상양식산업의 미래, 제주 염지하수가 답이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26
397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찾아가는 청소년 노동 인권 교육…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19
3971 세계 물의 날을 맞이하여  ×1 고기봉 03-15
3970 (사)제주YWCA, ‘2025 1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1 (사)제주YWCA 03-12
3969 길어진 바닷속 여름, 수산물이 사라지고 있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