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 전성시대
2020-02-13 10:18
허성환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바이러스 전성시대>

그야말로 기생충 전성시대다.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우리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미국 아카데미에서 4관왕을 수상했다. 한국 영화사에 길이 남을 만한 일이다.
지금 전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가 맹위를 떨치고 있어 영화 <기생충>의 수상에 아이러니 한 생각마저 들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고의 인문학 서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제러드 다이아몬드의 <<총,균,쇠>>를 보면 유라시아의 병원균은 유라시아의 철제 무기보다 훨씬 더 많은 아메리카 원주민과 기타 비유럽인들을 죽게 만들었다고 한다. 유럽을 강타해 수백만명을 죽인 흑사병은 대부분 동물들에서 기인한 변종 질병들이다. 일찍이 소, 말, 돼지 등을 사육했던 유라시아인들은 이런 질병을 겪었고, 내성이 생긴 이들이 살아남아 대부분의 인구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런 내성이 추후 열강들이 식민지를 차지하는데 결정적 공헌을 했던 만큼 이는 균의 승리하고 할 만하다. 실제로 북미 원주민의 90%는 이런 질병에 의해 사망하고 멸종해갔다.
이번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원 역시 야생동물 박쥐로 알려졌지만 멸종 위기의 포유류 천산갑이 중간 숙주가 되어 사람에게 전파되었을 거라는 연구결과도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처음 만나는 균이라 사람들의 두려움이 클 수밖에 없다. 사실상 완치된 환자들의 인터뷰를 빌리자면 심한 감기몸살 정도였다고 하는데 그 실체를 알 수가 없으니 공포심을 불러 일으킬 수 밖에 없었다. 제러드 다이아몬드는 인간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는 인간을 숙주로 삼고 있어 치사율이 높으면 바이러스의 생존 공간도 사라진다고 봤다. 그래서 새로운 질병은 지금도 생존과 번식방법을 진화시키고 있는데 치사율이 높을 경우 번식을 할 수 없어 숙주를 더 오래 살려 두는 방법으로 진화하고 있을 것이라고 한다. 이 역시 바이러스의 승리가 아닌가 싶어 씁쓸하다. 이런 와중에 코로나바이러스의 진원지인 우한에서는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했고, 독일 남부지방에서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했다.

우리 정부는 독일산 병아리 등 가금류와 식품용 계란 수입을 금지했다. 우리나라 역시 경남 창원 주남저수지에서 조류인플루엔자 항원이 검출되었다고 한다. 엎친데 덮친격이 되지 않을까 걱정이다. 무사히 지나갈 수 있도록 방역에 총력을 기울여 주길 바란다.

허성환(농협 구미교육원. 010-2805-2874)

No 제목 이름 날짜
3618 지속  ×1 고기봉 01-02
3617 '고향사랑기부제'로 농업·농촌에 희망을  ×1 비밀글 유효상 12-28
3616 공공주택, 주거 본연의 가치를 담은 공간으로 진화   ×1 제주개발공사 분양주택사업팀 김은정 사 12-27
3615 (오피니언)우리사회에 강요되고 있는 미의 기준  ×1 건입동주민센터 심소연 12-27
3614 도로  ×1 12-26
3613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12-26
3612 (사)제주YWCA-(사)제주YWCA디지털성범죄상담소, 디지털성범죄 심각성 인식 확… (사)제주YWCA 12-22
3611 우리들이 꿈꾸는 행복한 사회  ×1 이도초등학교 4학년 2반 안유린 12-22
3610 이제는 관심을 가져야 할 용천수  ×1 비밀글 김광민 12-22
3609 물, 아껴야 마르지 않는다.   ×1 김수연 12-21
3608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사회적기업가와 함께하는 찾아가는 사회…  ×1 (사)서귀포YWCA 12-21
3607 기후의 미래, 제주의 선택: 탄소 중립으로의 여정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수지 12-20
3606 파리들이 사는 세상에 묻지마 폭력이 일어난다면 손용석 12-18
3605 '때문에' 보다는 '덕분에'로 살자!  ×1 오정애 12-15
3604 환경교육도시를 통한 지속 가능한 제주로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 김가인 12-14
3603 (사)서귀포YWCA, 제주여성친화도시를 위한 대중매체 성평등 시민모니터사업 …  ×1 서귀포YWCA 12-13
3602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사회적기업가와 함께하는 찾아가는 사회…  ×1 서귀포YWCA 12-13
3601 생태계보호 다 함께 노력해야 (부제 : 나무만 보고 숲은 보지 못한다)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이시후 12-13
3600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12-13
3599 지구의 몸살, 우리의 자그마한 실천으로  ×1 김찬우 12-12
3598 중대재해! 미리 준비하면 막을 수 있다.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  ×1 ×1 제주특별자치도 안전정책과 황정호 12-12
3597 플로깅으로 청정 제주바다 지키기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양미래 12-12
3596 함께하면 꿈은 이루어진다  ×1 고기봉 12-12
3595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첫걸음, 제주의 15분 도시 구축  ×1 안서영 12-11
3594 건강한 음주 문화, 행복한 연말연시 비밀글 김혜빈 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