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겨울나기! 우리 모두 함께 노력해야
2019-12-13 09:18
안전한 겨울나기.hwp ( size : 15.00 KB / download : 13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어느덧 추운 겨울이 본격적으로 다가옴에 따라 차갑고 건조한 시베리아 고기압은 해안과 산간지역에 강한 바람과 대설•한파를 몰고 온다. 제주특유의 강풍과 함께 대설•한파는 도로 결빙, 시설물 파손, 수도 계량기 동파, 안전사고 발생, 전기 사용량 급증 등 우리 생활과 밀접한 부분에서 많은 문제를 일으킨다.

최근 들어 제주지역에도 서해상에서 해기 차에 의해 만들어진 눈구름대로 인하여 많은 눈이 내릴 수 있는 환경도 갖추고 있다. 이렇듯 ‘16년도와 ’18년도 1월에 이례적인 폭설이 내려 하늘길•바닷길이 모두 끊기고, 농작물 냉해와 하우스 붕괴 등 많은 피해가 발생했었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이제 제주지역도 더는 겨울철 대설•한파로부터 마냥 손 놓고 있을 수만은 없다.

최근 기상청에서 발표한 올 겨울 장기 기상예보에 따르면 겨울 찬 대륙고기압 세력은 평년보다 강하지 않아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겠으나 때때로 북쪽 찬 공기가 남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어 기온 변동성이 클 것으로 내다 봤다.

겨울철 대설•한파로부터 도민들의 일상생활을 평온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 도에서는 올 겨울 동안 도민들이 보다 편안하고 안전한 겨울나기 위한 강도 높은 겨울철 대설•한파 대책을 추진한다.

먼저 한발 앞선 상황관리와 협업체계 구축이다. 자연재난 대책기간 동안 24시간 상황관리체계 구축을 강화하고 대설•한파 대응 TF팀을 운영한다. 또 기상상황에 따라 5단계로 나눠 비상근무를 강화하고 예비특보단계부터 상황판단회의를 통해 선제적인 대처는 물론 유사시 재난안전대책본부와 재난현장통합지원본부를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긴급상황에 대비 민•관•군 신속한 상호 응원체계도 구축한다. 이러한 상호협조를 토대로 유사시 민•관•군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해 선제적으로 총력 대응할 계획이며, 이러한 도의 대설•한파 대책이 더욱더 성공하려면 지역자율방재단 등 민간단체와 도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도민들께서도 한파와 대설에 대한 기상정보를 TV나 라디오·스마트폰 등을 통해 수시로 확인하고 한파 예보된 때에는 최대한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주변의 독거노인 등 건강이 염려되는 분들의 안부를 살펴봐야 한다,
대설에 대비해서는 스노우 체인, 모래 주머니 등 눈 피해 예방용 안전 장비를 사전에 구입해 두고 붕괴가 우려되는 비닐하우스 등 농작물 재배시설을 미리미리 점검 하는 등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피해를 사전에 예방 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해야 한다.

또한 눈이 내리게 되면 ‘내 집 앞, 내 점포 앞 도로의 눈은 내가 치운다’ 라는 건전한 봉사정신을 발휘하여 우리 모두가 건강하고 안전한 겨울나기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No 제목 이름 날짜
4018 (사)제주YWCA, '2025 소비자식품안전 정보교육' 진행  ×1 사단법인제주와이더블유씨에이 05-15
4017 하늘과 땅을 잇는 생명의 제주 용천수  ×1 김은신 05-12
4016 도노인복지관 산불 구호 성금 기탁 제주특별자치도노인복지관 05-12
4015 가정의 달, 가족의 가치를 다시 볼 시간  ×1 강지상 05-09
401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특별지원활동프로그램 '1분기 생일…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5-08
4013 혼자가 아닌 함께, 제주가치돌봄으로 따듯한 동행을 시작하세요  ×1 ×1 제주시 주민복지과 고수정 05-08
4012 자연재해는 막을 수 없지만,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1 장명서 05-07
4011 (기고)봄철 공사장 화재, 작은 주의가 큰 안전을 만든다.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한울 05-07
4010 구좌119센터, 구좌읍사무소에서 여름철 풍수해 대비 수방장비 교육 실시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경민 05-07
4009 2024년 사상 가장 더운 해, 해수면 온도 사상 최고치, 2025년에는 더 이상 좌시…  ×1 김제현 05-05
4008 제주 장애인 휠네비길, 모두를 위한 길이 되려면  ×1 김제현 05-05
4007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삼성드림클래스' 운영기관 선정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6 - - 04-29
4005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지원협의회와 함께하는 진로 특강' 운영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4 봄철, 안전한 산행을 위한 안전수칙  ×1 서귀포소방서 동홍119센터 문해민 04-29
4003 가정의 달 맞이‘청소년 주류 제공 주의보’  ×1 서귀포시 위생관리과 한정숙 04-29
4002 2025년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실무분과 민·관 협력 공동사업 시민건강…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04-28
4001 따뜻한 동행  ×1 윤매순 04-27
4000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자원봉사 기초교육’ 진…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4-25
3999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8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7 신재생에너지 포괄적 권한 이양과 관련하여  ×1 ×1 김정혁 04-25
3996 (기고)불법 소각, 그 감당 못할 책임에 경각심을  ×1 구좌여성의용소방대장 오춘미 04-24
3995 산불없는 제주를 위해 모두가 지켜주세요.  ×1 부재윤 04-22
3994 (기고) 한번에 뚝딱 완성되는 숲은 없다.  ×1 제주시 양은옥 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