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품 줄이기 선택이 아니라 필수!
2019-12-12 11:08
현원준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일회용품 줄이기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

청정 환경 등으로 국내에서 가장 사랑받고 있는 관광지 제주가 오버 투어리즘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환경파괴와 교통대란·소음공해 못지않게 쓰레기도 심각한 상황이라 여겨진다. 일회용품은 편리하다는 이유로 한 번 쓰이고 버려지지만 우리에게 피할 수 없는 큰 후유증을 남긴다.

제주도를 주제로 하는 예능 프로그램의 인기로 인한 국내 관광객 및 무사증 제도로 쉽게 제주를 찾는 국외 관광객들이 늘어나게 되어 많은 관광객들이 급격하게 빠른 속도로 제주에 유입되었다. 이로 인해 제주도는 쓰레기 처리 수용 용량을 초과하게 되어 1인당 하루 평균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전국 지자체 중 1위를 기록하게 되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이 7월 8일부터 8월 13일까지 제주도 매립장 전수조사에 따르면 제주시에 위치한 봉개·동부·서부매립장은 이미 포화된 상태로 잔여 매립공간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서귀포시 매립장들의 상황도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매립장의 잔여 매립량이 3~8% 정도 밖에 남아있지 않아, 사실상 내년 상반기에는 모두 포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회용품 사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방법이 필요하다.
첫째, 사업자와 관광객의 일회용품 사용을 억제해야 한다. 현재 정부에서는 포장 시 다회용 컵이나 다회용 빨대 등을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운영업자들 측에서는 이러한 것들을 씻는 과정에서 생기는 추가 노동이 결국 인건비 상승 등으로 연결되어 소비자에게 가격 상등 등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설득으로 장례식장에서는 일회용품을 줄이고 있고 편의점 등에서도 에코백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둘째, 제주도민의 노력 절실히 필요하다. 장보러 갈 때 장바구니를 이용하고 음료를 담을 때에는 개인용 텀블러를 사용하는 등의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또한 용기에 음식물이 묻어 있을 경우 음식물을 세척하여 분리수거 해야 한다. 또한 사무실 같은 경우에도 손님들에게 커피나 차를 대접할 때에도 될 수 있으면 스테인리스 컵에 타주는 것이 좋다.

나비의 작은 날갯짓은 큰 태풍이 된다고 한다. 우리의 작은 생활습관으로 우리의 환경을 보전할 수 있다. 일회용품 사용은 필수가 아니라 선택의 문제다. 오늘부터라도 환경을 위한 아름다운 행동을 선택하자.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현원준    

No 제목 이름 날짜
4018 (사)제주YWCA, '2025 소비자식품안전 정보교육' 진행  ×1 사단법인제주와이더블유씨에이 05-15
4017 하늘과 땅을 잇는 생명의 제주 용천수  ×1 김은신 05-12
4016 도노인복지관 산불 구호 성금 기탁 제주특별자치도노인복지관 05-12
4015 가정의 달, 가족의 가치를 다시 볼 시간  ×1 강지상 05-09
401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특별지원활동프로그램 '1분기 생일…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5-08
4013 혼자가 아닌 함께, 제주가치돌봄으로 따듯한 동행을 시작하세요  ×1 ×1 제주시 주민복지과 고수정 05-08
4012 자연재해는 막을 수 없지만,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1 장명서 05-07
4011 (기고)봄철 공사장 화재, 작은 주의가 큰 안전을 만든다.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한울 05-07
4010 구좌119센터, 구좌읍사무소에서 여름철 풍수해 대비 수방장비 교육 실시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경민 05-07
4009 2024년 사상 가장 더운 해, 해수면 온도 사상 최고치, 2025년에는 더 이상 좌시…  ×1 김제현 05-05
4008 제주 장애인 휠네비길, 모두를 위한 길이 되려면  ×1 김제현 05-05
4007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삼성드림클래스' 운영기관 선정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6 - - 04-29
4005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지원협의회와 함께하는 진로 특강' 운영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4 봄철, 안전한 산행을 위한 안전수칙  ×1 서귀포소방서 동홍119센터 문해민 04-29
4003 가정의 달 맞이‘청소년 주류 제공 주의보’  ×1 서귀포시 위생관리과 한정숙 04-29
4002 2025년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실무분과 민·관 협력 공동사업 시민건강…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04-28
4001 따뜻한 동행  ×1 윤매순 04-27
4000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자원봉사 기초교육’ 진…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4-25
3999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8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7 신재생에너지 포괄적 권한 이양과 관련하여  ×1 ×1 김정혁 04-25
3996 (기고)불법 소각, 그 감당 못할 책임에 경각심을  ×1 구좌여성의용소방대장 오춘미 04-24
3995 산불없는 제주를 위해 모두가 지켜주세요.  ×1 부재윤 04-22
3994 (기고) 한번에 뚝딱 완성되는 숲은 없다.  ×1 제주시 양은옥 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