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트병 재활용 분리수거 대비해야
2019-12-09 16:13
최유진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페트병 재활용 분리수거 대비해야

페트병 둘러싼 비닐 포장재 및 접착제 사용으로 인한 재활용이 골치라고 한다.
분리수거 업체를 찾아가보면 대부분이 페트병의 라벨이 있는 상태에서 배출되고 있었다.
그리고 일일이 페트병 포장지를 벗기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우리가 페트병은 분리수거를 해야 함은 익히 알고 있지만, 라벨까지 제거해야 한다는 사실은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이다.
분리 하려고 하여도 강력한 접착제가 붙어있어 분리하기 어려움이 따른다.
페트병 재활용은 환경부에 따르면 페트병 생산량이 2014년 기준 22만 4,754t에서 2017년 28만 6,325t으로 3년 사이 27%나 늘었다.
그리고 페트병의 분리 배출 비율도 80%로 높은 편이다. 하지만, 문제는 높은 분리배출 비율에 비해 재활용률이 낮다는 점이다. 국내 페트병 중 재활용이 가장 쉬운 1등급 제품은 재활용률이 불과 1.8%(2015년 기준)에 불과하다. 이는 상당수의 페트병이 재활용되는 것이 아니고 그냥 쓰레기로 버려지는 셈이다.
또 현재 한국의 세척공정 시스템으로는 ‘비 접착식 라벨’을 분리하기가 더 힘들다고 한다.
환경부 기준에 의하면 라벨등급에 따라 ‘비 접착식’이더라도 비중 1이상이면 ‘어려움’ 등급을 받게 된다. 이는 ‘세척과정’에서 분리 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 기준을 따르기 때문이다.
또 세척과정에 수분리성 접착제라고 하지만, 분리하기 위해 90도 온도에서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환경오염이 초래되고 있다.
일본의 사례를 살펴보면, 정부에서 법으로 페트병 라벨을 분리하라고 엄격한 분리배출 제도를 정하고 있고 ,겉면 라벨 지를 가정에서 쉽게 뜯어낼 수 있도록 절취선을 만들어 놨다. 일본의 경우 접착제를 바르지 않아서, 세척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이는 라벨지가 붙어 있는 페트병은 재활용이 어렵다는 점을 감안한 조치다.
또한 색 없는 투명한 페트병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페트병에 색이 섞이면 재활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맥주 페트병이나 색깔 있는 페트병 등은 재활용이 어려워 일본에서 페트병 연간 2만 2천 톤을 수입 하고 있다고 한다.
페트병 사용을 줄이는 것도 하나의 과제지만, 이미 만들어진 페트병의 재활용률을 높이는 것도 과제임은 분명하다. 이를 위해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기술적·제도적인 고려가 가장 중요하겠지만, 우리 모두의 참여 역시 중요하다. 올바른 배출방법을 적극 홍보하여 올바른 페트병 분리배출을 통한 재활용률을 높여야 할 것이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최유진

No 제목 이름 날짜
401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특별지원활동프로그램 '1분기 생일…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5-08
4013 혼자가 아닌 함께, 제주가치돌봄으로 따듯한 동행을 시작하세요  ×1 ×1 제주시 주민복지과 고수정 05-08
4012 자연재해는 막을 수 없지만,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1 장명서 05-07
4011 (기고)봄철 공사장 화재, 작은 주의가 큰 안전을 만든다.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한울 05-07
4010 구좌119센터, 구좌읍사무소에서 여름철 풍수해 대비 수방장비 교육 실시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경민 05-07
4009 2024년 사상 가장 더운 해, 해수면 온도 사상 최고치, 2025년에는 더 이상 좌시…  ×1 김제현 05-05
4008 제주 장애인 휠네비길, 모두를 위한 길이 되려면  ×1 김제현 05-05
4007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삼성드림클래스' 운영기관 선정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6 - - 04-29
4005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지원협의회와 함께하는 진로 특강' 운영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4 봄철, 안전한 산행을 위한 안전수칙  ×1 서귀포소방서 동홍119센터 문해민 04-29
4003 가정의 달 맞이‘청소년 주류 제공 주의보’  ×1 서귀포시 위생관리과 한정숙 04-29
4002 2025년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실무분과 민·관 협력 공동사업 시민건강…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04-28
4001 따뜻한 동행  ×1 윤매순 04-27
4000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자원봉사 기초교육’ 진…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4-25
3999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8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7 신재생에너지 포괄적 권한 이양과 관련하여  ×1 ×1 김정혁 04-25
3996 (기고)불법 소각, 그 감당 못할 책임에 경각심을  ×1 구좌여성의용소방대장 오춘미 04-24
3995 산불없는 제주를 위해 모두가 지켜주세요.  ×1 부재윤 04-22
3994 (기고) 한번에 뚝딱 완성되는 숲은 없다.  ×1 제주시 양은옥 04-22
3993 고사리철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1 고기봉 04-18
3992 [기고] 자연재해! 준비는 지금!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안심하세요.  ×1 장명서 04-18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