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댓글, 뚜렷한 해결책 나련 시급
2019-11-30 17:27
신수미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악성 댓글, 뚜렷한 해결책 마련 시급
‘손가락 살인’ 얼마나 더 희생해야 멈출까요.
얼마 전 유명 연예인이 온라인 악성 댓글에 시달리다 결국 극단적 선택으로 생을 마감하여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었었다. 더욱 안타까운 점은, 이러한 사건은 처음이 아니며, 과거부터 몇 번이나 벌어졌던 일이라는 것이다. 

특히 자살의 주요인이 오랫동안 시달려온 악성 댓글로 인한 우울증으로 밝혀지면서 사회적으로 악플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세졌다. 이로 인하여 악플을 올린 자에 대하여 강력한 처벌을 원하고 또한 악플을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달라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들이 악성댓글에 대응하지 않는 것도 아닌데 날이 갈수록 악성댓글의 수준은 심각해지고 있으며, 그 해결방안이 뚜렷하게 마련되고 있지 않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인터넷의 익명성이 한몫 한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악성댓글로 고통 받는 연예인, 일반인이 익명으로 쓴 악플을 고소하고 법적 처벌을 시도한다고 하자. 하지만 이러한 절차는 혼자서 해내기에 버거울 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사투를 야기한다. 악성댓글을 작성하는 사람이 한 두 사람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제는 이렇게 악성댓글로 고통 받는 피해자가 혼자 고통 받고, 악플러들을 찾아내고 싸우는 외로운 사투를 지속하게 해서는 안 된다. 정부 차원이나 제도적 차원을 마련해야 한다.

개인 SNS와 같은 홈페이지 사이트에 댓글 내용에 따라 규제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그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욕설이나, 상대방을 비방하는 내용을 코드화하여 선별하는 시스템을 만들면, 익명의 사용자가 악플을 달려고 할 때 이 시스템에 의해 규제 당하는 것이다. 이는 자연스럽게 악성댓글이 감소하도록 만들고, 한 번 더 생각하고 댓글을 달도록 변화시킬 것이다.

이렇듯 제도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뿐만 아니라 악플에 대한 법적 처벌을 뚜렷하게 마련해 강화해야 한다. 또한 개인들이 모두 악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역지사지의 태도에서 댓글을 작성하는 태도가 가장 우선시 된다면, 선플 문화가 확산되고 올바른 인터넷, SNS 문화가 확립될 것 이다.

우리 모두의 마음속에 지니고 있는 상처는 오히려 격려와 배려, 칭찬과 감사를 표하는 선플(sunfull)을 달면서 치유해보면 어떨까 생각한다.
생명까지 위협하는 악플에 대한 제도적 제제에 대한 방법은 제도적인 사회시스템을 만들어가는 것과 피해 당사자들의 적극적인 해결 노력도 뒤따라야 된다고 본다.  

제주대 행정학과 신수미


No 제목 이름 날짜
401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특별지원활동프로그램 '1분기 생일…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5-08
4013 혼자가 아닌 함께, 제주가치돌봄으로 따듯한 동행을 시작하세요  ×1 ×1 제주시 주민복지과 고수정 05-08
4012 자연재해는 막을 수 없지만,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1 장명서 05-07
4011 (기고)봄철 공사장 화재, 작은 주의가 큰 안전을 만든다.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한울 05-07
4010 구좌119센터, 구좌읍사무소에서 여름철 풍수해 대비 수방장비 교육 실시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경민 05-07
4009 2024년 사상 가장 더운 해, 해수면 온도 사상 최고치, 2025년에는 더 이상 좌시…  ×1 김제현 05-05
4008 제주 장애인 휠네비길, 모두를 위한 길이 되려면  ×1 김제현 05-05
4007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삼성드림클래스' 운영기관 선정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6 - - 04-29
4005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지원협의회와 함께하는 진로 특강' 운영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4 봄철, 안전한 산행을 위한 안전수칙  ×1 서귀포소방서 동홍119센터 문해민 04-29
4003 가정의 달 맞이‘청소년 주류 제공 주의보’  ×1 서귀포시 위생관리과 한정숙 04-29
4002 2025년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실무분과 민·관 협력 공동사업 시민건강…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04-28
4001 따뜻한 동행  ×1 윤매순 04-27
4000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자원봉사 기초교육’ 진…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4-25
3999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8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7 신재생에너지 포괄적 권한 이양과 관련하여  ×1 ×1 김정혁 04-25
3996 (기고)불법 소각, 그 감당 못할 책임에 경각심을  ×1 구좌여성의용소방대장 오춘미 04-24
3995 산불없는 제주를 위해 모두가 지켜주세요.  ×1 부재윤 04-22
3994 (기고) 한번에 뚝딱 완성되는 숲은 없다.  ×1 제주시 양은옥 04-22
3993 고사리철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1 고기봉 04-18
3992 [기고] 자연재해! 준비는 지금!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안심하세요.  ×1 장명서 04-18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