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져가는 농촌 사회, 포용으로 상생 해법 찾아야...
2019-11-21 15:32
송남근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송남근(농협중앙회 구례교육원 교수, 010-9071-9852)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귀농·귀촌(귀어 포함) 인구는 대략 48만5천5백여 명에 이른다고 한다. 전년 대비 5%가량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귀농·귀촌에 대한 열기는 식지 않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지난해 11~12월 조사에 따르면 도시인 10명 중 3명이 은퇴 후 귀농·귀촌을 희망한다고 한다. 하지만 귀농을 원한다고 해서 선뜻 실행하기는 쉽지 않다. 귀농·귀촌에 도전했다가 실패하고 도시로 재이주하는 사례도 5~10% 정도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귀농·귀촌에 실패하는 가장 큰 요인 중 자금 부족과 적정 소득원 확보의 어려움이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제적 요인 못지않게 기존 토착민들과의 교류와 인간관계 형성 또한 문제가 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발표자료(2016년)에 따르면 귀농·귀촌 인구의 약 45%가 기존 마을 주민들과 갈등을 겪은 경험이 있다고 한다. 선입견과 텃세, 재산권 침해 그리고 농촌문화 이해 부족 등을 그 원인으로 꼽고 있다.
텃세는 대체로 마을발전기금과 같은 경제적인 부담을 요구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과도하거나 부당한 기금의 출연을 강요하는 것이 결코 합리적인 주장이라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크게 부담이 되지 않는다면 이를 그 지역사회의 구성원이 되기 위한 입회비 정도라고 생각한다면 의외로 간단히 해결될 수도 있다. 어느 사회나 기득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그것을 놓지 않으려는 습성이 있기 마련이다. 하물며 농촌사회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 없이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빼내려 한다면 반드시 불상사가 생기기 마련이다. 원주민 마을과 인접하여 조성된 전원주택 단지 입주자가 마을에서 소똥 냄새가 난다며 관공서에 수차례 민원을 제기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가축분뇨뿐만 아니라 거름 냄새와 같은 전원의 향기는 물론 촘촘한 방충망 사이로 비집고 들어오는 온갖 벌레들, 그리고 대도시와 별반 다를 것도 없이 찬 바람 부는 계절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미세먼지 등을 감내할 수 없다면 전원생활은 아예 꿈도 꾸지 말아야 한다.
농촌 생활은 번호키를 누르거나 초인종을 누르고 주인의 허락 없이는 출입 불가능한 도시의 삶과는 다르다. 낮은 담장 문화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시골 생활에 적잖은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다. 시골 마을의 담장은 방범의 기능보다는 그저 경계의 표시에 불과하다. 담장이 낮은 이유는 서로 감출 것도 없을뿐더러 그 집주인이 집을 비웠을 때도 이웃들이 그 집 안을 보살펴 준다는 의미도 있다. 그러하기에 ‘그 집 숟가락이 몇 개인지도 안다’라는 말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그러니 이웃이 ‘누구 있소?’라며 불쑥 현관문을 열고 들어오더라도 그리 놀랄 일이 아니다.
지금 농촌은 심각한 고령화로 인해 붕괴 직전에 있다. 사정이 이러할진대 주민 스스로 울타리를 치고 경계하고 의심하여 텃세를 부려 새로운 구성원의 유입을 막아 그 붕괴를 재촉하고 있는 게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 귀농·귀촌을 통해 지역사회의 일부가 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먼저 마음을 열고 고개를 숙이고 베풀 줄 안다면 텃세를 겪을 일은 확연히 줄어들 것이다. 서로를 이해하고 포용하는 마음으로 서로 조금만 양보한다면 낯설지만 서로 어깨를 기댈 수 있는 아름다운 동행도 그리 어렵지 않으리라 믿는다.

No 제목 이름 날짜
3987 봄철 부주의 화재, 예방이 최우선!  ×1 제주소방서 외도119센터 조영수 04-14
3986 환경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다  ×1 ×1 강지상 04-11
3985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11
3984 (기고) 비밀글 박승빈 04-10
3983 전동가위 사고 주의! "안전이 수확의 시작입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4-10
3982 (기고)제주 바다를 지키는 작은 실천, 플로깅의 힘 제주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4-10
3981 불법 소각, 더 이상은 안 됩니다  ×1 ×1 아라119 센터장 김승률 04-09
3980 두 바퀴 위의 제주, 변화의 길을 찾다  ×1 오명수 04-07
3979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04
3978 [기고] 봄철 산불, “작은 부주의”가 대형 사회재난으로 이어집니다.   ×1 ×1 김지훈 04-04
3977 119구조대가 알려주는 봄철 안전하게 산행하기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4-02
3976 고사리 채취 안전수칙!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3-31
3975 서귀포시노인복지관, 고치모영봉사단 어반스케치팀 '겨울이야기25' 작품…  ×2 서귀포시노인복지관 03-27
3974 [기고] 오동통통 고사리 안전하게 따세요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3-27
3973 (기고)김 육상양식산업의 미래, 제주 염지하수가 답이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26
397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찾아가는 청소년 노동 인권 교육…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19
3971 세계 물의 날을 맞이하여  ×1 고기봉 03-15
3970 (사)제주YWCA, ‘2025 1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1 (사)제주YWCA 03-12
3969 길어진 바닷속 여름, 수산물이 사라지고 있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12
3968 3월 22일 물의 날, 제주 지하수가 마르고 있다  ×1 김현우 03-11
3967 도민감사관 직무와 역할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3-11
3966 (기고)고향사랑기부로 함께하는 ‘제주오름 지킴이’  ×1 제주시 양은옥 03-10
3965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미소이음(친사회성증진프로그램)…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04
3964 (기고) 뜨겁게 피어오르는 제주의 문화  ×1 ×1 고란영 02-25
3963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 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만든다.  ×1 고기봉 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