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김치 한 포기의 의미
2019-11-20 11:05
유승훈 (Homepage : http://)
김장김치 한포기의 의미

이름 : 유승훈(농협구례교육원 교수)
연락처 : 010-8612-7801

하루 세끼식사에 빠지지 않고 올라오는 반찬이 있다. 그것도 배추, 무, 갓, 파에 갖가지 양념이 버물어져 그 이름을 달리하여 여러 종류가 올라온다. 바로 우리네 김치이야기다. 식생활 패턴이 쌀밥에서 대체식품으로 급속하게 변하고 있지만 김치만큼은 대체식품이 없는 듯하다. 어떤 음식을 먹더라도 김치생각이 간절한 걸보면 아마도 우리의 김치사랑은 쉽사리 변하지 않을 것 같다. 입맛은 쉽게 변하지 않는 것 같지만 김장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 많이 변화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올해 10가구 중 6가구만이 김장을 직접 담을 계획이 있다고 한다. 시판김치를 구입하겠다는 비중은 전체 조사 가구 중 19%로 조사됐다. 이는 2014년 8% 비율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이다.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의 증가로 김장을 생략하거나 구입하는 비율은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김장에는 단순히 반찬을 만들어 먹는 것 이상의 의미가 들어있다. 집집마다 김치맛이 다르듯이 우리 집안의 음식문화를 대표하고, 이웃과 연대감을 나누는 정다운 풍습이 담겨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던 이유이다. 즉 대한민국에서 김장은 여러 세대에 걸쳐 가정에서 전승되고 있고, 동절기에 대비한 나눔과 공동체 문화를 상징한다. 또한 사회 구성원들간 결속과 연대감 강화를 통해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소속감을 부여한다. 그래서일까 예로부터 김장을 담그는 날은 특별히 손 없는 날을 정해 모든 집안 식구들, 이웃들이 모여 다음 한해를 준비하는 행사처럼 진행되었다.

케이웨더 발표에 따르면 올해 김장하기 좋은 시기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11월 하순부터 1월 상순까지로 전망했다. 일 평균기온이 4℃ 이하이고, 일 최저기온이 0℃ 이하로 유지될 때 김장을 하면 가장 좋은 맛을 낸다고 한다. 이제 곧 김치를 맛있게 담을 수 있는 김장철이 돌아온다. 이번 김장철엔 가족들과 함께 김장을 하는 날을 정해보는 것은 어떨까? 김장문화를 각자의 상황에 맞게 재해석하여 가족과 함께 모여서 특별한 활동을 하는 날로 정해보는 것이다. 아이들과 모여 놀이처럼 김치를 만들고, 김장의 의미에 대해서 아이들에게 설명해 주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다 만들어진 김치는 정을 담아 이웃집과 나누어 먹으면 더 의미가 있을 것이다.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고 각박해져가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김장을 담그는 하루 만큼은 정을 나누는 곳에 있음을 느끼게 해주는 소중한 날로 만들어 보자. 전국 곳곳에서 김장 나눔 행사도 진행되고 있으니 가족 모두 참여해 뜻깊은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김장을 할 때면 간이 맞는지 보라며 배추 한줄기 크게 뜯어 입에 넣어주시던 어머니의 모습이 아련하게 생각난다.

No 제목 이름 날짜
401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특별지원활동프로그램 '1분기 생일…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5-08
4013 혼자가 아닌 함께, 제주가치돌봄으로 따듯한 동행을 시작하세요  ×1 ×1 제주시 주민복지과 고수정 05-08
4012 자연재해는 막을 수 없지만,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1 장명서 05-07
4011 (기고)봄철 공사장 화재, 작은 주의가 큰 안전을 만든다.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한울 05-07
4010 구좌119센터, 구좌읍사무소에서 여름철 풍수해 대비 수방장비 교육 실시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경민 05-07
4009 2024년 사상 가장 더운 해, 해수면 온도 사상 최고치, 2025년에는 더 이상 좌시…  ×1 김제현 05-05
4008 제주 장애인 휠네비길, 모두를 위한 길이 되려면  ×1 김제현 05-05
4007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삼성드림클래스' 운영기관 선정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6 - - 04-29
4005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지원협의회와 함께하는 진로 특강' 운영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4 봄철, 안전한 산행을 위한 안전수칙  ×1 서귀포소방서 동홍119센터 문해민 04-29
4003 가정의 달 맞이‘청소년 주류 제공 주의보’  ×1 서귀포시 위생관리과 한정숙 04-29
4002 2025년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실무분과 민·관 협력 공동사업 시민건강…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04-28
4001 따뜻한 동행  ×1 윤매순 04-27
4000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자원봉사 기초교육’ 진…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4-25
3999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8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7 신재생에너지 포괄적 권한 이양과 관련하여  ×1 ×1 김정혁 04-25
3996 (기고)불법 소각, 그 감당 못할 책임에 경각심을  ×1 구좌여성의용소방대장 오춘미 04-24
3995 산불없는 제주를 위해 모두가 지켜주세요.  ×1 부재윤 04-22
3994 (기고) 한번에 뚝딱 완성되는 숲은 없다.  ×1 제주시 양은옥 04-22
3993 고사리철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1 고기봉 04-18
3992 [기고] 자연재해! 준비는 지금!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안심하세요.  ×1 장명서 04-18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