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식 바뀌어야 학생들이 이용한다
2019-11-08 20:32
강성범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학식, 바뀌어야 학생들이 이용한다.

우선 항상 학생들을 위해 열심히 일해주시는 생활협동조합 관계자 여러분들께 경의를 표한다.

필자는 2013년 대학에 입학하고 오랜 기간 휴학을 한 후 올해 복학했다. 학교는 입학할 때와는 다르게 많이 변했고 신입생이라는 꼬리표는 화석이라는 타이틀로 바뀌었다.

많은 것이 달라졌지만 변하지 않은 것이 있다. 바로 학교식당이다.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끼니를 학교에서 해결한다. 그렇기에 저렴하고 질 좋은 학식은 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만족감을 높여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타 대학에 비해 대학가가 제대로 발전하지 못한 우리 학교의 경우에는 그 중요도가 더욱 크다.

하지만 제주대 학식의 경우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안타깝다. 제주대 학교식당은 정식 3000원, 특식 4000원, 양식 5000원 등의 가격이 책정돼있다. 이에 몇몇 학생들은 학교식당에 몇 가지 문제점을 제기한다. 대표적인 의견이 바로 가격에 비해 다양하지 못한 메뉴이다. 정식과 특식을 먹어보면 몇 가지 음식이 반복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생활협동조합 측에서는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겠다고 말하지만 실효는 없는 것 같다.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같은 국립대인 부경대의 경우 학식으로 유명하다. 가격은 3500~6000원 사이이며 다양한 메뉴와 맛으로 인해 많은 학생들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부경대는 학생들의 건강과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2년 전부터 아침시간에는 학생식당의 식사메뉴를 천원에 제공하고 있다. 학생들은 오전 8시 30분부터 10시 30분까지 학내 식당에서 정식, 국밥, 찌개, 오므라이스, 카레 밥, 짜장 밥, 김밥 등 다양한 메뉴를 1000원에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한국외대, 전북대 등은 다양한 음식과 저렴한 가격으로 학생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지속적으로 오르는 가격 또한 문제이다. 제주대신문을 살펴보면 생활협동조합측은 최저임금의 인상과 원재료 가격의 상승으로 식대를 인상하고 있다. 매년 적자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는 하지만 몇 백 원씩 오르는 것이 학생들에게는 큰 부담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많은 학생들은 조금 더 나은 식사를 하기 위해 가격이 비싸더라도 정문과 후문으로 이동한다. 하지만 역시 음식의 질과 가격에 많은 불만을 토로한다, 그러면서 학식이 조금 더 나았으면 하는 생각을 한다.

학식이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게 개선된다면 많은 사람들이 학식을 먹기 위해 학생식당으로 발길을 돌릴 것이다. 다양한 메뉴의 제공과 저렴한 가격, 이것이 진정한 학생을 위한 복지이지 않을까.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강성범

No 제목 이름 날짜
3993 고사리철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1 고기봉 04-18
3992 [기고] 자연재해! 준비는 지금!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안심하세요.  ×1 장명서 04-18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
3989 [기고] 내 재산은 내가 지킨다! 풍수해·지진재해보험!  ×1 장명서 04-16
3988 "제주, 가로등 불빛의 밝혀 드립니다. “한 줄기 빛으로 시작되는 안심의 …  ×1 심소연 04-14
3987 봄철 부주의 화재, 예방이 최우선!  ×1 제주소방서 외도119센터 조영수 04-14
3986 환경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다  ×1 ×1 강지상 04-11
3985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11
3984 (기고) 비밀글 박승빈 04-10
3983 전동가위 사고 주의! "안전이 수확의 시작입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4-10
3982 (기고)제주 바다를 지키는 작은 실천, 플로깅의 힘 제주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4-10
3981 불법 소각, 더 이상은 안 됩니다  ×1 ×1 아라119 센터장 김승률 04-09
3980 두 바퀴 위의 제주, 변화의 길을 찾다  ×1 오명수 04-07
3979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04
3978 [기고] 봄철 산불, “작은 부주의”가 대형 사회재난으로 이어집니다.   ×1 ×1 김지훈 04-04
3977 119구조대가 알려주는 봄철 안전하게 산행하기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4-02
3976 고사리 채취 안전수칙!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3-31
3975 서귀포시노인복지관, 고치모영봉사단 어반스케치팀 '겨울이야기25' 작품…  ×2 서귀포시노인복지관 03-27
3974 [기고] 오동통통 고사리 안전하게 따세요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3-27
3973 (기고)김 육상양식산업의 미래, 제주 염지하수가 답이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26
397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찾아가는 청소년 노동 인권 교육…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19
3971 세계 물의 날을 맞이하여  ×1 고기봉 03-15
3970 (사)제주YWCA, ‘2025 1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1 (사)제주YWCA 03-12
3969 길어진 바닷속 여름, 수산물이 사라지고 있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