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의 일회 용품 사용은 그만!
2019-11-08 10:53
현원준 (Homepage : http://)
집으로 가기 위해 서귀포 일호 광장에 가야 한다. 가는 길에 주위를 둘러보면 여러 가지 쓰레기가 곳곳에 놓여있는 광경을 보게 된다. 그 외에도 제주 올레 시장 근처에 있는 버스 정류장이나 벤치 그리고 길거리에는 치워주길 기다리는 일회용품들이 많이 보인다.

제주도를 주제로 하는 예능 프로의 인기로 인한 국내 관광객들, 무사증 제도로 쉽게 제주를 찾는 국외 관광객들이 늘어나게 되어 많은 관광객들이 급격하게 빠른 속도로 제주에 유입되었다. 이로인해 제주도는 쓰레기 처리 수용 용량을 초과하게 되었다. 결국 제주도는 1인당 하루평균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전국 지자체 중 1위를 기록하게 되었다.

그 중 가장 많이 버려지면서도 처리가 곤란한 것은 일회 용품들이다. 관광지 특성상 관광을 하면서 먹을 수 있는 것을 담고 들고 다니기 편한 포장 용기 사용이 많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제주에는 일회용품 사용량이 다른 지역에 비해 많다.

일회용품 용기는 편하게 먹고 쉽게 치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부분 음식물이 묻어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많은 쓰레기를 발생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쓰레기들 대부분은 음식물 혼합 배출로 쓰레기가 상당수 오염돼 사실상 소각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쓰레기들을 매립을 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실시한 조사(7월 8일부터 8월 13일까지의 제주도 매립장 전수조사)에 따르면 제주시에 위치한 봉개ㆍ동부ㆍ서부매립장은 이미 포화된 상태로, 잔여 매립공간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서귀포시 색달ㆍ남원ㆍ표선ㆍ성산매립장들의 상황도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매립장의 잔여 매립량이 3~8% 정도 밖에 남아있지 않아, 사실상 내년 상반기에는 모두 포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더 이상의 쓰레기 매립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서는 일회 용기 사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방법이 필요하다.

첫째, 사업자와 관광객의 일회용기 사용을 억제해야 한다. 현재 정부에서는 포장 시 다회용 컵이나 다회용 빨대 등을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운영업자들 측에서는 이러한 것들을 씻는 과정에서 생기는 추가 노동이 결국 인건비 상승 등으로 연결되어 소비자에게 가격 상등 등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설득으로 장례식장에서는 일회 용품을 줄이고 있고 편의점 등에서도 에코백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둘째, 제주 도민의 노력 또한 필요하다. 장보러 갈 때 장바구니를 이용하고 음료를 담을 때에는 개인용 텀블러를 사용하는 등의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또한 용기에 음식물이 묻어 있을 경우 음식물을 세척하여 분리수거 해야한다.

짧은 순간의 편함만을 쫓다보면 돌이킬 수 없는 결과로 이어지게 된다. 이미 제주도의 환경 은 많이 오염되었다. 다시 원래의 자연 환경으로 돌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금이라도 더 이상의 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생활 속의 조그마한 실천을 해야 하는 것은 어떨지 생각해 보자.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현원준

No 제목 이름 날짜
3968 3월 22일 물의 날, 제주 지하수가 마르고 있다  ×1 김현우 03-11
3967 도민감사관 직무와 역할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3-11
3966 (기고)고향사랑기부로 함께하는 ‘제주오름 지킴이’  ×1 제주시 양은옥 03-10
3965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미소이음(친사회성증진프로그램)…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04
3964 (기고) 뜨겁게 피어오르는 제주의 문화  ×1 ×1 고란영 02-25
3963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 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만든다.  ×1 고기봉 02-24
3962 제주공직사회 청렴도 상승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2-23
3961 훈제구이를 가정의 주방에서 하는 냄비  ×1 천 봉우 02-22
3960 [re] 훈제구이를 가정의 주방에서 하는 냄비 석기시대 02-24
3959 주부폐암을 막으려면 . .?  ×1 천 봉우 02-22
3958 [re] 주부폐암을 막으려면 . .? 석기시대 02-24
3957 모바일 주민등록증 이제 손안에서 간편하게  ×1 제주시종합민원실 김현지 02-20
3956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겨울방학 맞이 ‘에버랜드 겨울캠프…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2-20
3955 즐겁게 놀면서 배우는 안전교육, 제주안전체험관  ×1 비밀글 제주소방안전본부 예방대응과 김하연 02-20
3954 가짜 농사꾼에게 농지처분명령과 이행강제금 부과  ×1 아라동주민센터 산업팀장 차무관 02-19
3953 화목보일러 화재 예방, 올바른 사용이 중요  ×1 아라119센터 소방교 오수홍 02-17
3952 마을 혹은 마음과 연결, 로컬 런케이션  ×1 ×1 김명주 02-14
3951 고독사는 사회의 책임인가?   ×1 ×1 문석부 02-13
3950 겨울철 전기제품 안전하게 사용하기  ×1 동부소방서 조천119센터 김형남 02-09
3949 환경을 지키는 작은 실천  ×1 ×1 청정제주환경모니터단 부단장 김용균 02-09
3948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AI(인공지능)를 활용한 자기주도…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2-08
3947 디지털 환경에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우리들의 자세  ×1 제주개발공사 정보관리팀 고상혁 02-07
3946 선박 안전운항 준수해야  ×1 비밀글 고기봉 02-06
3945 우리집 작은 소방서 '주택용 소방시설'  ×1 아라119센터 소방교 오수홍 02-05
3944 {기고} 신구간 이사철 화재예방을 위한 안전 가이드  ×1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