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수 대신 수돗물 사용으로 환경을 보호하자!
2019-11-04 22:22
양기혁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생수 대신 수돗물 사용으로 환경을 보호하자!

일회용품 사용은 환경파괴의 주범이다. 특히 플라스틱 재질의 쓰레기는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데 500년 이상이 걸린다. 그래서 우리는 관공서에서 일회용품 사용을 금지했고, 카페 안에서 일회용 컵 사용을 금지했다. 또한 환경을 위해 성실하게 클린하우스에서 플라스틱을 분리수거 하기도 했다. 이렇게 우리는 깨끗한 제주도를 만들기 위해 많이 노력하고 있다.

그런데 제주도 내 생활쓰레기 매립장이 이미 포화가 됐거나 포화 직전인 상황이라고 한다. 게다가 제주시에 위치한 매립장 세 군데는 매립계획량을 넘어선 초과매립이 이뤄지고 있다. 우리가 열심히 노력하긴 했지만 제주도 자체의 쓰레기 처리능력에 한계가 찾아온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포기할 것인가? 아니다. 더 격렬하고 열정적으로 쓰레기를 줄여야 한다.

그래서 제안하는 것이 바로 ‘생수 대신 수돗물 마시기’이다. 제주도의 수돗물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지하수를 이용한 수돗물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상하수도본부가 발표한 2019년 상반기 수돗물 수질검사 결과에 따르면 검사대상 60개 모든 항목에서 먹는 물 수질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됐으며, 중금속이나 농약과 같은 인체 유해물질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고 한다. 안전하게 먹을 수 있는 지하수라는 점에서 같은 제주 지하수를 사용하는 삼다수와 크게 다를 게 없는 셈이다.

수돗물을 마실 때 거부감을 가지는 경우는 대부분이 소독약인 염소 냄새 때문인데, 이 문제는 생각보다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수돗물을 3~4시간 정도 뚜껑이 열린 용기에 담아두면 염소 냄새가 사라진다. 그러고 나서 뚜껑을 닫아 냉장고에 보관한 뒤 꺼내 먹으면 시원하고 맛있는 제주 지하수를 즐길 수 있다. 콜라나 사이다 등 청량음료도 차게 해야 맛있는 것처럼, 수돗물도 이렇게 마시면 맛있게 먹을 수 있다.

깨끗한 제주는 혼자 노력해서는 만들 수 없다. 우리 모두가 함께 생각하고 노력해야 깨끗하고 살기 좋은 제주도를 만들 수 있다. 플라스틱 병에 담긴 생수 대신 집에서 쉽고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수돗물을 마시자. 플라스틱을 줄이는 것은 정부가 할 일이라며 가만히 보고 있을 게 아니라, 수돗물 마시기처럼 다양한 방법으로 우리가 배출하는 생활쓰레기를 줄이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양기혁

No 제목 이름 날짜
3993 고사리철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1 고기봉 04-18
3992 [기고] 자연재해! 준비는 지금!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안심하세요.  ×1 장명서 04-18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
3989 [기고] 내 재산은 내가 지킨다! 풍수해·지진재해보험!  ×1 장명서 04-16
3988 "제주, 가로등 불빛의 밝혀 드립니다. “한 줄기 빛으로 시작되는 안심의 …  ×1 심소연 04-14
3987 봄철 부주의 화재, 예방이 최우선!  ×1 제주소방서 외도119센터 조영수 04-14
3986 환경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다  ×1 ×1 강지상 04-11
3985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11
3984 (기고) 비밀글 박승빈 04-10
3983 전동가위 사고 주의! "안전이 수확의 시작입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4-10
3982 (기고)제주 바다를 지키는 작은 실천, 플로깅의 힘 제주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4-10
3981 불법 소각, 더 이상은 안 됩니다  ×1 ×1 아라119 센터장 김승률 04-09
3980 두 바퀴 위의 제주, 변화의 길을 찾다  ×1 오명수 04-07
3979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04
3978 [기고] 봄철 산불, “작은 부주의”가 대형 사회재난으로 이어집니다.   ×1 ×1 김지훈 04-04
3977 119구조대가 알려주는 봄철 안전하게 산행하기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4-02
3976 고사리 채취 안전수칙!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3-31
3975 서귀포시노인복지관, 고치모영봉사단 어반스케치팀 '겨울이야기25' 작품…  ×2 서귀포시노인복지관 03-27
3974 [기고] 오동통통 고사리 안전하게 따세요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3-27
3973 (기고)김 육상양식산업의 미래, 제주 염지하수가 답이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26
397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찾아가는 청소년 노동 인권 교육…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19
3971 세계 물의 날을 맞이하여  ×1 고기봉 03-15
3970 (사)제주YWCA, ‘2025 1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1 (사)제주YWCA 03-12
3969 길어진 바닷속 여름, 수산물이 사라지고 있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