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산비닐' 사용 줄여 제주환경 되살리자!
2019-09-15 14:04
정지영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우산비닐’ 사용 줄여 제주환경 되살리자!

때늦은 가을장마로 인해 제주의 날씨는 며칠째 흐림이다. 비를 피하기 위해 우산을 쓰고 물 고인 길을 걷다 보면 옷이나 신발에 빗물이 튀진 않을지, 잠시 긴장의 끈을 놓았다가 길에서 미끄러지는 건 아닐지 걱정이 된다. 다행히 실내에선 건물 입구에 비치된 우산비닐 덕에 우려가 사라지지만, 반대로 잠깐 쓰고 버려져 복도 전체에 널린 비닐 쓰레기들을 보면 양심의 가책이 드는 게 사실이다.

일회용품들의 단점은 삶을 편리하게 하는 만큼 환경을 해친다는 점이다. 우리가 무심코 쓰다 버린 우산비닐의 국내 연간 사용량은 공공 부문만 해도 무려 1억 장이 넘는다. 재활용이 가능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해 제작되지만 물기에 젖으면 활용 불가능하며 소각이나 매립 또한 어렵다. 사용자들 역시 제대로 수거를 하지 않으니 우산비닐 이용의 결과는 어떻게든 환경오염의 야기로 수렴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까?

첫째는 친환경 우산 빗물 제거기의 설치다. 극세사 패드 털이 원리를 이용한 이 제거기는 추가 유지비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우산비닐 사용의 가장 큰 원인인 미끄럼 문제 역시 예방할 수 있다. 우산을 좌우로 흔들기만 하면 빗물이 제거되기 때문에 방법이 간편하며 전기가 쓰이지 않아 에너지 절약에 도움이 된다. 실제로 제주도청 등 몇몇 공공기관에서 이용되는 중이지만 여전히 그 숫자는 손에 꼽을 뿐이므로 도내 설치 범위의 확대가 다급한 시점이다.

다음으로는 친환경 우산 커버 레인트리 캠페인이 있다. ‘레인트리 캠페인’은 최근 일회용 우산 커버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사회적 문제가 된 것에 착안, 방수원단의 자투리로 재사용이 가능한 우산 커버를 제작해 기존의 비닐 우산 커버 대용으로 사용하는 친환경 캠페인이다.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개인의 노력 역시 필요하다. 미끄럼 사고가 걱정된다면 실내로 들어오기 전 반드시 빗물을 털고 들어오는 습관을 들이자. 여의치 않을 경우엔 우산을 구매할 때 동봉되는 커버를 이용하는 것 또한 좋다. 비록 휴대 및 관리는 번거롭겠지만 우리의 행동이 환경에 끼칠 영향을 생각하면 마냥 편의만을 추구할 수도 없는 노릇 아닌가.

끝으로 환경 개선은 어느 한 쪽의 노력만으로 이뤄지는 게 아님을 염두에 두고 우리 모두가 포켓용 장바구니를 휴대하고, 보온병이나 머그잔, 텀블러 사용을 생활화 한다면 세상은 바뀐다. ‘세상을 바꾸는 우리’가 되리라. 바뀐 세상은 자연생태계가 정상적으로 돌아가고 있으리라.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정지영


No 제목 이름 날짜
3914 [기고] 화목보일러 안전하게 사용하기  ×1 ×1 효돈119센터 소방사 임재윤 12-17
3913 (사)제주YWCA ‘문주란(간병사)클럽’ 제주대학교병원에 성인 기저귀 1200장 …  ×1 (사)제주YWCA 12-16
3912 (사)제주YWCA, ‘2024 2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사)제주YWCA 12-16
3911 “기후위기와 탄소 중립 지금 행동하지 않으면 늦습니다.” 탄소 중립을 …  ×1 허승주 12-14
3910 제주도, 쓰레기 위기 속 '제로 웨이스트' 도전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하현영 12-13
3909 (사)서귀포YWCA, 기부의날 주간기념 사랑나눔바자회 개최  ×1 서귀포YWCA 12-12
3908 제주의 농업과 환경 문제: 감귤 재배와 지속 가능한 미래  ×1 제주대 행정학과 하현영 12-10
3907 "탄소를 줄이고 미래를 채우다, 탄소중립 이야기"  ×1 백시진 12-10
3906 "탄소발자국 줄이기, 걷기에서 ESG로 이어지는 길"  ×1 백시진 12-10
3905 "기후변화의 시대, 우리의 선택은?"  ×1 백시진 12-10
3904 "기후변화의 시대, 우리의 선택은?"  ×1 ×1 백시진 12-10
3903 오조리, 단기적인 관심보다는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때  ×1 김다영 12-09
3902 해수면 상승, 이젠 남의 일이 아니다  ×1 현주환 12-09
3901 모두의 권리를 위한 한 걸음  ×1 부유민 12-09
3900 기후 위기의 시대, 제주 농업을 지켜라!  ×1 김재원 12-08
3899 고요한 산 속의 비명: 산림 보호를 위한 우리의 역할  ×1 강주현 12-07
3898 메리 크리스마스, 화려한 조명 아래 드리운 그림자  ×1 신하늘 12-06
3897 제주도 요일별 배출제,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첫걸음일까?  ×1 ×1 박환희 12-05
3896 제주의 숨겨진 보물, 오름의 현실  ×1 오승민 12-05
3895 일회용컵 보증금제도 아시나요?  ×1 ×1 청정제주환경모니터단 부단장 김용균 12-04
3894 일회용컵 보증금제도 아시나요?  ×1 ×1 청정제주환경모니터단 부단장 김용균 12-04
3893 기후감수성의 시대, 우리의 미래는 달라질 수 있다  ×1 김수민 12-04
3892 대설을 맞이하여, 겨울철 화재 예방 안전 수칙을 되새기고 안전한 겨울을 … 현주희 12-04
3891 12월 5일 자원봉사자의 날, 제주 환경을 지키는 작은 손길 김재원 12-03
3890 체육사에 빛나는 발자취, 김치부 선생과 위대한 도민  ×1 ×1 제주도청 전국체전기획단 김혜인 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