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은 청소년들이 함께 기억해야 할 역사입니다.
2019-09-14 15:39
강혜진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신성여자중학교 3학년 강혜진

제주 4·3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무장대의 무장봉기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무장대와 정부 사이에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이다.

4월 3일, 우리 학교 전 교실에 제주 4·3 71주년 추념식 방송을 틀어주었으나 대부분의 학생들이 집중하지 않고 서로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또한 평소에 4·3 관련 행사나 4·3 교육에 관심을 보이거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을 보기는 어려웠다.

매년마다 4·3교육을 받는 학생들이 왜 4·3에 대해 관심을 보이지 않는지 생각하다 우리 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그 결과, 4·3에 대해 ‘조금 안다’는 의견이 53%로 4·3에 대하여 알고는 있으나 자세히는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4·3 평화·인권 교육 주간에만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81%로 이는 4·3 교육이 단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하여 제주도민 1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4·3교육의 방향을 묻는 질문에 ‘4·3 평화·인권 교육 주간만이 아닌 평소에도 주기적으로 실시되기를 바란다’가 51%였고, 이어 ‘4·3교육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76%였다. 이처럼 학생들이 교육을 통해서만 4·3에 대한 지식을 얻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4·3교육의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었다. 2019년 4·3 평화·인권 교육 주간 운영 현황을 살펴본 결과 2018년 초·중·고등학교에 4·3 평화·인권 교육 교재가 보급되었으나 그 교재의 활용도가 낮았으며, 2019년에는 교재 보급이 홈페이지 탑재로만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을 통해 4·3에 대한 지식을 얻기에는 시수가 부족하였고, 전도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통일된 하나의 교육이 아니며 각 학교마다 다른 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4·3 평화·인권 교육 교원 직무연수가 도내에서 전국으로 확대되는 등 교원 교육 운영이 활발해지고 있으나 교육을 받는 주체인 학생들이 더욱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우선이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주체적으로 4·3을 알아갈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되었다. 이에 제주도내 초·중·고등학교를 모두 조사한 결과 초등학교 ‘90%’, 중학교 ‘96%’, 고등학교 ‘82%’ 가 4·3 관련 상설 게시판이 없다는 점과 3~4%를 제외한 거의 모든 학교에 교내 4·3 관련 동아리가 없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첫째, 제주도내 중·고등학교에 4·3 상설 게시판 설치와 ▼둘째, 제주 청소년 4·3 탐구 연합동아리의 개설을 제안한다. 이를 통하여 계속해서 학생들에게 4·3을 알릴 수 있고 제주 청소년 4·3 탐구 연합동아리에서 게시판 제작이 이루어지게 되어 4·3을 알리는 주체가 어른들뿐만 아니라 청소년들도 있다는 인식을 줄 수 있을 것이다.

4·3은 우리나라의 역사이며 그 역사를 기억하는 것이야말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이다. 위와 같은 정책들을 발판 삼아 앞으로 우리나라의 미래를 이끌어 갈 청소년들이 4·3에 대해 잘 알고 4·3을 가슴 깊이 기억하길 바란다.

No 제목 이름 날짜
3993 고사리철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1 고기봉 04-18
3992 [기고] 자연재해! 준비는 지금!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안심하세요.  ×1 장명서 04-18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
3989 [기고] 내 재산은 내가 지킨다! 풍수해·지진재해보험!  ×1 장명서 04-16
3988 "제주, 가로등 불빛의 밝혀 드립니다. “한 줄기 빛으로 시작되는 안심의 …  ×1 심소연 04-14
3987 봄철 부주의 화재, 예방이 최우선!  ×1 제주소방서 외도119센터 조영수 04-14
3986 환경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다  ×1 ×1 강지상 04-11
3985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11
3984 (기고) 비밀글 박승빈 04-10
3983 전동가위 사고 주의! "안전이 수확의 시작입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4-10
3982 (기고)제주 바다를 지키는 작은 실천, 플로깅의 힘 제주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4-10
3981 불법 소각, 더 이상은 안 됩니다  ×1 ×1 아라119 센터장 김승률 04-09
3980 두 바퀴 위의 제주, 변화의 길을 찾다  ×1 오명수 04-07
3979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04
3978 [기고] 봄철 산불, “작은 부주의”가 대형 사회재난으로 이어집니다.   ×1 ×1 김지훈 04-04
3977 119구조대가 알려주는 봄철 안전하게 산행하기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4-02
3976 고사리 채취 안전수칙!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3-31
3975 서귀포시노인복지관, 고치모영봉사단 어반스케치팀 '겨울이야기25' 작품…  ×2 서귀포시노인복지관 03-27
3974 [기고] 오동통통 고사리 안전하게 따세요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3-27
3973 (기고)김 육상양식산업의 미래, 제주 염지하수가 답이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26
397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찾아가는 청소년 노동 인권 교육…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19
3971 세계 물의 날을 맞이하여  ×1 고기봉 03-15
3970 (사)제주YWCA, ‘2025 1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1 (사)제주YWCA 03-12
3969 길어진 바닷속 여름, 수산물이 사라지고 있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