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은 청소년들이 함께 기억해야 할 역사입니다.
2019-09-14 15:39
강혜진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신성여자중학교 3학년 강혜진

제주 4·3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무장대의 무장봉기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무장대와 정부 사이에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이다.

4월 3일, 우리 학교 전 교실에 제주 4·3 71주년 추념식 방송을 틀어주었으나 대부분의 학생들이 집중하지 않고 서로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또한 평소에 4·3 관련 행사나 4·3 교육에 관심을 보이거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을 보기는 어려웠다.

매년마다 4·3교육을 받는 학생들이 왜 4·3에 대해 관심을 보이지 않는지 생각하다 우리 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그 결과, 4·3에 대해 ‘조금 안다’는 의견이 53%로 4·3에 대하여 알고는 있으나 자세히는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4·3 평화·인권 교육 주간에만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81%로 이는 4·3 교육이 단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하여 제주도민 1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4·3교육의 방향을 묻는 질문에 ‘4·3 평화·인권 교육 주간만이 아닌 평소에도 주기적으로 실시되기를 바란다’가 51%였고, 이어 ‘4·3교육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76%였다. 이처럼 학생들이 교육을 통해서만 4·3에 대한 지식을 얻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4·3교육의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었다. 2019년 4·3 평화·인권 교육 주간 운영 현황을 살펴본 결과 2018년 초·중·고등학교에 4·3 평화·인권 교육 교재가 보급되었으나 그 교재의 활용도가 낮았으며, 2019년에는 교재 보급이 홈페이지 탑재로만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을 통해 4·3에 대한 지식을 얻기에는 시수가 부족하였고, 전도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통일된 하나의 교육이 아니며 각 학교마다 다른 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4·3 평화·인권 교육 교원 직무연수가 도내에서 전국으로 확대되는 등 교원 교육 운영이 활발해지고 있으나 교육을 받는 주체인 학생들이 더욱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우선이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주체적으로 4·3을 알아갈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되었다. 이에 제주도내 초·중·고등학교를 모두 조사한 결과 초등학교 ‘90%’, 중학교 ‘96%’, 고등학교 ‘82%’ 가 4·3 관련 상설 게시판이 없다는 점과 3~4%를 제외한 거의 모든 학교에 교내 4·3 관련 동아리가 없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첫째, 제주도내 중·고등학교에 4·3 상설 게시판 설치와 ▼둘째, 제주 청소년 4·3 탐구 연합동아리의 개설을 제안한다. 이를 통하여 계속해서 학생들에게 4·3을 알릴 수 있고 제주 청소년 4·3 탐구 연합동아리에서 게시판 제작이 이루어지게 되어 4·3을 알리는 주체가 어른들뿐만 아니라 청소년들도 있다는 인식을 줄 수 있을 것이다.

4·3은 우리나라의 역사이며 그 역사를 기억하는 것이야말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이다. 위와 같은 정책들을 발판 삼아 앞으로 우리나라의 미래를 이끌어 갈 청소년들이 4·3에 대해 잘 알고 4·3을 가슴 깊이 기억하길 바란다.

No 제목 이름 날짜
4064 무더운 여름 독서로 이겨내자!  ×1 고기봉 07-02
4063 “초록 감수성, 두 눈에 담고 마음에 심다”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7-02
4062 2026년 전국장애인체전을 먼저 개최하는 특별한 이유  ×1 ×1 제주도청 전국체전기획단 강수연 07-01
4061 사)제주YWCA초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6.25 전쟁 75주년 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초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6-30
4060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주중체험활동프로그램 ‘복작…  ×1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 06-27
4059 우리 팀이 어린이집으로 향하는 이유  ×1 제주시청 여성가족과 허성진 주무관 06-27
4058 반려견 등록은 의무입니다  ×1 심소연 06-26
4057 다시 찾아온 제주의 푸르른 바다, 관광 쓰레기 문제에 다시 주목해야...   ×1 신하늘 06-26
4056 지하수를 지키는 가장 힘 있는 목소리, 바로 ‘도민’입니다.  ×1 물정책과 이준호 06-25
4055 6·25참전유공자회 제주지부–한전MCS(주) 제주지사직할지점, 보훈의 달 맞아…  ×2 대한민국6.25참전유공자회제주특별자치 06-24
4054 추락하는 서귀포 구도심 상권 이대로 놔둘 것인가?”  ×1 ×1 김장관 06-23
4053 도민감사관의 역할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6-23
405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도박문제예방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6-20
4051 제주 관광개발과 생태보전, 기로에 선 ‘관광 1번지’  ×1 김한휘 06-20
4050 제주 관광개발과 생태보전, 기로에 선 ‘관광 1번지’  ×1 김한휘 06-20
4049 무알콜 제도의 필요성: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를 위한 새로운 선  ×1 이도이동주민센터 심소연 06-18
4048 독·미·프국의 ‘폭력으로부터의 보호법' 한국의 과제 '가해자 주거 분리  ×1 이도이동주민센터 심소연 06-18
4047 정부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  ×1 고동현 06-14
4046 제주에서 울리는 평화의 종, 6.25를 기억하다  ×1 문지하 06-14
4045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심폐소생술(CPR)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 06-14
4044 지속가능한 내일을 위한 하루, 세계 리필의 날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송유진 06-13
4043 가슴에 새기는 호국보훈  ×1 한국자유총연맹 제주특별자치도지부 회장 06-12
4042 서귀포시각장애인주간보호시설 사랑의열매 “동서남북 ᄀᆞ망ᄀᆞ망” 프…  ×1 서귀포시각장애인주간보호시설 06-11
4041 한국에너지종합기술,코리오제너레이션과 O&M 협력 위한 양해각서 체결  ×1 한국에너지종합기술(주) 06-10
4040 제주 삼다콘서트, 도심 속 여름밤의 낭만을 노래하다  ×1 문지하 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