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해파리 쏘임 주의
2019-07-21 19:54
이도119센터 (Homepage : http://)
여름철 해파리 쏘임 주의(기고문).hwp ( size : 25.11 KB / download : 18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여름철 해파리 쏘임 주의

올여름 무더위가 일찍 찾아오면서 제주 바다에 해파리 떼가 기승을 부릴것으로 예상되고 이로인해 휴가철 피서객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우리나라에 나타나는 독성 해파리는 7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입방해파리, 작은 부레관 해파리, 유령 해파리, 노무라입깃 해파리, 커튼원양 해파리, 야광원양 해파리, 보름달물 해파리가 있다. 해파리는 많은 촉수를 가지고 있고 각 촉수에는 독소를 방출하는 침을 가진 자포가 있다. 해파리에 쏘이면 회초리를 맞은 듯한 발진과 통증, 가려움증 등이 나타난다. 처음에는 쏘인 부위에 물집이 잡히거나 헐고 진물이 나는 급성 반응이 나타나며 시간이 지나면 구역질, 구토, 설사, 복통 등이 생기기도 한다.
드물긴 하지만 해파리독으로 인해 호흡곤란 및 쇼크상태에 빠지는 전신반응이 올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지체하지 말고 119에 도움을 요청하고 병원에서 응급처치를 받아야 한다.
병원에서는 증상에 따라 진통제,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 등으로 치료하며 세균 감염이 진행됐다면 항생제를 사용하여 치료한다. 해파리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긴팔 종류의 옷을 입는 것이 좋다. 특히 작은 크기의 해파리들이 옷 사이 들어가 쏘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몸에 달라 붙는 옷을 입는 것이 좋다. 해파리 중독에 눈, 코, 입 또한 위험에 노출 돼 있으므로 해수욕장에서는 마스크나 수경같이 외부 노출을 막는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노출을 최소화 하기 위해 목, 손목 등에 손수건이나 버프 등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해파리 중독 시 응급처치는 우선 바닷물에 나와 상처 부위를 바닷물로 세척하는 것이다. 이때 수돗물이나 알코올을 이용할 경우 삼투압 차이로 인해 자포가 터져 더욱 위험할 수 있다. 몸의 움직임을 최소화해 독소가 퍼지는 것이 막고 얼음팩 등을 이용하여 통증을 완화시켜야 한다. 증세가 심각하다면 빨리 119에 신고해야 한다.
바다에서 물놀이 중 해파리 출현 시 물놀이를 자제해야 하고, 바다에는 해파리뿐만 아니라 독성 생물이 많기 때문에 잘 알지 못하는 생물은 만지지 않는 것이 안전하며 해수욕장 안전요원의 안내를 잘 따른다면 즐거운 물놀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4068 65세 이상 고령자 운전면허 자진반납 제도 시행  ×1 심소연 07-08
4067 서귀포시 중앙동 도시재생 거점시설 네이밍 공모전 “ 전국 대상 총149개 …  ×1 서귀포시중앙동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07-08
4066 지역을 살피는 따뜻한 눈길, 성산읍 사회보장 협의체  ×1 윤매순 07-06
4065 고향무정  ×1 ×1 강봉오 07-04
4064 무더운 여름 독서로 이겨내자!  ×1 고기봉 07-02
4063 “초록 감수성, 두 눈에 담고 마음에 심다”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7-02
4062 2026년 전국장애인체전을 먼저 개최하는 특별한 이유  ×1 ×1 제주도청 전국체전기획단 강수연 07-01
4061 사)제주YWCA초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6.25 전쟁 75주년 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초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6-30
4060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주중체험활동프로그램 ‘복작…  ×1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 06-27
4059 우리 팀이 어린이집으로 향하는 이유  ×1 제주시청 여성가족과 허성진 주무관 06-27
4058 반려견 등록은 의무입니다  ×1 심소연 06-26
4057 다시 찾아온 제주의 푸르른 바다, 관광 쓰레기 문제에 다시 주목해야...   ×1 신하늘 06-26
4056 지하수를 지키는 가장 힘 있는 목소리, 바로 ‘도민’입니다.  ×1 물정책과 이준호 06-25
4055 6·25참전유공자회 제주지부–한전MCS(주) 제주지사직할지점, 보훈의 달 맞아…  ×2 대한민국6.25참전유공자회제주특별자치 06-24
4054 추락하는 서귀포 구도심 상권 이대로 놔둘 것인가?”  ×1 ×1 김장관 06-23
4053 도민감사관의 역할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6-23
405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도박문제예방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6-20
4051 제주 관광개발과 생태보전, 기로에 선 ‘관광 1번지’  ×1 김한휘 06-20
4050 제주 관광개발과 생태보전, 기로에 선 ‘관광 1번지’  ×1 김한휘 06-20
4049 무알콜 제도의 필요성: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를 위한 새로운 선  ×1 이도이동주민센터 심소연 06-18
4048 독·미·프국의 ‘폭력으로부터의 보호법' 한국의 과제 '가해자 주거 분리  ×1 이도이동주민센터 심소연 06-18
4047 정부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  ×1 고동현 06-14
4046 제주에서 울리는 평화의 종, 6.25를 기억하다  ×1 문지하 06-14
4045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심폐소생술(CPR)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 06-14
4044 지속가능한 내일을 위한 하루, 세계 리필의 날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송유진 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