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에 대한 선입견 노망과 로망
2019-03-30 18:40
문원영 (Homepage : http://)
치매에 대한 선입견 노망과 로망.hwp ( size : 37.50 KB / download : 16 )
치매에 대한 선입견 “노망과 로망 사이”

노인장수복지과 문원영

지난해 노인인구중 치매환자는 70만5천여명, 치매유병율이 10%로 집계되었다{‘18. 대한민국 치매현황보고서’. 노인 10명중 1명이 치매를 앓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치매’하면 “죽음보다 더한 고통, 환자・가족・사회를 병들게 하는 질병” 등 암울하고 두렵기만 한 병이란 인식이 팽배해있어, 조기검사를 꺼리는 경우가 만다. 노인일자리 사업운영기관에서 “일자리 참여어르신이 어느날부터 조금 이상하다”란 느낌이 있어 치매검사를 받아보시라 권유하면 “그런말 함부로 하지 말라”고 과잉 반응을 보이고, 검사를 두려워하는 경우가 있어 안타깝다고 한다.

2011년 드라마 <천일의 약속>에서는 자수성가하던 젊은여성(수애)이 치매에 걸려 파괴되는 과정에서 주변 가족들이 고통스러워하던 장면이 생각난다. 그간 영화나 드라마에서 치매라는 질병이 아주 끔찍하고, 가족의 파괴, 고통과 공포로 많이 표현되었다.
최근 치매 대해 긍정적으로 풀이한 문화컨텐츠가 늘어나고 있다. 강풀만화 <그대를 사랑합니다(2007년작)>를 읽었다 주차관리원 장군봉의 치매 걸린 아내에 대한 극진한 보살핌에 가슴이심쿵하다가, 자식들에게 짐이 되지 않으려고 “마지막 동행(죽음)”을 택하는 장면에서 눈물을 흘렸다. 드라마 <눈이 부시게>는 치매노인(김혜자)이 치매로 최근 기억은 지워지고 25살의 인생의 가장 눈부셨던 시절로 돌아가는 이야기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행복해했다. 최절정은“하나뿐인 내편”에서 머리채를 잡거나 독설을 쏟아내는 치매할머니는 늘 손자며느리의 수호천사로 귀엽고 유쾌한 캐릭터로 존재감이 가득했었다. “치매”를 주재로 한 다양한 문화공연들이 사회적 책임과 역활을 해주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대통령공약인 '치매 국가 책임제' 정책으로, 치매환자 돌보는 요양보호사를 2022년까지 10만 8천명 양성, 독거노인 전수 치매검진실시, 치매안심센터 ‘19년 말까지 전국 256개소 설치 등
'치매국가책임제 계획(안)'을 지난 3월 26일 보도자료를 발표했다. 치매에 대한 관리와 치료시스템이 점점 확대되고 있어 반가운 현상이다
덧붙여 치매를 치료적 대상에서 “치매 당사자의 ‘결코 불행하기만 한 시간은 아니라는’ 시각, 고령화 시대 누구나에게 있을 수 있는 노화의 한 과정”으로 인식의 전환이 확산되길 기대한다. 부부동반 치매 걸린 노부부, 매일 기억이 흐려가지만 잊혀 졌던 시간에 대한 로망을 기억하게된다는 로맨스 영화 “로망”이 개봉되면 보러 가야겠다.

No 제목 이름 날짜
3868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빼빼로데이 기념 쿠킹클래스’ …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11-12
3867 11월 26일 아무것도 사지 않는 날을 아시나요? 미래를 여는 환경 솔루션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이민수 11-12
3866 11월 11일 '보행자의 날'을 아시나요.  ×1 고기봉 11-08
3865 디지털 시대 어떻게 소통할까?  ×1 아라동주민센터 산업팀장 차무관 11-08
3864 중력식 하수 이송 시스템 단계적 전환   ×1 상하수도본부 하수도부 이윤재 11-08
3863 [기고] 비상구 관리의 중요성 : 폐쇄등 불법행위를 근절하자  ×1 구좌남성의용소방대원 우춘길 11-07
3862 [기고] 비상구 폐쇄 등 불법행위 신고포상제 바로알기  ×1 구좌여성의용소방대 서무반장 김순영 11-07
3861 지속가능한 제주, 친환경우수골프장의 가치  ×1 강윤정 제주특별자치도 물정책과 11-06
3860 대중교통 활성화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11-06
3859 [기고]우리나라 환경 정책의 태동과 변화,현 모습  ×1 오진우 11-05
3858 [기고] 비상구 폐쇄 등 불법행위 신고의 중요성  ×1 구좌남성의용소방대 지도부장 우민호 11-04
3857 플라스틱 덫으로부터 제주 지키기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김수연 11-04
3856 보행자의 날, 안전한 세상을 위한 우리의 노력 11월 11일, 보행자의 안전을 …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이민수 11-03
3855 [기고]제주 바다 갯녹음,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 참여 필요  ×1 강유민 11-02
3854 [기고] 비상구 폐쇄 등 불법행위 신고, 작은 실천이 생명을 구합니다  ×1 구좌남성의용소방대 부대장 주창범 11-02
3853 신엄중학교, 국화꽃 축제(꿩지빌레국화한마당축제) 성황리 개최  ×2 최병훈 11-01
3852 NH농협은행 제주시지부, (사)제주YWCA에 우리쌀 소비촉진을 위한 ‘아침밥 먹…  ×1 (사)제주YWCA 10-30
3851 자율방범대, 지역사회 안전을 위한 든든한 파트너! 곽대주 10-30
3850 [봉사활동] 제이피엠 임직원 헌혈 봉사 참여로 따뜻한 마음을 나누었습니다  ×1 (주)제이피엠 10-29
3849 (사)제주YWCA, ‘2024 가을 나눔바자회’ 성료  ×1 (사)제주YWCA 10-28
3848 홀로 사는 노인의 대한 소고  ×1 ×1 제주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 서귀포시종합 10-28
3847 도민감사관 하반기 분임활동을 마치며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10-26
3846 [기고]비상구, 우리의 생명을 살리는 희망의 길  ×1 ×1 고정훈 10-26
3845 주택관리공단 제주아라 주거행복지원센터, 입주민 봉사단 발대식 개최  ×1 김대홍 10-24
3844 주택관리공단 제주아라 주거행복지원센터 취약계층 찾아가는 음악회  ×1 ×1 강재운 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