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국민건강 지킴이, 제주 월동채소
2019-03-25 06:42
이성돈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이제 완연한 봄이 오면서 제주산 월동채소가 수확 마무리 단계이다. 하지만 턱없이 낮은 가격으로 밭을 갈아 업는 재배농업인들의 마음은 역시나 기대이하이서 찹찹할 따름이다. 어릴 적, 무청이나 배춧잎을 말린 시래기를 겨울철 채소 대용으로 무쳐 먹거나 국을 끓여 먹었던 기억이 난다. 몇 십 년도 안 된 시기의 일이었다. 그 만큼 겨울철 신선한 먹거리는 귀했었다. 지금의 제주의 월동채소가 제주의 온화한 기후를 활용하여 재배되면서 겨울철 채소 공급이 부족한 시기에 신선채소의 공급원로서 크나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에 자부심을 느낀다.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제주 월동채소가 풀어야 할 직면한 과제가 있기에 제주에서의 월동채소의 역사, 가치 그리고 비전에 대해 정리 하고자 한다.
제주는 화산폭발의 섬으로 토양이 화산토로 물을 가두어 농사에 활용하기가 어려워 보리, 콩, 조, 메밀, 고구마 등 척박한 토양에서 재배 가능한 작물들만 재배 되었다. 1970년대 들어서면서 지하수 관정이 개발되어 농업용수의 어려움이 해결되었고 1980년대 이후 원예작물 주산지가 형성되면서 제주 동부지역에 무, 당근 등, 서부지역에 양배추, 마늘, 브로콜리, 콜라비 등 월동채소가 재배되고 있으며 제주농업에 있어서 감귤 산업, 축산업과 함께 3대 축으로 월동채소산업이 발전하여 오고 있다. 특히, 제주는 에너지 비용 없이 추운 겨울 노지상태에서 월동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자연 환경을 갖고 있어 신선한 겨울 채소 공급의 기지 역할을 해 오고 있는 것이다.
최근, 이러한 제주의 월동채소는 부족과 과잉을 반복하며 가격의 급등과 폭락이라는 악순환을 이어오고 있다. 특히 금년에는 온난한 겨울로 인한 생산량 증가, 경기 침체로 인한 소비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앞으로도 지구온난화로 인한 월동채소 생산량 확대 등이 우려되는 가운데 빈번하게 발생하는 과잉생산으로 인한 수급안정을 통한 수급조절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앞으로 제주 월동채소는 과잉 생산 시 산지폐기, 비축, 격리 등 유통 대책이 필요하겠지만 근본적인 대책은 될 수 없다는 생각이다. 규격품 이외 출하 금지, 월동채소 연작지 녹비작물재배, 월동채소 품목의 다변화 등 출하량 줄이기와 더불어 가격안정관리제 효율적 운영 등에 대한 관계기관과 농업인들의 자구노력이 절실하다는 생각이다. 또한 정책적으로 월동채소 생산조정 지불제, 품목별 자조금 확대 조성 등 적정 생산을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시책을 머리를 맞대어 함께 발굴하고 실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겨울철 신선 채소의 공급기지, 전 국민 건강지킴이로서 제주의 월동채소 산업은 그 가치를 지키고 비전을 실현 해 나가는 일에 지혜를 모아나가야 할 때라는 생각을 해본다.

No 제목 이름 날짜
3543 대한민국헌법, 노인문제 그리고 정보화교육  ×1 정창보 10-19
3542 우리 모두는 기후 위기의 당사자이다 비밀글 김혜빈 10-19
3541 88올림픽과 APEC 제주유치  ×1 ×1 강석훈 10-18
3540 제주특별자치도 정보화교육..제2의 인생의 시발점이 되기를..  ×1 제주특별자치도 정보정책과 조진우 10-18
3539 다같이 안전농사에 참여하자  ×1 ×1 비밀글 전명환 10-18
3538 제주순복음종합사회복지관, 32기 제주공인중개사회 주거환경개선사업 추진 [1] 제주순복음종합사회복지관 10-16
3537 환절기 건강지킴이 우리농산물 차(茶)  ×1 배동언 10-16
3536 반복되는 가을 수확철 농기계안전사고, 올해는 줄이자!  ×1 배동언 10-16
3535 ㈜산내들 환경, 사회적협동조합 희망나래에 후원금품 전달  ×1 사회적협동조합 희망나래 10-11
3534 청년·후계농을 위한 지원에 관심을  ×1 비밀글 임용찬 10-10
3533 서귀포문화원과의 추억  ×1 김계담 10-05
3532 추석선물 고민하지 말고 주택용소방시설로  ×1 [1] 안병욱 10-04
3531 추석선물 고민하지 말고 주택용소방시설로 [1] 안병욱 10-04
3530 사회적고립청년의 희망과 꿈꿀 수 있는 내일을 기대하면  ×1 김신관 10-04
3529 우리가 반드시 보호해야 할 농업!  ×1 비밀글 전윤경(농협중앙회 경주교육원 교수) 10-04
3528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로 소중한 일상을 지키세요  ×1 구좌119센터 소방장 오성룡 10-03
3527 제주특별자치도 주민자치회 시범실시 ‘허와 실’  ×1 한관수 09-26
3526 다가오는 수확철 영농폐기물 처리에도 관심을!  ×1 농협경주교육원 한성민 교수 09-25
3525 지구를 위한 우리의 선택, 과연 지구만을 위한 것일까  ×1 [2] 제주대학교 행정학과(야) 신재효 09-21
3524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 화재 없는 안전한 추석을 위하여  ×1 제주소방서 이도119센터 김형남 09-21
3523 노인보호구역, 알고 계시는가요?  ×1 고기봉 09-21
3522 YWCA제주특별자치도협의회 RE100 워크샵 개최  ×1 서귀포YWCA 09-19
3521 "가을의 숨겨진 위험, 심정지로부터 안전하게!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이유"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고은주 09-19
3520 ‘이번 한 번은 괜찮겠지’ 하는 생각이 우리 삶의 터전을 망가트린다  ×1 고도은 09-18
3519 검진과 예방으로 “암”은 멀리 행복은 가까이!   ×1 서부보건소 강은석 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