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 검정 시비로 청정 제주토양을 지키자
2019-03-05 06:24
이성돈 (Homepage : http://)
3.4 청정 제주토양을 지키자.hwp ( size : 37.50 KB / download : 7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최근 농업현장에는 비료 구입 농가를 대상으로 비료 살포를 무료로 해주는 서비스가 확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모습을 보면서 농사가 편해지고 있다는 생각과 아울러 다른 한편으로는 대책 없이 뿌려지는 비료가 제주 토양에 미쳐지는 영향은 어떨까 하는 의구심이 생기기도 한다.
토양은 생명체가 있는 사람과 모든 동식물의 생존기반이다. 토양오염은 땅속의 오염축적에 끝나지 않고 농작물과·동물에 오염물질의 축적되고, 지하수와 지표수의 오염, 오염토양의 확산에 의해 인간 생활 및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준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특히 생명체를 키우는 농업을 하는 농업인들에게 토양은 더할 나위 없이 가꾸고 보존해야할 대상이기도 하다.
1960년대까지 우리나라는 농업 국가였다. 그때의 농업정책은 화학비료와 농약에 의한 농업 생산량 증대에 초점이 맞춰져 추진 돼 왔던 게 사실이다. 이러한 정책은 식량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자연생태계가 파괴되고 토양과 수질 등의 농업환경을 오염시키는 역기능도 가져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2000년대 들어 화학비료에 대한 보조금이 폐지되고 맞춤형 비료(BB비료)를 통한 비료 공급을 해오고 있으나 필지별 특성에 맞는 성분조절의 한계로 인한 적정 시비 효과 미비 및 농업인들의 이용이 저조한 실정으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농업환경에 맞게 전환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많은 양의 생산보다는 고품질 안전 농산물 생산, 토양을 청정하게 보존하는 방향으로 선회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토양검정을 통한 시비 방법으로 개선하는 방식의 확대는 불필요한 비료 시비를 줄이고 작물의 균형 있는 생육과 고품질 친환경 농산물 생산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현재 전국의 농업기술센터에는 토양검정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토양검정과 시비처방서 발급은 무료이며 농업인이면 누구나 이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지금의 현실은 소수의 농업인들만 이용 하는 실정으로 다수의 농업인들이 토양 검정에 의한 시비가 정착되기 위한 지금의 맞춤형 비료 공급 정책 보다 더욱 개선된 제도적 시스템 구축이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환경을 생각한다면 비료를 뿌리지 않는 게 능사는 아니다. 토양 검정에 의한 시비 시스템이 정착 된다면 농업잉들의 경영비 절감은 물론 토양을 살리며 자연과 함께 하는 친환경농업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믿음을 가져본다. 앞으로의 제주농업의 관건은 청정이다. 제주는 다른 지역과 다른 물 빠짐이 좋은 화산회토로 비료의 과용은 제주의 생명수인 지하수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취약점을 갖고 있다. 제주의 큰 가치인 청정을 이어나가기 위하여 토양검정 시스템을 활용한 다각적인 비료 수급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868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빼빼로데이 기념 쿠킹클래스’ …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11-12
3867 11월 26일 아무것도 사지 않는 날을 아시나요? 미래를 여는 환경 솔루션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이민수 11-12
3866 11월 11일 '보행자의 날'을 아시나요.  ×1 고기봉 11-08
3865 디지털 시대 어떻게 소통할까?  ×1 아라동주민센터 산업팀장 차무관 11-08
3864 중력식 하수 이송 시스템 단계적 전환   ×1 상하수도본부 하수도부 이윤재 11-08
3863 [기고] 비상구 관리의 중요성 : 폐쇄등 불법행위를 근절하자  ×1 구좌남성의용소방대원 우춘길 11-07
3862 [기고] 비상구 폐쇄 등 불법행위 신고포상제 바로알기  ×1 구좌여성의용소방대 서무반장 김순영 11-07
3861 지속가능한 제주, 친환경우수골프장의 가치  ×1 강윤정 제주특별자치도 물정책과 11-06
3860 대중교통 활성화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11-06
3859 [기고]우리나라 환경 정책의 태동과 변화,현 모습  ×1 오진우 11-05
3858 [기고] 비상구 폐쇄 등 불법행위 신고의 중요성  ×1 구좌남성의용소방대 지도부장 우민호 11-04
3857 플라스틱 덫으로부터 제주 지키기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김수연 11-04
3856 보행자의 날, 안전한 세상을 위한 우리의 노력 11월 11일, 보행자의 안전을 …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이민수 11-03
3855 [기고]제주 바다 갯녹음,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 참여 필요  ×1 강유민 11-02
3854 [기고] 비상구 폐쇄 등 불법행위 신고, 작은 실천이 생명을 구합니다  ×1 구좌남성의용소방대 부대장 주창범 11-02
3853 신엄중학교, 국화꽃 축제(꿩지빌레국화한마당축제) 성황리 개최  ×2 최병훈 11-01
3852 NH농협은행 제주시지부, (사)제주YWCA에 우리쌀 소비촉진을 위한 ‘아침밥 먹…  ×1 (사)제주YWCA 10-30
3851 자율방범대, 지역사회 안전을 위한 든든한 파트너! 곽대주 10-30
3850 [봉사활동] 제이피엠 임직원 헌혈 봉사 참여로 따뜻한 마음을 나누었습니다  ×1 (주)제이피엠 10-29
3849 (사)제주YWCA, ‘2024 가을 나눔바자회’ 성료  ×1 (사)제주YWCA 10-28
3848 홀로 사는 노인의 대한 소고  ×1 ×1 제주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 서귀포시종합 10-28
3847 도민감사관 하반기 분임활동을 마치며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10-26
3846 [기고]비상구, 우리의 생명을 살리는 희망의 길  ×1 ×1 고정훈 10-26
3845 주택관리공단 제주아라 주거행복지원센터, 입주민 봉사단 발대식 개최  ×1 김대홍 10-24
3844 주택관리공단 제주아라 주거행복지원센터 취약계층 찾아가는 음악회  ×1 ×1 강재운 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