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 검정 시비로 청정 제주토양을 지키자
2019-03-05 06:24
이성돈 (Homepage : http://)
3.4 청정 제주토양을 지키자.hwp ( size : 37.50 KB / download : 7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최근 농업현장에는 비료 구입 농가를 대상으로 비료 살포를 무료로 해주는 서비스가 확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모습을 보면서 농사가 편해지고 있다는 생각과 아울러 다른 한편으로는 대책 없이 뿌려지는 비료가 제주 토양에 미쳐지는 영향은 어떨까 하는 의구심이 생기기도 한다.
토양은 생명체가 있는 사람과 모든 동식물의 생존기반이다. 토양오염은 땅속의 오염축적에 끝나지 않고 농작물과·동물에 오염물질의 축적되고, 지하수와 지표수의 오염, 오염토양의 확산에 의해 인간 생활 및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준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특히 생명체를 키우는 농업을 하는 농업인들에게 토양은 더할 나위 없이 가꾸고 보존해야할 대상이기도 하다.
1960년대까지 우리나라는 농업 국가였다. 그때의 농업정책은 화학비료와 농약에 의한 농업 생산량 증대에 초점이 맞춰져 추진 돼 왔던 게 사실이다. 이러한 정책은 식량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자연생태계가 파괴되고 토양과 수질 등의 농업환경을 오염시키는 역기능도 가져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2000년대 들어 화학비료에 대한 보조금이 폐지되고 맞춤형 비료(BB비료)를 통한 비료 공급을 해오고 있으나 필지별 특성에 맞는 성분조절의 한계로 인한 적정 시비 효과 미비 및 농업인들의 이용이 저조한 실정으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농업환경에 맞게 전환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많은 양의 생산보다는 고품질 안전 농산물 생산, 토양을 청정하게 보존하는 방향으로 선회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토양검정을 통한 시비 방법으로 개선하는 방식의 확대는 불필요한 비료 시비를 줄이고 작물의 균형 있는 생육과 고품질 친환경 농산물 생산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현재 전국의 농업기술센터에는 토양검정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토양검정과 시비처방서 발급은 무료이며 농업인이면 누구나 이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지금의 현실은 소수의 농업인들만 이용 하는 실정으로 다수의 농업인들이 토양 검정에 의한 시비가 정착되기 위한 지금의 맞춤형 비료 공급 정책 보다 더욱 개선된 제도적 시스템 구축이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환경을 생각한다면 비료를 뿌리지 않는 게 능사는 아니다. 토양 검정에 의한 시비 시스템이 정착 된다면 농업잉들의 경영비 절감은 물론 토양을 살리며 자연과 함께 하는 친환경농업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믿음을 가져본다. 앞으로의 제주농업의 관건은 청정이다. 제주는 다른 지역과 다른 물 빠짐이 좋은 화산회토로 비료의 과용은 제주의 생명수인 지하수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취약점을 갖고 있다. 제주의 큰 가치인 청정을 이어나가기 위하여 토양검정 시스템을 활용한 다각적인 비료 수급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943 꾸준함이 전문가를 만든다!  ×1 아라동주민센터 산업팀장 차무관 01-31
3942 여성긴급전화1366 제주센터에 후원해주셨습니다 1366제주센터 01-31
3941 [기고]신속한 대피가 어려운 요양시설, 화재 예방이 생명  ×1 구좌119센터 소방사 오승근 01-30
3940 (사)제주YWCA, 제58차·제4차 정기총회 개최  ×1 (사)제주YWCA 01-21
3939 (사)제주YWCA, 창립 70주년 기념식 성황리에 마무리  ×1 (사)제주YWCA 01-21
3938 <플라스틱의 딜레마, 우리는 어떻게?>  ×1 제주개발공사 품질관리팀 이정헌 01-21
3937 즐거운 겨울철 산행을 위한 팁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1-21
3936 전기자전거 구입 지원, 더 가까워진 녹색제주  ×1 오명수 01-20
3935 두 바퀴로 여는 제주의 푸른 미래  ×1 오명수 01-14
3934 [기고] 119구급대원 꿈을 위한 아라119센터 소방 실습을 마치며  ×1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한지원 01-10
3933 어른다운 어른이 되어야 한다 비밀글 김수현 01-09
3932 우리는 알게 모르게 유교(儒敎)적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향교재단 01-07
3931 [기고] 효돈119센터에서의 실습을 마치며  ×1 박서현 01-07
3930 [기고] 불법현수막 없는 도시, 함께 만드는 깨끗한 미래  ×1 아라동 표세진주무관 01-07
3929 나의 꿈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 이번 실습  ×1 현종민 01-07
3928 생명의 존귀함을 대하는 119 구급대원의 자세  ×1 ×1 고서현 01-06
3927 [기 고 ]전기자전거로 그리는 제주의 새로운 일상  ×1 오명수 01-06
3926 [기고] 구좌119센터 실습을 마치며  ×1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윤고은 01-03
3925 산분장: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장례 문화 비밀글 전윤경(농협경주교육원 교수) 01-03
3924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제주도본부,유진주간활동센터에 10년간 기부금 전달  ×1 김경민 12-27
3923 제주은행봉사단 보은의집 요양원 후원물품전달  ×1 박금희 12-24
392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연말맞이 기념 마카롱 꾸미기’ …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12-23
3921 안전한 겨울나기. 작은 습관이 큰 안전을 만든다.  ×1 성산 12-23
3920 행복한 크리스마스에 가려진 환경의 실태  ×1 오가은 12-23
3919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우리 모두의 노력이 필요한 때  ×1 고기봉 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