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 검정 시비로 청정 제주토양을 지키자
2019-03-05 06:24
이성돈 (Homepage : http://)
3.4 청정 제주토양을 지키자.hwp ( size : 37.50 KB / download : 7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최근 농업현장에는 비료 구입 농가를 대상으로 비료 살포를 무료로 해주는 서비스가 확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모습을 보면서 농사가 편해지고 있다는 생각과 아울러 다른 한편으로는 대책 없이 뿌려지는 비료가 제주 토양에 미쳐지는 영향은 어떨까 하는 의구심이 생기기도 한다.
토양은 생명체가 있는 사람과 모든 동식물의 생존기반이다. 토양오염은 땅속의 오염축적에 끝나지 않고 농작물과·동물에 오염물질의 축적되고, 지하수와 지표수의 오염, 오염토양의 확산에 의해 인간 생활 및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준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특히 생명체를 키우는 농업을 하는 농업인들에게 토양은 더할 나위 없이 가꾸고 보존해야할 대상이기도 하다.
1960년대까지 우리나라는 농업 국가였다. 그때의 농업정책은 화학비료와 농약에 의한 농업 생산량 증대에 초점이 맞춰져 추진 돼 왔던 게 사실이다. 이러한 정책은 식량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자연생태계가 파괴되고 토양과 수질 등의 농업환경을 오염시키는 역기능도 가져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2000년대 들어 화학비료에 대한 보조금이 폐지되고 맞춤형 비료(BB비료)를 통한 비료 공급을 해오고 있으나 필지별 특성에 맞는 성분조절의 한계로 인한 적정 시비 효과 미비 및 농업인들의 이용이 저조한 실정으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농업환경에 맞게 전환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많은 양의 생산보다는 고품질 안전 농산물 생산, 토양을 청정하게 보존하는 방향으로 선회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토양검정을 통한 시비 방법으로 개선하는 방식의 확대는 불필요한 비료 시비를 줄이고 작물의 균형 있는 생육과 고품질 친환경 농산물 생산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현재 전국의 농업기술센터에는 토양검정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토양검정과 시비처방서 발급은 무료이며 농업인이면 누구나 이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지금의 현실은 소수의 농업인들만 이용 하는 실정으로 다수의 농업인들이 토양 검정에 의한 시비가 정착되기 위한 지금의 맞춤형 비료 공급 정책 보다 더욱 개선된 제도적 시스템 구축이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환경을 생각한다면 비료를 뿌리지 않는 게 능사는 아니다. 토양 검정에 의한 시비 시스템이 정착 된다면 농업잉들의 경영비 절감은 물론 토양을 살리며 자연과 함께 하는 친환경농업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믿음을 가져본다. 앞으로의 제주농업의 관건은 청정이다. 제주는 다른 지역과 다른 물 빠짐이 좋은 화산회토로 비료의 과용은 제주의 생명수인 지하수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취약점을 갖고 있다. 제주의 큰 가치인 청정을 이어나가기 위하여 토양검정 시스템을 활용한 다각적인 비료 수급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543 대한민국헌법, 노인문제 그리고 정보화교육  ×1 정창보 10-19
3542 우리 모두는 기후 위기의 당사자이다 비밀글 김혜빈 10-19
3541 88올림픽과 APEC 제주유치  ×1 ×1 강석훈 10-18
3540 제주특별자치도 정보화교육..제2의 인생의 시발점이 되기를..  ×1 제주특별자치도 정보정책과 조진우 10-18
3539 다같이 안전농사에 참여하자  ×1 ×1 비밀글 전명환 10-18
3538 제주순복음종합사회복지관, 32기 제주공인중개사회 주거환경개선사업 추진 [1] 제주순복음종합사회복지관 10-16
3537 환절기 건강지킴이 우리농산물 차(茶)  ×1 배동언 10-16
3536 반복되는 가을 수확철 농기계안전사고, 올해는 줄이자!  ×1 배동언 10-16
3535 ㈜산내들 환경, 사회적협동조합 희망나래에 후원금품 전달  ×1 사회적협동조합 희망나래 10-11
3534 청년·후계농을 위한 지원에 관심을  ×1 비밀글 임용찬 10-10
3533 서귀포문화원과의 추억  ×1 김계담 10-05
3532 추석선물 고민하지 말고 주택용소방시설로  ×1 [1] 안병욱 10-04
3531 추석선물 고민하지 말고 주택용소방시설로 [1] 안병욱 10-04
3530 사회적고립청년의 희망과 꿈꿀 수 있는 내일을 기대하면  ×1 김신관 10-04
3529 우리가 반드시 보호해야 할 농업!  ×1 비밀글 전윤경(농협중앙회 경주교육원 교수) 10-04
3528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로 소중한 일상을 지키세요  ×1 구좌119센터 소방장 오성룡 10-03
3527 제주특별자치도 주민자치회 시범실시 ‘허와 실’  ×1 한관수 09-26
3526 다가오는 수확철 영농폐기물 처리에도 관심을!  ×1 농협경주교육원 한성민 교수 09-25
3525 지구를 위한 우리의 선택, 과연 지구만을 위한 것일까  ×1 [2] 제주대학교 행정학과(야) 신재효 09-21
3524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 화재 없는 안전한 추석을 위하여  ×1 제주소방서 이도119센터 김형남 09-21
3523 노인보호구역, 알고 계시는가요?  ×1 고기봉 09-21
3522 YWCA제주특별자치도협의회 RE100 워크샵 개최  ×1 서귀포YWCA 09-19
3521 "가을의 숨겨진 위험, 심정지로부터 안전하게!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이유"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고은주 09-19
3520 ‘이번 한 번은 괜찮겠지’ 하는 생각이 우리 삶의 터전을 망가트린다  ×1 고도은 09-18
3519 검진과 예방으로 “암”은 멀리 행복은 가까이!   ×1 서부보건소 강은석 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