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감귤산업, 새로운 50년을 위하여
2019-02-22 15:05
이성돈 (Homepage : http://)
감귤산업, 새로운 50년을 위하여.hwp ( size : 523.00 KB / download : 13 )
제주에서 감귤이 재배하기 시작한 것은 1000여 년 전이다. 고려사를 보면 1052년(문종 5)에 제주의 토산물로 중앙정부에 매해 바치던 귤에 대한 기록은 귤 관련 우리나라 최초의 기록으로 알려지고 있다. 1968년 감귤 증산계획 이후 70∼80년대에 집중적으로 감귤이 식재되고 80∼90년대에는 대학나무라고 불릴 정도로 지역경제의 기반산업으로 성장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돌이켜 보면 산업으로서의 제주감귤의 역사는 50년 정도로 그다지 길지만은 않은 역사이다. 하지만 빠르게 변하는 대내외적 시장 환경과 소비자 트랜드 변화, 기후변화로 인한 제주 이외 지역의 감귤 재배 증가 등을 보았을 때 작금의 현실은 녹록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느낀다.
미래 제주 경제의 한축으로 제주감귤산업이 지속 성장할 수 있기 위해서는 감귤 산업의 새로운 50년에 대한 청사진의 제시가 필요한 시점이다. 지금까지의 제주감귤 산업의 구조를 보면 생산 및 유통 전반에 걸쳐 행정 의존도가 높은 편이었으며 새로운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한다고는 하였지만 그 실천이 따르지 못하는 등 감귤 관련 생산자 및 유통조직 개선 등 시장 환경변화에 대응한 혁신이 필요하며 감귤 농가들의 자구노력이 더욱더 절실 한 실정이다. 감귤산업의 혁신은 법과 제도의 개선, 농업인들의 자구노력이 있어야 하는 부분이다. 법과 제도 개선의 핵심 축은 감귤 생산 유통조례이다. 지금까지의 감귤 정책은 정적생산 유도를 위한 보호적 정책이었다. 앞으로는 품질 좋은 감귤 생산은 자생적으로 활성화 되고 품질이 떨어지는 감귤은 스스로 도퇴될 수 있는 공정한 시장이 될 수 있는 시스템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이러한 점에서 최근에 종전의 감귤상품기준을 크기 기준에서 당도 10브릭스 이상 감귤은 크기와 상관없이 유통할 수 있도록 생산유통 조례를 개정한 점은 감귤산업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앞으로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과수원 정비를 통한 과감한 과원정비, 품종갱신, 이랑피복재배 실천 등 감귤 농업인들의 자구노력이 더욱 절실하다는 생각이다.
이제 겨울이 지나고 언 땅이 풀리면서 과수원 정비의 시즌이 다가오고 있다. 감귤산업의 새로운 50년을 준비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오는 봄을 준비해야 할 때라는 생각이다. 고품질 감귤 생산, 소비자 트랜드에 맞는 상품출하 등 새로운 시대에 맞는 감귤 생산 및 유통환경이 정착된다면 제주감귤산업의 새로운 50년은 밝을 거라는 믿음을 갖는다.

No 제목 이름 날짜
3739 (기고문)6월 자동차세, 연납 신청으로 절세하기  ×1 ×1 비밀글 애월읍사무소 이다온 06-07
3738 제주 바다를 우리 손으로 보호하자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현주환 06-05
3737 호국영웅 제주마(馬), “레클리스”를 기억하자!  ×1 한국마사회 제주본부 06-05
3736 향군 여성회 봉사활동 "영웅과 함께 고고고"  ×2 제주도향군 06-04
3735 제주의 숨겨진 보물, 올레길의 현실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오승민 06-04
373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5월 청소년의 달’ 참여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5-31
3733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은 우리의 선택  ×1 ×1 비밀글 전윤경(농협경주교육원 교수) 05-29
3732 [기고] 세계 환경의 날을 맞이하여  ×1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미경 05-28
3731 서귀포시정방라이온스클럽,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1 양정은 05-27
3730 천혜의 섬, 제주 지오브랜드를 통해 힐링을 떠나자!  ×1 박선웅 05-26
3729 바다의 날을 아시나요!  ×1 김예 05-26
3728 전쟁, 기후위기 그리고 식량안보  ×1 비밀글 김종우 05-24
3727 식품안전, 더운 여름 특히 유의해야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재원 05-24
3726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노인일자리 참여자 문화체험활동 실시 …  ×1 강은희 05-23
3725 APEC유치는 제주청년부터 나서야 한다  ×1 이성재 05-20
3724 탄소제로 세상을 만들기 위한 업사이클링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이민수 05-20
3723 생물다양성, 우리가 보존해야할 가치  ×1 ×1 김수연 05-20
3722 [기고] 따뜻한 봄철, 부주의로 인한 화재예방 당부  ×1 ×1 서귀포소방서 효돈119센터 임준영 05-15
3721 [기고] 막힘없는 빗물받이 만들기  ×1 장명서 05-14
3720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수료식 및 개강식 개최  ×1 양정은 05-14
3719 월 100만원의 학원비가 의미 없는 이유  ×1 강규선 05-13
3718 지속 가능한 교통 시스템의 구축  ×1 송시현 05-12
3717 기고) 봄철, 온 가족이 화재 예방으로 안전을 지키자  ×1 김민수 05-12
3716 기고) 찾아가는 현장 세무상담실 세금고민 도와준다.  ×1 고종필 05-09
3715 [기고문] 지하공간 침수를 사전대비가 필수입니다.  ×1 장명서 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