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기고]민간차원의 실전농사학교 개설 필요!
2018-12-28 11:19
|
---|
강시병 (Homepage : http://)
|
전 한림농협 수석이사 강 시 병 제주도의 순수인구유입은 그 추세가 꺾이긴 했지만 여전히 늘고 있다. 1만명이상 유입되기 시작한 2014년부터 작년까지 정말 많은 사람들이 귀농귀촌, 숙박업, 카페 및 식당업 등 각각의 이유로 제주로, 제주로 밀려들어왔다. 특히 최근 3년 동안 제주 귀농·귀촌인구는 26,277가구, 37,726명(2017년 기준, 통계청)으로 청정제주의 이미지와 친환경농사법 등 막연한 기대 속에 귀농·귀촌 붐이 일고 있다. 전국적으로 U턴 현상에 힘입어 귀농귀촌이 증가하면서 귀농귀촌 지원을 위한 정부차원의 귀농귀촌종합센터가 운영 된지 이미 오래이다. 민간차원의 귀농귀촌연합회도 전국적인 네트워크로 구성돼 있다. 따라서 귀농을 위한 「귀농 농업창업 및 주택구입 지원」,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 토지확보를 위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농지은행 사업」 등의 지원사업과 함께 영농기술 습득 등의 교육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을마다 이제 막 이주한 귀농인은 실전농사법에는 매우 약하다. 막상 어디서 시작하고 어떻게 운영해야 하는지 막막해 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실전농사법을 위한 체계적인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영농기술학교 등 기관단체에서도 필요하지만 「1농업인 1귀농인 개인농사학교」 차원으로 마을마다 오랫동안 농사를 지어 오신 경험 많은 농사꾼 즉 농업인 중심의 민간차원의 실전농사학교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은 아무리 주장해도 지나침이 없다. 사실 민간차원에서 귀농인을 위한 실전농사학교 운영은 그리 쉽지는 않다. 시설규모뿐만 아니라 강사 등 교육여건들의 구성 등이 녹녹치 않지만 쉽게 생각하면 또한 매우 쉬운 것이다. 그냥 평생 농사만 지은 농사꾼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모종을 내고, 밭을 만들고, 퇴비를 나르고, 비닐하우스를 손보고, 고추모종 심기를 따라 해 보는 등 그대로 따라 하기를 하면서 체험하는 것이야 말로 살아있는 교육 아니겠는가? ※ 프로필 • 귀덕초, 한림중학교 졸업 • 제주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수료 • 한림농협수석이사(전) • 새마을지도자 한림읍협의회장(전) ※ 연락처 • 휴대폰 : 010-3691-5115 • 이메일 : chinyoo@naver.com |
|
민주노총 제주 “290원 찔끔 인상, 최저임금 취지…
제철 지역 농축산물 할인... 제주농협, 14일 직거…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5년 7월 11일 제주뉴스
제주 하논 분화구 핵심구역 사유지 매입 본격 착…
시민단체 “추자해상풍력, 도내 신재생에너지 …
제주여름 별미 ‘한치’ 사라졌다.. “고수온 서…
이 대통령 문체장관 후보 최휘영·국토장관 김윤…
추자해상풍력 공모 시작했는데… 해상 경계 여…
한지 위에 새긴 삶… 박철 작가 회고전 '흔적의 …
[문화쪽지] 드로잉으로 그린 '청춘의 단면' …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