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제주국제감귤박람회, 통일농업의 첫 걸음 내딛는다.
2018-10-11 08:52
이성돈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지난 9월 18일부터 20일까지 평양에서 남북정상회담이 있었다. 그때 정상회담의 백미(白眉)는 양 정상이 민족의 두 영산인 백두산과 한라산의 물이 합쳐지는 광경이 계획되지 않은 상황에서 연출되어 많은 국민들은 감동과 통일에 대한 환희를 느꼈다. 그 이후 남북관계 개선과 남북한 교류도 가속화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제주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작지만 뜻있는 노력들을 이미 시작하고 있었다. 1998년부터 감귤 북한 보내기 운동을 시작하여 남한과 북한의 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해왔다. 하지만 지난 2010년 천안함 침몰사건으로 중단된 이후 1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는 멈춰진 상황으로 감귤 북한 보내기 교류사업의 재개가 시급한 실정이다.
산악지대가 대부분이며 비교적 추운 북한과 평야지대가 많고 따뜻한 남한으로 한반도의 농업환경은 뚜렷하게 구분된다. 북한은 산간지역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잡곡류를 비롯한 고랭지 작물 생산이 유리하다. 반면 제주는 북한에서는 재배하지 못하는 감귤을 비롯한 아열대 작물과 함께 월동채소가 주를 이룬다. 특히 북한은 지하자원이 풍부하고 남한은 임야, 평야, 바다 등 농어업 및 해양자원의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한반도는 남북의 자연적, 지리적 조건을 서로 잘 활용하면 자연분업을 통한 한반도의 균형 있는 경제발전이 가능 할 것으로 기대해 본다.
반면, 지금의 세계경제는 개방화와 함께 지역주의화가 고착화 되어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입장에서 볼 때, 농업을 포함한 남북의 교류는 다른 대륙별 시장통합보다 비교우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올해 감귤은 남한 인구 5천만 명 소비를 위한 48만 톤 정도 생산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통일이 이루어진다면 제주감귤은 8천만 명 소비를 위한 과일을 생산해야 할 것으로 예상 할 수 있다. 비록 지금은 민간지원 차원의 감귤 북한 보내기 운동이나 장기적으로는 농업기술교류와 함께 남북농산물 거래방식으로 전환하는 장기적인 로드맵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오는 11월 7일부터 13일까지 ‘2018 제주국제감귤박람회’가 열린다. 이번 감귤박람회는 제주감귤 북한보내기를 통한 남북 평화협력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박람회가 될 것이다. 제주감귤이 통일 앞당기기에 있어서 비타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제주에서 할 수 있는 통일농업의 첫걸음은 ‘제주감귤 북한보내기’교류가 아닐까하는 희망 섞인 기대를 해본다.

No 제목 이름 날짜
3643 설 명절 고유 전통의 의미 살리고 청렴한 공직문화 조성에 앞장  ×1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백경훈 사장 02-06
3642 제주솜다리로타리클럽, (사)제주YWCA에 취약계층 청소년들을 위한 쌀 300kg 및…  ×1 (사)제주YWCA 02-05
3641 기고)올해 지방세 제도 어떻게 달라지나요  ×1 고종필 02-04
3640 도민감사관의 직무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2-03
3639 가스 안전 수칙 실천으로 행복한 신구간  ×1 ×1 서귀포소방서 효돈119센터 백승종 01-31
3638 희망과 꿈이 가득한 오조리 마을을 꿈꾸며  ×1 01-30
3637 도민감사관의 청렴관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1-28
3636 유학(儒學)사상은 삶의 이치(理致)를 구하는 학문입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 향교재단 이사장 문 01-26
3635 (사)제주YWCA, 제3차 정기총회 및 30대 회장 정윤희 이사 취임  ×1 (사)제주YWCA 01-25
3634 삶의 질 향상은 평생학습으로  ×1 제주대학교 평생교육원 조두환 01-25
3633 3대 전기 난방용품 안전수칙 준수로 따뜻한 겨울나기  ×1 ×1 서귀포소방서 효돈119센터 백승종 01-25
3632 (주)제이피엠 사랑의 헌혈봉사  ×1 (주)제이피엠 01-24
3631 인감증명서 발급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   ×1 심소연 01-24
3630 기고)도민 여러분을 세정대학으로 초대합니다.  ×1 고종필 01-19
3629 모두의 안전을 위한 겨울의 예방 메시지  ×1 ×1 제주소방서 노형119센터 강정준 01-19
3628 2024년 겨울철 화재 예방을 위한 3가지 수칙  ×1 제주소방서 이도119센터 김형남 01-18
3627 인감증명서 발급하기전에 알아야할 것   ×1 건입동주민센터 심소연 01-17
3626 도민 모두가 행복한 “ᄀᆞ치 행복한 뜨락”   ×1 ×1 제주개발공사 주거복지팀 김봉철 팀장 01-16
3625 제주도민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새로운 변화!  ×1 ×1 제주개발공사 김대현 주거복지본부장 01-16
362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국립평창청소년수련원 ‘2024 늘빛…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1-15
3623 제주 청년활동의 꿀공간 '청년다락'  ×1 김신관 01-15
3622 기고) 남원 119센터 현장실습, 119구급대원의 꿈을위한 동기부여가 되다  ×1 오은교 01-09
3621 기고)일상생활속 세금고민 마을세무사가 도와준다  ×1 고종필 01-09
3620 안전한 거주 울타리, 공공주택  ×1 제주개발공사 현정윤주임 01-08
3619 기고)올해 세테크 시작은 1월 자동세 연납으로~~  ×1 고종필 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