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의 섬 제주? 쓰레기 섬 제주?
2018-06-08 21:44
이진호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제주도는 에메랄드 빛의 바닷가와 맑은공기 그리고 따뜻한 기후까지 말 그대로 평화의 섬이라는 표현이 어색하지 않았다. 하지만, 평화의 섬 제주는 서서히 자취를 감추고 있는 추세이다. 바로 해양쓰레기 때문이다.

제주도의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지난해 1만 4천여톤에 달하고, 최근 5년간 수거한 해양쓰레기량이 전국 3위를 차지할 만큼 높은 수거량을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제주도에서 수거된 쓰레기들 중 외국기인인 쓰레기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비율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해양쓰레기 중 플라스틱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해양쓰레기통합정보 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제주도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에서 수거된 2474개의 해양쓰레기 가운데 플라스틱이 1168개로 전체비율의 47.2%를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분류별로 보았을 때 플라스틱 중에서도 페트병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제주환경운동연합 관계자에 따르면 “제주해안에서 쓰레기들이 많이 걸리고 있고 플라스틱 중에서도 페트병이 많이 걸리는데, 이러한 쓰레기들은 염분이 있어 재활용하기가 쉽지 않고, 만약 가능하다고 하여도 탈염비용이 만만치가 않아 현재 제주도에선 매립 또는 소각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제주도 해양쓰레기에서 발견된 플라스틱들이 이렇게 증가한 이유는 무엇일까?

제주도의 인구수는 1992년 505,784명에서 2016년에는 641,597명으로 약 26.9% 증가하였다. 이는 전국 1992년 4,450만 명에서 2016년 5,170만 명으로 약 16.2% 증가한 비율보다 전국대비 높은 비율로 인구가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제주도의 관광객 수는 매년 100만명씩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08년 제주도의 렌터카 업체는 총 64개, 렌터카의 보유대수는 약 14,000대 였지만, 2018년 제주도의 렌터카 업체의 수는 114개로 보유대수도 약 31,000대로 증가했다는 점을 보았을 때 관광객의 수가 상당히 많이 증가했다고 볼 수 있다. 제주도에는 거주자 뿐만 아니라 관광객들이 넘쳐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이는 플라스틱 사용량 증가의 큰 영향을 미친다. 제주도 해안도로에 우후죽순 생겨나는 카페, 음식점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의 증가 역시 해양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율을 높이기에 충분한 조건이 되어버렸다. 이러한 플라스틱 비율의 증가는 해결할 수 없는 것인가?

브라질 쿠리치바는 생태도시로 유명하다. 과거 자이미 네르네르 시장의 리더쉽과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인해 환경오염이 심했던 도시를 생태도시로 탈바꿈 하였다. 지도자와 주민들의 협력으로 환경문제를 해결한 성공적인 사례이다. 지금 제주도는 그 어느때보다 플라스틱 사용량의 줄이기 위한 정책과 우리들의 참여가 필요한 때이다. 우리들의 환경의식 개선과 정책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로 인해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게 되면 쓰레기섬 제주를 다시 평화의 섬 제주로 바꿀 수 있지 않을까?

제주대 행정학과 이진호

No 제목 이름 날짜
3764 제주특별자치도의 기초자치단체 설치 방향에 대한 유감  ×1 ×1 강봉오 07-23
3763 중문 119센터 구급대 현장실습을 마치며  ×1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2학년 김민 07-22
3762 [기고] 200년 빈도의 강우! 지하공간은 사전대비가 답이다.  ×1 장명서 07-18
3761 [기고문] 목표가 생기게 된 소방실습을 마치며  ×1 정민혁 07-17
3760 (사)제주YWCA 고미연 이사, ‘제 13회 인구의 날’ 기념식 제주특별자치도교…  ×1 (사)제주YWCA 07-12
3759 [기고] 극한호우!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대비하세요.  ×1 장명서 07-11
3758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KB라이프 경제교실’ 진행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7-05
3757 물놀이 안전 수칙, 아무리 강조해도 지니치지 않다.  ×1 고기봉 07-03
3756 [기고] 재해취약지 주택 대상 풍수해·지진재해보험 무료가입! 이번 혜택 놓…  ×1 장명서 07-03
3755 사단법인 서귀포YWCA 청년일자리사업 직무설명회 개최  ×1 서귀포YWCA 06-28
375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주중체험활동프로그램 ‘여름맞이 …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6-27
3753 제주도재향군인회여성회 여성가족부장관 단체표창 수상  ×2 제주도재향군인회 06-27
3752 제주비단망사로 인해 용암이 흐르 듯 붉은 제주 바다.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홍준영 06-26
3751 효돈의용소방대 기로회 요양원 봉사활동 전개  ×2 효돈의용소방대 06-20
3750 오래 사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1 차무관 06-19
3749 "의용소방대의 안전지킴이 역할은 여름에도 계속된다 "  ×1 중문남성의용소방대장 강영철 06-19
3748 갯벌이 아파요  ×1 비밀글 고기봉 06-17
3747 기후 마지노선을 아시나요?  ×1 홍지우 06-17
3746 기후 마지노선을 아시나요?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홍지우 06-16
3745 (사)제주YWCA, 해안 정화활동  ×2 (사)제주YWCA 06-15
3744 제주신도시로타리클럽, (사)제주YWCA에 취약계층 청소년들을 위한 쌀 200kg 나…  ×1 (사)제주YWCA 06-12
3743 화북공업단지, '이전’에 앞서 ‘노동권’챙겨야  ×1 오진우 06-12
3742 MZ세대와의 갈등? 어쩌면 편견일수도  ×1 비밀글 김미경 06-10
3741 [기고]ESG와 농업 :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필수 전략  ×1 비밀글 김종우 06-10
3740 (기고문)6월 자동차세, 연납 신청으로 절세하기  ×1 ×1 비밀글 애월읍사무소 이다온 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