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 도움센터 설치, 누구를 위한 것인가?
2017-12-09 09:35
재활용도움센터.docx ( size : 16.04 KB / download : 22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재활용도움센터 설치, 누구를 위한 것인가?
제주특별자치도는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를 시행하며 나타난 주민불편사항의 개선 정책의 일환으로 재활용도움센터를 2020년까지 전도에 170개소로 확대 설치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
재활용도움센터는 클린하우스 보다 발전된 선진국형 폐기물 배출시스템로서 배출 요일에 관계없이 수시로 재활용품을 배출 할 수 있고, 주민들의 분리배출을 도울 도우미가 상시 배치되며, 나아가 배출되는 재활용품의 양에 따라 인센티브(쿠폰, 종량제 봉투, 마일리지 등)을 제공함으로서 단순한 쓰레기 배출장을 넘어선 자원 거래의 장소로 활용되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고 한다.
이처럼 유용한 효과가 기대되는 재활용도움센터는 현재 도내 8개소가 설치 되어 있으며, 필자는 그 중하나 아라동도움센터 근방에 거주하고 있다.
최근에 건립된 재활용도움센터로 인해서 인근 주민들의 삶은 좀 더 편리해졌는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대답은 NO이다. 오히려 심각하게 불편해졌다.
왜냐하면 재활용도움센터가 들어서는 가운데 이용자에 대한 소통과 지형적, 특징적 고려가 전혀 없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가장 불편해진 점은 재활용도움센터가 들어오면서 근방의 클린하우스들이 모두 없어졌다는 것이다. 클린하우스가 있던 자리에는 근처의 재활용도움센터를 이용해 달라는 플래카드만 나부끼면서 일방적으로 통보 할 뿐, 주민의 의사에 대한 소통없이 재활용센터 이용이 강제되었다.
이로 인해 평소에 부담없이 배출하러 갈 수 있던 거리가 수 배에서 수십 배 증가하게 되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두 번째로 지형적 문제인데 재활용도움센터는 센터 이용이 강제되는 인근 주택들 보다 가장 고지대에 위치해 있다.
이 것은 앞서의 이동거리 문제와 맞물려 더 큰 불편을 가져다 준다. 배출하는 방법이 어려워짐에 따라서 한번에 모아서 쓰레기를 버리고 싶기마련인데 양손 가득 재활용, 일반, 음식물 등의 쓰레기를 들고서 가파른 언덕 길을 올라야 된다고 생각해보자. 더구나 센터가 위치한 여기 산천단은 겨울에 눈이 자주 쌓이는 편이다.
세 번째로 이러한 많은 불편들을 강요당한 주민들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근방은 제주대 후문 원룸촌이 위치하고 있어 학생들이 많이 살고 있다.
자취하는 학생입장에서 소규모의 잦은 소비를 하다 보니 생활쓰레기가 다량으로 발생하는데 원룸이라 모아둘 공간도 적고, 어찌 모아뒀다 하더라도 차량이 없어서 한번에 모아 내치기도 난감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들로 생활의 질마저 위협받는 지금. 제주특별자치도에 묻는다.
“아라동 재활용도움센터 설치는 과연 지역 주민을 위한 것인가? 센터 근처에 거주한다는 이유만으로 이런 불편함을 감내해야 하는가?”
다른 지역 주민들처럼 재활용도움센터가 클린하우스와 동시에 ‘선택’가능한 방안이 되어야지 일방적으로 ‘강제’되어서는 안된다.
끝으로 제주특별자치도가 클린하우스를 지역 주민들에게 돌려주어 불편함을 해소하고 정책과정에 있어 면밀한 조사와 주민들과의 소통에 노력을 기울이기를 희망한다.

No 제목 이름 날짜
3568 11월은 불조심 강조의 달  ×1 전민석 11-18
3567 구좌119센터, 의용소방대 전문성 강화 11월 정기교육 실시  ×1 구좌119센터 11-18
3566 추운 겨울, 안전을 위한 화재 예방 수칙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하상윤 11-18
3565 서귀포시노인보호전문기관, 한라대학교 학생 대상 노인인식개선교육 실시  ×1 서귀포시노인보호전문기관 11-17
3564 하나금융나눔재단, (사)제주YWCA에 지역사회 소외계층 지원 및 상생을 위한 …  ×1 (사)제주YWCA 11-16
3563 청렴(淸廉)과 함께 가는 길  ×1 김태현 11-15
3562 청년! 기후위기 대응을 말하고 실천하다.  ×1 김신관 11-10
3561 산불 예방으로 아름다운 국립묘지를 지켜나가자  ×1 국립제주호국원 시설팀장 박상언 11-09
3560 하귀에선 배추사러 해남으로 간다.  ×1 비밀글 하귀농협하나로마트 고영보팀장 11-08
3559 제주도의 말산업 발전을 위한 제언  ×1 ×1 비밀글 양창범 11-07
3558 도로 다이어트 도전! 제주대학교 이유라 11-07
3557 제3회 아태영리더스포럼 제주, 청년을 연결하여 미래를 그리다.  ×1 김신관 11-03
3556 이스라엘, 디지털화 그리고 제주 ICT페스티벌 행사  ×1 비밀글 제주도 정보전략팀장 정창보 11-01
3555 일회용 플라스틱 환경오염 위기 “더 이상 남 일 아냐”  ×1 양현상 10-31
3554 제주도민대학 탐라의 얼 아카데미를 참여하며  ×1 ×1 제주 밥상문화원 김양희 10-31
3553 서귀포시노인보호전문기관, LH주거행복지원센터(서귀포동홍6단지)에서 이…  ×1 서귀포시노인보호전문기관 10-30
3552 모두가 함께 만드는 청렴한 사회  ×1 제주도청 수산정책과 송은아 10-26
3551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대정적십자봉사회와 협력하여 취약가구 주…  ×1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10-25
3550 대정적십자봉사회,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과 ‘시원한 가을 나들이…  ×1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10-24
3549 삭제글 비밀글 삭제글 10-24
3548 갯벌은 미래를 위한 최고의 자산이다.  ×1 고기봉 10-24
3547 해바라기를 닮은 제주의 아이들 전시회 개최  ×1 ×1 비밀글 박경환 10-23
3546 삭제 비밀글 삭제 10-23
3545 작지만 강력한 마법같은 친절의 힘  ×1 ×1 강은석 10-23
3544 작지만 강력한 마법같은 친절의 힘  ×1 ×1 강은석 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