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총회 결의문을 홍보하며
2017-11-12 23:16
|
|||
---|---|---|---|
박지수 (Homepage : http://)
|
|||
지금 OECD회원국 중 대한민국과 그 외에 32개국이 18세 선거권이 없습니다. 그리고 스코틀랜드 독립 투표에서는 16세 학생도 투표를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아르헨티나 의회에서는 16세 청소년에게 투표권을 부여 하였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16세 선거권도18세 선거권도 없습니다. 최근 우리나라 국회에서도 선거권 연령 하향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그런 만큼 우리 아동들도 청소년기 참정에 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책적 단어와 상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면 우리의 대비가 더욱 철저해질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결의문이 만들어진 이유를 소개 하겠습니다. 먼저 현황은 3~4 학년 때는 주민 자치의 권리와 주민 투표를 교육 하고 5~6학년에서는 헌법에 나타나는 국가에 기본 원리 와 국민의 권리 와의무를 교육 합니다. 문제점은 아동들이 신문이나 뉴스를 보다가 궁금한 정치 용어가 생길 경우, 쉽게 문의할 수 있는 시스템(홈페이지 게시판 또는 스마트폰, 어플 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신문이나 뉴스에서 빈번히 나오는 정치 용어는(‘여당/야당’, ‘진보/보수’, ‘인사 청문회’, ‘국정감사’, ‘추경’등)아동들이 이해하기는 어려운 단어입니다. 그래서 아동 총회에서 이러한 결의문이 만들어 졌습니다. 이 결의문은 아동에 관한 정책 결정에 당사자인 아동의 생각이 반영 될 수 있기 위함 입니다. “대한민국은 민주 공화국 이다. 모든 권력은 국민에게 있다.” 라는 대한민국 헌법 제1장 1조에 나와있습니다. 국민의 권리는 투표권인데 청소년은 국민이 아닌 것 처럼 청소년에게 투표권이 없는 것은 부당 하다봅니다. 저는 청소년 과 성인의 의견이 같이 반영 되는 날을 꿈꿔봅니다. |
|
제주 배경 '폭싹 속았수다' 검색어 패턴까지 바꿨다
제주동부소방서장 강성부·서부 김승용·서귀포 고정배
제주 읍면동 대강당·회의실 25곳 7월부터 도민 개방
[현장] "애써 키운 감귤, 맛있게 많이 먹어줬으면..."
'2년 차' 제주 출신 임진희 LPGA 투어 첫 정상 '쾌거'
제주도교육청, 교사 사망 사건 자체 조사 본격 착수
지난해 한반도 이산화탄소 배경농도 관측 이래 최고치
“뼈 보일 정도로 말라”.. 남방큰돌고래 ‘턱이’ 폐사 원…
노숙인·취객 단속하면 그만? 탐라문화광장 무질서 해법없나
[송창우의 한라칼럼] 새로운 세상이길
'버디 폭격기' 제주 고지우 KLPGA 2주 연속 우승 도…
제주도교육청, 난치병학생지원회 학부모위원 2…
검무부터 부채춤까지… 제주 초등학생 '여름 춤 …
입소문에 인기… 설문대할망 어린이관 '주말 예…
"교사는 교육에, 지역사회는 돌봄에" 제주교사노…
제주은행 올 하반기 정기인사 단행
제주도·한국노총 제주 방문 확대 협력
바닷 속 생명체에 깃든 '감정의 결'… 최혜원 '마…
거름 살포하다 그만… 손가락 절단 70대 병원 이…
자치경찰 후박나무 100여그루 무단 박피 50대 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