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장애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조기기 이용 하세요
2017-06-02 10:18
송순희 (Homepage : http://www.jatc.co.kr)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노인?장애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조기기 이용 하세요


송순희/제주장애인보조공학서비스지원센터 사무국장
제주장애인보조공학서비스지원센터는 제주도내 장애인과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과 자립생활 증진을 위하여 장애유형별 다양한 보조기기를 무료로 대여해드리는 사업으로 제주특별자치도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다.
2012년 4월 센터개소 후 매년 기능보강사업을 통하여 평소 수량이 모자랐던 보조기기 수요를 감안하여 품목과 수량을 적정하게 추가 구입하고 있으며 2017년 현재 305종 552개의 보조기기를 보유하고 무료대여 사업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용자 입장에서 볼 때 고가의 보조기기를 구입하였으나 신체특성에 맞지 않거나 신체변형으로 사용기간이 단기에 그칠 경우 교체비용의 큰 부담과 장애인가정에 경제적인 고통까지 겪게 된다.
이러한 애로사항을 예측하여 제주특별자치도 에서는 매년 기능보강사업예산을 편성해오고 있어서 다른 시도와의 차별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제주특별자치도의 보조기기대여서비스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문의하는 타 시도의 경우도 있다.
센터 이용자중 대여통계를 살펴보면 장애유형별로 봤을 때 지체36%, 뇌병변34%, 노인13%, 시각8%, 기타 9% 순으로 나타고 있으며 장애 등급별로는 1~2급 59%, 3급 이하 19%, 기타 22%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센터에서는 보조기기 대여서비스 외 보조기기 관리서비스 또한 중요하게 차지하고 있다. 전동휠체어나, 전동스쿠터, 수. 전동 휠체어 등은 이동 중 길에서 멈춰 버리는 경우가 있어서 장애인들을 난감하게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바로 현장으로 투입할 인력이 없어서 애를 먹거나 욕설을 듣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는 실정으로 향 후 인력문제의 보완은 제일 시급한 과제이기도 하다. 보조기기 관리서비스 또한 2016년 한해 767건으로 날로 증가하는 실정이다. 현재는 1:1 수리서비스의 한계가 있어서 지역복지관이나 장애인 밀집지역 아파트 관리사무소 연계로 찾아가는 서비스의 날을 정해서 보조기기 관리서비스 부스를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2017년 올해 부터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조기기대여 예약이 가능하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센터 내 보유 중인 290여종의 500여개의 보조기기를 실시간으로 예약이나 대여 신청이 가능하다.
이러한 좋은 사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 부재로 보조기기 대여기회를 놓치는 대상자들을 간혹 뵈었을 때는 죄송스러운 마음이 든다.
지속적으로 일선 읍, 면, 동사무소를 순회 방문하며 홍보를 하고 있으나 모자람을 느끼며 꾸준하게 다양한 매체를 통한 홍보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제주도내 노인, 장애인들의 자립생활 증진과 생활의 불편함 등 보조기기를 통하여 장애를 최소화 하고 기기를 통한 외부 생활, 사회생활, 취미생활, 청소년들의 학습참여 등 삶의 변화를 기대하며 더 안전하고 더 편리하게 더불어 함께 나아가는 제주사회를 기대해 본다. 보조기기관련문의는 www.jatc.co.kr (726-9669)

No 제목 이름 날짜
3593 [기고] 제주 바다에 일렁이는 플로깅 물결  ×1 양세하 12-09
3592 (사)서귀포YWCA, 제주여성친화도시를 위한 대중매체 성평등 시민모니터사업 …  ×1 (사)서귀포YWCA 12-08
3591 < 2023 강연소감 기록>세계시민강좌 [세계적인 로봇 공학자 데니스 홍, 특별…  ×2 홍수경 12-07
3590 (사)제주YWCA 고미연 회장, ‘제 28회 소비자의날’ 기념식 대통령 표창 수상  ×1 (사)제주YWCA 12-07
3589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예래동 찾아가는 복지상담소 운영  ×1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12-06
3588 물, 아껴야 마르지 않는다.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수연 12-04
3587 물, 아껴야 마르지 않는다.  ×1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수연 12-04
3586 피어나리다함께돌봄센터‘함께하는 김장 김치’ -김장김치 담그기&주변이…  ×2 피어나리 다함께돌봄센터 12-01
3585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찾아가는 복지 상담소 운영  ×1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11-30
3584 “제주특별자치도청소년자립지원관”, “탑동 365일 의원”과 MOU 체결  ×1 제주특별자치도청소년자립지원관 11-30
3583 별장 중과세 일반과세로 도내 지역 경제 활성화 기대  ×1 고종필 11-30
3582 포지티브 임팩트 메이커즈, 서부종합사회복지관에 심폐소생술도우미키트 2…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11-29
3581 감귤산업 상생을 위한 비규격 감귤 시장유통 근절 절실  ×1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감귤관리팀 이장 11-29
3580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운영위원회 개최  ×1 서귀포YWCA 11-28
3579 청년 맞춤형 정책 전달체계(청년이어드림) 시범운영 추진   ×1 김신관 11-28
3578 반디지역아동센터 창작연극 ‘우리는 연극배우다 LEVEL UP’ 발표회 진행  ×1 반디지역아동센터 11-27
3577 눈 속의 안전한 여정, 겨울의 한라산을 향해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하상윤 11-27
3576 거꾸로 환경 정책이 불러온 제주 내 일회용품 규제 휘청 잇따라...  ×1 강지윤 11-26
3575 기후변화로 사라지고 있는 특산품  ×1 김찬우 11-25
3574 전파분야 지역인재육성을 위한 전파측정 기술교육 특강  ×1 오철종 11-24
3573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청소년복지시설 숏폼 영상 공모전 수상  ×1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11-22
3572 전기자전거, 제주의 새로운 길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하상윤 11-21
3571 식습관 바꾸기로 기후위기에 맞서자! 비밀글 김혜빈 11-21
3570 환경오염에 대해 스스로 부담하는 환경부담금  ×1 안서영 11-20
3569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운다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홍준영 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