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1.『중론(中論)』에서 3제(三諦)란?
2022-02-15 01:59
|
|
---|---|
박규택(華谷).孝菴 公認 大法師 (Homepage : https://cafe.naver.com/parkgt1459)
|
|
한다—에 청목(靑目: 4세기 전반)이 주석을 단 인도 불교의 논서이다. 『중관론(中觀論)』이라고도 한다. 4권으로 되어 있다. 인도의 승려 구마라습(鳩摩羅什 Kumārajīva, 344~413)이 다소 수정을 가해 한역하였다. 『중론(中論)』에 포함된 청목의 주석은 『중송(中頌)』의 여러 주석들 중의 하나이다. 『중송(中頌)』은 용수의 초기 작품으로서 초기 및 중기 대승불교사상의 중요한 기초가 되었으며 그 후의 대승불교의 사상전개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삼제(三諦)란 세가지의 진리(眞理)라는 뜻. 즉 공의 원리인 공제(空諦), 가상의 원리인 가제(假諦), 양쪽 무차별의 원리인 중제(中諦)를 말하는 것으로 공제(空諦)란 진리는 소극적인 부정의 원리에 의해 표현되는 평 등의 원리를 말하며, 가제(假諦)란 적극적 긍정의 논리에 의해 표현되는 차별의 원리를 말한다. 중제(中諦)란 양쪽의 둘이 아닌 불이(不二) 즉 차별즉 평등의 원리로 설명 할 수 있다. 대승불교의 사상적 체계를 세운 용수(龍樹, Nagarjuna)의 대표적인 논서인 『중론(中論)』에서 살펴보면 용수의 사상은 한마디로 공(空)을 천명하는 공사상이다. 공이란 곧 존재의 본질을 밝히는 용어로 그 어원이 범어 ‘sunya’[순야(舜若)라 음사]인데 모든 존재는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불변의 속성이나 독립된 실체가 없다는 뜻이다. 여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통해 알아보기로 한다. |
|
민주노총 제주 “290원 찔끔 인상, 최저임금 취지…
제철 지역 농축산물 할인... 제주농협, 14일 직거…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5년 7월 11일 제주뉴스
제주 하논 분화구 핵심구역 사유지 매입 본격 착…
시민단체 “추자해상풍력, 도내 신재생에너지 …
제주여름 별미 ‘한치’ 사라졌다.. “고수온 서…
이 대통령 문체장관 후보 최휘영·국토장관 김윤…
추자해상풍력 공모 시작했는데… 해상 경계 여…
한지 위에 새긴 삶… 박철 작가 회고전 '흔적의 …
[문화쪽지] 드로잉으로 그린 '청춘의 단면' …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