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곶자왈 지역에 건립을 추진중인 LNG 복합발전소 조감도.
[한라일보]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일대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소 건립 사업이 탄소중립 역행 논란으로 도의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
25일 제주도 등을 상대로 진행한 제주도의회 제444회 2차 정례회 환경도시위원회는 예산 심사에서 '제주 청정에너지 복합발전 환경영향평가서 협의내용 동의안'이 심사보류했다.
한국동서발전(주)이 추진하는 이 사업은 제주시 동복리환경자원순환센터 인근 옛 채석장 부지 약 15만8333㎡에 150㎽급 수소혼소 복합발전 시설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수소혼소 발전은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기존 연료에 수소를 섞어 태워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수소 혼소 비율이 높아질수록 이산화탄소 배출이 감소한다. 그러나 최근 추가 설비 구축, 수소 생산·이동·보관 등 과정에서 감소량 이상의 탄소가 배출된다는 지적이 제기되며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다.
도의회에서도 발전소 건립 사업이 실제 탄소중립에 기여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이승아 의원(더불어민주당, 오라동)은 "얼핏 보면 청정 에너지,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처럼 보이지만 실상 내용을 들여다보면 화력발전소"이라며 "수소혼소 발전은 아직 실증단계로 그린수소를 사용한다고는 하지만 사실상 일반적인 발전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한다"고 지적했다.
정민구 위원장(더불어민주당, 삼도1동·삼도2동)도 "제주도에 신재생 에너지 전력이 남아돌고 있다고 들었는데 탄소를 발생시키는 발전소가 필요한지 의문"이라며 "수소혼소 발전은 계획일 뿐이고, 당분간은 힘들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황국 의원(국민의힘, 용담1동·용담2동)은 "발전시설은 혐오시설로 분류되는데, 사업이 시작되면 주변 지역 10개 마을에서 불만이 많이 제기될 것이다"라며 "관계 부서에서 사전에 갈등의 소지를 없애야 한다"며 "부지 인근 사유지 토지주에 대한 안내 및 설명회를 추진해야 한다" 주문했다.
■한라일보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