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남지역의 유일한 종합병원인 서귀포의료원이 만성 적자 운영으로 존폐의 기로에 섰다. 응급·중증치료 등 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정부와 제주도의 지속가능한 재정 지원 및 제도적 뒷받침이 시급하다. 사진은 서귀포의료원 전경
[한라일보] 제주 산남지역의 '마지막 의료방어선'인 서귀포의료원에 대한 정부와 제주도의 안정적 재정 지원과 제도적 뒷받침이 시급하다. 특히 만성 적자 경영에 따른 재정 압박이 커지면서 필수의료와 공공의료 지원에 대한 공백 발생은 물론 임금체불로 인한 의료진 이탈도 우려되며 행정 차원의 전향적인 관심이 요구된다.
▶공공의료 가치 추구… 경영은 벼랑 끝=서귀포의료원이 심각한 경영 위기에 놓여 있다
10일 서귀포의료원에 따르면 올해 병원 운영비는 731억원이지만 지원 받는 예산은 지자체 운영비 지원금 44억원, 인건비 지원 등 국·도비 사업지원금 41억원 등 85억원으로 전체 운영비의 11.6% 수준에 불과하다. 나머지 646억원(88.4%)은 자체 의료수익으로 충당해야 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수익성이 낮은 필수의료와 공공의료를 우선하고 주민 의료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비급여 진료를 최소화하면서 재정 압박은 가중되고 있다. 단 결과, 만성 적자가 이어졌고, 지난해와 올해 초에는 임금체불 사태도 빚어졌다.
이에 병원 내부에서는 "이대로 가면 의료원 차원의 필수진료 기능 유지 자체마저 위태롭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임금체불 등으로 전문 의료진 이탈 우려도 커지고 있다. 실제로 지방 공공병원에서 의료인력 확보는 전국적 과제이지만, 특히 서귀포지역은 그 위기가 더 빨리 닥쳐올 수 있다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의료원 문 닫으면 그 피해는 누구에게로=서귀포의료원의 경영 위기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서귀포 시민들의 응급·중증치료 체계는 사실상 붕괴된다. 긴급한 분만·소아 진료 기능이 무너지고, 감염병 대응 역량도 급락한다. 때문에 서귀포 시민들은 또다시 제주시나 육지로 향해야 하고, 그 과정에서 공공의료에 대한 소외와 의료 공백에 대한 불안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지역의 보건의료 관계자는 "서귀포의료원은 단순한 병원이 아니라 지역의 생명줄"이라며 "이곳이 무너지면 산남지역의 의료 공백은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커진다"고 우려했다.
이에 지역 차원을 넘어선 사회적 합의와 지원이 필요하다. 이미 각종 정책 토론회에서도 전문가들은 ▷중앙정부와 제주도의 안정적인 재정 지원 ▷지역 맞춤형 공공의료 강화 정책 ▷도민들의 공감과 지지 확보가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공공의료의 가치는 단순히 손익으로 계산할 수 없다. 응급 상황에서 한 명의 생명을 살려내는 것, 감염병 확산을 막아내는 것, 그리고 분만·소아 진료 등 필수중증 의료를 수월하게 제공 받을 수 있도록 의료체계를 확립하는 것. 이것이 서귀포의료원이 존재 이유라는 의미다.
서귀포의료원 관계자는 "지역간의 의료 격차는 단순한 불편이 아니라 생명과 직결된 문제이고, 의료원의 위기는 곧 산남지역 전체의 위기"라며 "정부와 제주도의 안정적인 재정 지원과 제도적 뒷받침을 통한 지속 가능한 공공의료 체계 확립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