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12월 4일 오영훈 지사 주재로 비상계엄 사태 관련 긴급회의가 개최된 모습. 제주도청 제공
[한라일보] 오영훈 제주도정이 지난해 계엄 당시 제주도청을 폐쇄했다는 의혹을 전면 반박하고 엄정 대응을 예고한 가운데 제주시민사회단체가 이를 두고 “윤석열과 닮은 꼴”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제주참여환경연대는 4일 논평을 내고 “스스로 제주도청 폐쇄 보도자료를 내고서 가짜뉴스에 대응하겠다는 오영훈 지사의 겁박은 누구를 향하고 있나”라고 질타했다.
단체는 “서울시를 비롯한 몇몇 지방정부가 계엄령에 따라 청사를 폐쇄한 것이 이슈가 되고 있고, 제주도도 도청을 폐쇄했기에 불법계엄에 동조한 것인지 의혹이 제기됐다”며 “광주광역시와 경기도는 청사 폐쇄에 반대하며 시민사회까지 포함한 긴급회의를 청사에서 연 것과 대조를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어 “제주도청 폐쇄와 자신의 잠적을 말하는 것은 ‘가짜뉴스’라며, 이를 언급하면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겁박하고 있다”며 “오 지사의 겁박은 자신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반대하는 모든 세력을 ‘반국가세력’이라고 규정했던 윤석열의 모습과 오버랩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스스로 계엄령에 따른 청사 폐쇄 보도자료를 냈고, 현장 상황을 담은 언론 보도와 여러 지방정부의 계엄에 대한 반응을 종합하면 도민들이 오 지사의 당일 행보에 의혹을 가지는 것은 당연하다”며 “떳떳하다면 모든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실체적 진실을 밝힐 수 있또록 협조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오영훈 지사는 4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도청 폐쇄 여부와 도청으로 오지 않았는지를 묻는 질문에 "폐쇄 지시를 내린 적이 없다"면서 "당시는 가장 핵심은 국회로 시민들이 모여 달라는 것이지 도청으로 가는 게 그렇게 시급했던 일인지에 대해서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오 지사는 또 계엄 발표 이후 행적에 대해 "경기도 오산에서 AI 관계자들과 식사를 하고 밤 9시 항공편으로 제주에 도착한 후 집에서 뉴스를 봤고 비서실장 등과 통화하면서 조치를 취했다"고 말했다.
오 지사는 이어 "새벽 1시반 회의가 중요한데 국회에서 계엄 해제가 의결된 후 상부의 지시가 있더라도 무장을 해서는 안된다는 메시지를 해군 9여단과 경찰에 전달했고 그렇게 하겠다는 답변을 받아냈다"며 "우리 공직자들은 철저히 대비하고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역할을 다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