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가족부의 여성 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사업 홍보 포스터 일부.
[한라일보] 제주 지역 취약 계층 여성 청소년 대상 '생리용품 지원 사업' 집행률이 전국 평균을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5월 말 기준 집행률도 전국 평균보다 낮아 맞춤형 홍보를 강화하는 등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여성 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사업'은 국비(50%)에 지방비를 더한 예산으로 추진되고 있다. 기초생활보장 수급, 차상위 계층, 한 부모 가족 대상 가구의 9~24세 여성 청소년을 대상으로 2025년 기준 1인당 월 1만4000원(연 최대 16만8000원)을 지원한다. 전년에 비해 1인당 지원액이 소폭 인상됐고 오프라인 신청 시 주민등록상 주소지와 실제 거주지가 다른 경우 현재 살고 있는 읍면동에서 접수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21일 제주도에 따르면 올해 제주 지역 사업 대상자는 4283명이다. 최근 3년 동안 매년 약 4000명 수준의 사업 대상자를 지원하기 위해 배정된 예산은 생리용품 가격 상승 등으로 증가해 왔다. 하지만 대상자에 대한 지원 비율은 별반 나아지지 않고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2023년과 2024년 제주 지역 사업 집행률은 전국 평균(2023년 84.6%, 2024년 76.7%)보다 낮은 78.9%, 69.5%로 각각 집계됐다. 2023년 4억7600만 원, 2024년 5억3400만 원을 지원 사업에 배정했지만 각 1억 원 넘게 사용하지 못했다.
올해는 이 사업을 위해 6억600만 원을 확보했다. 하지만 5월 말 기준 집행률은 19.2%로 전국 평균(21.2%) 이하였다. 대상자가 사업 신청을 하면 그달부터 지원이 되는 방식이어서 상반기 신속 집행 규모가 연간 집행률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제주도는 집행률을 높이기 위해 앞으로 읍면사무소나 동주민센터, 청소년 시설, 재활용도움센터 전광판 등 공공장소 홍보물을 상시 게시하고 SNS 등을 활용해 지속적으로 사업을 알리겠다는 계획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이용자들의 불편 사항을 반영해 카드 사용처 등을 더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며 "신규 신청 비율을 끌어올리는 것과 함께 읍면동과 월별 실적을 공유하면서 미사용자를 줄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