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하수 처리 방법 홍보, 도민이 더욱 체감할 수 있는 효과적 방법 마련해야
2022-04-28 01:00
|
|||
---|---|---|---|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 강지훈 (Homepage : http://)
|
|||
제주도에는 ‘지하수’라는 특유의 자랑거리가 있다. 지하수를 활용한 생수 ‘삼다수’는 2020년 기준, 출시 22년간 시장 점유율 1위를 놓친 적이 없다. 그만큼 제주의 지하수는 그 가치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지하수가 오염 받고 있다. 도내 개인하수처리시설의 급증 때문이다. 2007년 855개소, 2010년 4177개소, 2019년 1만 400개소 수준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개인하수처리시설의 경우 최종방류수를 하천에 방류해야 하나, 제주에는 이를 방류할 마땅한 하천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 지하로 침투시키고 있다. 생활 하수를 잘못된 방식으로 배출하게 된다면 그대로 오염에 노출되는 구조다. 제주도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해 올바른 생활 하수 처리 방법에 대하여 옥외 전광판, 버스정보시스템(BIS), 언론, 하수처리장 주변 현수막 게첨 등의 매체를 이용해 홍보하고 있다. 그러나 홍보의 효과가 적절한지에 대하여는 한 번쯤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여러 매체를 이용해 홍보하는 것은 긍정적이나 도민이 체감하기 위해서는 주민 교육, 공공 분리수거 안내 앱 개발 및 홍보 등 적극적인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식용유는 누구나 구하기 쉽다. 반면에 이를 올바르게 처리하는 방법을 아는 사람은 그에 비해 그리 많지 않다. 익숙하게 사용하는 만큼 이를 처리하는 방법도 그만큼 익숙하게 알고 있어야 근본적인 생활 하수 문제가 완화될 수 있는 법이다. 늘 제주의 환경을 보전하고자 진력하는 제주도 관계자들의 노고에 감사하는 마음이며 앞으로 더욱 효과적인 홍보 방안을 마련하여 제주도민 모두가 생활하수를 올바르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해줄 것임을 기대해본다. |
|
제주지방해양경찰청장에 한상철 경무관 취임
'혜성'처럼 나타난 구조대 정체는?… 3분 만에 익…
"지방외교 시대 앞장"… '제주선언'으로 막 내린 …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3년 6월 2일 제주뉴스
한마음병원 만성폐쇄성폐질환 적정성평가 1등급
제주 찾은 류호정 "월정리 하수처리 공사 중단하…
"음악 소리 시끄러워"… 흉기 난동 30대 검거
[제주포럼] "제주, 로켓 발사 최적지… 지리적 이…
[제주포럼] 오영훈 "글로벌 복합위기, '지방외교'…
제주 기업·대학 이을 '산학협력관' 문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