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품 없는 제주, 미래 세대를 위한 약속
2022-04-06 12:15
|
||||
---|---|---|---|---|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고민희 (Homepage : http://)
|
||||
1회용품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위생적이어서 우리의 생활 습관 속에 녹아 있다. 하지만 이름 그대로 한 번 쓰면 쓰레기가 되는 환경에 치명적인 단점을 지닌다.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1회용품을 줄이기 위해 여러 가지 대체품들을 사용해야 한다. 그 중 텀블러는 환경보호의 대표주자로 떠오른다. 이는 재사용할 수 있으며, 재질에 따라 플라스틱 컵보다 보온·보냉에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일부 카페에서는 텀블러 사용 시 할인 혜택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일부의 사람들은 텀블러를 사용하면서 환경 보호에 동참한다. 동시에 여러 회사들은 한정 판매 전략으로 소비자의 수집 욕구를 자극한다. 친환경이라고 판매되는 텀블러가 수집의 대상이 된 것이다. 환경을 위한 행위가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현상인 ‘리바운드 효과’가 발생한다. 텀블러를 필요 이상 다량 구매하고, 이를 방치하면 자원이 낭비된 셈이다. KBS와 기후변화행동연구소가 시행한 텀블러, 일회용 컵을 만들고 폐기하는 전 과정에서 나오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비교한 연구 결과 텀블러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플라스틱 컵, 종이컵에 비해 각각 13배, 24배 정도 많았다. 하지만 텀블러를 꾸준히 사용하면 결과는 역전된다. 텀블러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는 지날수록 커지기 때문에 이를 오래 사용한다면 일회용 플라스틱 컵보다 환경오염 개선에 도움이 된다. 즉, 텀블러를 오래 사용해야 환경에 보탬이 된다. 일회용 컵, 빨대, 비닐봉지 같은 지구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불필요한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우리의 행동을 변화시키고 익숙했던 일회용품들과 완전히 이별할 때다. 우리 자신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그리고 다음 세대의 더 나은 미래를 남겨주기 위해, 지금부터 천천히 플라스틱 없는 생활을 시작해보자. 플라스틱컵 대신 개인 텀블러를 들고 오는 것이 자연스럽고 당연하게 여겨지는 날이 빨리 오기를 기대한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고민희 |
|
[종합] 제주 기획조정실장 양기철·서귀포 부시장 김원칠
‘작별하지 않는다’ 표선 한모살 4·3학살터 표지석 어디로
[해설] 제주도 2025년 하반기 정기인사 배경은…
구좌농협 송철주·오복민 부부, 7월 '이달의 새농민상'
서귀포시 문화관광체육국장에 오철종 승진
K-원예 희망 키우는 제주살이 4년차 권현진 대표 [제주愛]
[고나해의 하루를 시작하며] 여름철 제주 농산물, 해상 물류…
제주시 소통지원실장 오수원, 내부 공모 일도2동장 강경임
[사설] 추자 해상풍력단지 공정하고 투명하게
[사설] 민생회복 소비쿠폰, 내수 진작 마중물로
언론노조 JIBS제주방송지부 “대표이사 명예훼손…
[긴급진단] 한화 애월포레스트 사업 문제 없나 (…
[한라포커스] 2학기부터 시작되는 제주도교육청 …
서귀포시초등생 대상 여름방학 프로그램 풍성
제주트라우마치유센터 운영비 전액 국비 지원 …
제주지역 아파트 입주율 다시 꺾여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5년 7월 10일 제주뉴스
[책세상]시들지 않는 사랑 별곡… 한문용 '색바…
우도 기초질서 집중단속에 140건 적발
제주 공공기관 통합공채 평균 경쟁률 11.8대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