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제주감귤박람회가 주고 간 선물
2020-12-16 11:33
감귤박람회조직위 (Homepage : http://)
2020 제주감귤박람회가 주고 간 선물

양병식 감귤박람회조직위원장

2020 제주감귤박람회가 15일간의 대장정의 막을 내렸다.
「제주감귤, 새로운 도전과 희망!」이라는 주제로 펼쳐진 감귤박람회는 코로나 19의 어려운 여건 속에서 많은 고민과 함께 온라인 비대면으로 변경하여 추진을 한 결과 성공적으로 마무리 되었다.
도내 외 대부분의 행사가 취소되거나 축소되는 상황이었지만, 제주감귤박람회는 오히려 확대하였고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었다고 자평해 본다.

2020 제주감귤박람회의 주요 특징을 몇 가지로 요약해보면,
첫째, 행사기간을 종전 5일에서 15일로 대폭 늘려 잡았다는 점이다.
둘째, 역대 박람회에서는 없었던 우체국 쇼핑몰과 온라인 홈쇼핑을 통해서 감귤과 감귤가공제품에 대한 기획판매전을 운영하였다.
셋째, 박람회 홈페이지를 도내에서는 최초로 3D형식으로 재편 구축하여 박람회 실재상황 접근성을 높였다.
넷째, 농기자재전시관 온라인 운영으로 전국적 홍보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다섯째, 감귤품평회 수상 농가의 고품질 감귤 드라이브 스루 판매를 통하여 생산 농가와 소비자와의 쌍방향 소통의 기회를 제공한 점 등이다.

그리고 이번 2020 제주감귤박람회의 주요 성과를 분석해 보면,
도내 최초로 3D 디자인의 홈페이지를 구축하여 운영한 결과, 기간 동안 홈페이지를 크릭하여 방문한 인원이 총 180만 명으로 나타나서 우리 국민들께서 제주감귤박람회에 엄청난 관심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제주우정청과 이마트 및 제주감협과 MOU를 맺고 우체국 쇼핑몰과 이마트 매장을 활용하여 품평회 수상 감귤 및 우수 감귤, 감귤가공제품을 판매한 결과 박람회 기간 중 총 18억 원이라는 매출을 올릴 수 있어서 우리 농가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줄 수 있었다.
이중 농기자재 온라인관을 개설하였는데 총 65개 기업에서 동참해 주셨고, 200여 건의 상담을 비롯하여 8억 원 이상의 매출을 올릴 수 있었다는 것도 전에 없었던 새로운 성과라고 여겨진다.
또한, 2일간 감귤품평회 수상감귤 드라이브 스루에서는 당초 계획시간보다 훨씬 일찍 완판을 할 수 있었던 것도 감귤박람회가 널리 각인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감귤 따기 체험에도 총 4천여 명이 참가하면서 전천후 인기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외에도 감귤품평회, 귤빛가요제, 감귤사진 공모전, SNS서포터즈 등 다양한 온 오프라인 행사 등을 통하여 제주 감귤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었다.
특히, 기간 중 감귤품평회에서 대상을 수상한 송두옥 농가가 우리나라 과수대전에서 사과, 배 등 모든 과일과 경쟁하여 6년만에 당당히 대상을 수상하게 됨으로써 제주감귤의 위상을 다시 한번 전국에 알리는 쾌거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박람회가 열릴 때마다 박람회장을 직접 찾아서 여러 전시관도 둘러보고 막걸리도 한 잔 하면서 정담을 나누시던 어르신들을 비롯한 농업인들께는 미안한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아무튼, 별다른 문제 없이 행사를 마치게 되었고, 종전의 행사보다 차별화 되었고 풍성한 수확을 거두었다는 평가들이다.
코로나라는 악조건에서 치러진 이번 행사의 제대로 된 평가는 도민들의 몫으로 남겨 둔다.
그동안 제주감귤박람회를 위하여 많은 지원과 협조를 해 주신 기관 단체장님과 감귤 농가 및 도민 여러분께 심심한 감사의 말씀을 드리면서 2021 제주국제감귤박람회가 가져올 선물을 기대해 본다.









No 제목 이름 날짜
2931 왜 좋은 일보다 나쁜 일이 더 오래 기억될까 김성일 05-30
2930 반복되는 사회적 폭력 이대로 괜찮을까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산아 05-28
2929 코로나19 시대 관광, 변화에 맞게 해야  ×1 비밀글 변정윤 05-28
2928 위기상황 똘똘 뭉치는 대한민국 근성 꺼내야 할 때(환경의 날 맞아 환경 보…  ×1 허예진 05-28
2927 농어촌민박, 재난배상책임보험에 6월9일까지는 꼭 가입하셔야 합니다  ×1 ×1 비밀글 김지훈 05-27
2926 목재수확, 임업선진국의 시작  ×1 산림조합중앙회제주지역본부 05-27
2925 코로나로 알아보는 제주관광 산업의 발전방향  ×1 비밀글 변정윤 05-27
2924 현대사회의 근본이자 무너진 무죄추정의 원칙  ×1 ×1 강산아 05-27
2923 무분별한 농약 사용 과연 안전한가  ×1 김지환(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5-26
2922 제주도 코로나 19 안전지대 아니야  ×1 ×1 강산아 05-25
2921 코로나-19가 불러온 ‘플라스틱 대란’  ×1 ×1 김소현 05-25
2920 2030 무공해차 전환 100 전기차의 효능과 혜택, 환경적인 결함은 무엇일까  ×1 강향기나 05-24
2919 식탁에 올라온 미세플라스틱, 플라스틱 사용 줄여야  ×1 김두아 05-24
2918 친환경 제주, 도시 숲과 공원이 답이다.  ×1 송민주 05-24
2917 전동 킥보드 편리함 뒤에 숨은 위험성  ×1 현수진 05-24
2916 기후위기 그리고 채식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정다연 05-23
2915 기후위기 그리고 채식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정다연 05-23
2914 제주 환상자전거길 제대로 활용이 되는가? : 환장자전거로의 전락  ×1 강지원 05-21
2913 개인형 이동장치(전동 킥보드) 안전하게 알고 타야 하는 ‘개인형 이동장…  ×1 김다빈 05-20
2912 가정의 달 5월, ‘가정위탁의 날’을 아시나요?  ×1 ×1 제주가정위탁지원센터 05-20
2911 바다의 날에 즈음하여  ×1 ×1 고기봉 05-18
2910 주거,복지를 통합한 고령자복지주택 확충을 바라며 고경희 05-17
2909 코로나19와 교통안전 결국 예방이 먼저-'안전속도 5030'정책 시민 동참이 절…  ×1 허예진 05-17
2908 [기고]안전한 교통 환경을 위해 불법 주·정차 이제 그만!  ×1 양지온 05-11
2907 (기고)‘길잃음 사고’ 예방, 우리모두 안전히 집으로  ×1 ×1 비밀글 노형119센터 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