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사이클링, 환경 프로그램으로 개발해보자
2020-12-02 13:23
김유미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업사이클링, 환경 프로그램으로 개발해보자

제주대학교 2학년 행정학과 김유미


업사이클링이란 재활용품에 활용을 더해 가치를 높인 제품으로 재탄생 시키는 것을 말한다. 업사이클링을 이용하여 재활용품은 컵, 가방, 가구, 커튼 등 다양한 제품들로 새롭게 탄생된다.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브랜드로는 프라이탁, 파타고니아. 얼킨, 이케아 등이 있다.
업사이클링을 이용한 것의 다른 방법으로 업사이클링 생존이 있다. 이번에 종영된 정글의 법칙-제로포인트에서는 업사이클링을 활용하여 촬영하기 전 자신이 사용하였던 쓰레기로 생존하는 이야기가 방영되었다. 업사이클링 제품뿐만 아니라 쓰레기와 재활용에 관한 우리의 인식을 바꾸기 위해서 정글에 법칙에서 사용한 업사이클링 생존을 프로그램화시켜 도입해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정글의 법칙에서는 자신들의 사용한 쓰레기로 불을 피우고 도구를 만들어 식량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러한 업사이클링 생존을 통해 쓰레기의 재발견이 가능하다. 이를 체험 프로그램화하여 실생활에 적용하거나 학교 환경 교육을 한다면 개인마다 쓰레기와 재활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이 바뀔 수 있다. 또한 쓰레기의 재활용을 통하여 배출되는 쓰레기양도 줄어든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업사이클링 생존만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업사이클링 제품을 직접 만들어보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므로써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는 것도 좋다. 코로나19가 심해진 이 상황에서 집에서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제품을 판매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배달과 포장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무분별하게 버려지는 쓰레기의 양도 증가하고 있다. 비닐의 사용량은 작년에 비해 11.1%가 증가하였고 플라스틱은 15.6%가 증가하였다. 쓰레기가 점차 증가하고 옳지 않은 재활용을 통해 바다로 땅으로 버려지는 쓰레기가 많다. 재활용의 습관을 제대로 들이고 업사이클링 제품과 업사이클링 생존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쓰레기를 줄여나가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끝으로 우리는 코로나19와 공존하는 일상을 준비해야 한다. 한 사람 한 사람이 개인위생수칙을 잘 지키고 사람들 간의 접촉을 줄이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는 것은 나를 지키고 나아가 우리 공동체를 지키는 일이기도 하다.

No 제목 이름 날짜
4018 (사)제주YWCA, '2025 소비자식품안전 정보교육' 진행  ×1 사단법인제주와이더블유씨에이 05-15
4017 하늘과 땅을 잇는 생명의 제주 용천수  ×1 김은신 05-12
4016 도노인복지관 산불 구호 성금 기탁 제주특별자치도노인복지관 05-12
4015 가정의 달, 가족의 가치를 다시 볼 시간  ×1 강지상 05-09
401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특별지원활동프로그램 '1분기 생일…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5-08
4013 혼자가 아닌 함께, 제주가치돌봄으로 따듯한 동행을 시작하세요  ×1 ×1 제주시 주민복지과 고수정 05-08
4012 자연재해는 막을 수 없지만,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1 장명서 05-07
4011 (기고)봄철 공사장 화재, 작은 주의가 큰 안전을 만든다.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한울 05-07
4010 구좌119센터, 구좌읍사무소에서 여름철 풍수해 대비 수방장비 교육 실시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경민 05-07
4009 2024년 사상 가장 더운 해, 해수면 온도 사상 최고치, 2025년에는 더 이상 좌시…  ×1 김제현 05-05
4008 제주 장애인 휠네비길, 모두를 위한 길이 되려면  ×1 김제현 05-05
4007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삼성드림클래스' 운영기관 선정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6 - - 04-29
4005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지원협의회와 함께하는 진로 특강' 운영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4 봄철, 안전한 산행을 위한 안전수칙  ×1 서귀포소방서 동홍119센터 문해민 04-29
4003 가정의 달 맞이‘청소년 주류 제공 주의보’  ×1 서귀포시 위생관리과 한정숙 04-29
4002 2025년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실무분과 민·관 협력 공동사업 시민건강…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04-28
4001 따뜻한 동행  ×1 윤매순 04-27
4000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자원봉사 기초교육’ 진…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4-25
3999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8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7 신재생에너지 포괄적 권한 이양과 관련하여  ×1 ×1 김정혁 04-25
3996 (기고)불법 소각, 그 감당 못할 책임에 경각심을  ×1 구좌여성의용소방대장 오춘미 04-24
3995 산불없는 제주를 위해 모두가 지켜주세요.  ×1 부재윤 04-22
3994 (기고) 한번에 뚝딱 완성되는 숲은 없다.  ×1 제주시 양은옥 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