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의 감상문
2020-08-19 14:47
오지현 (Homepage : http://)
"여기서는 먹고사는게 먼저야,,,
어디있을지 죽을지도 모르는 사람이 아니라, 여기있는 누군가가 너를 책임져줄 수 있을거야..
네 친구가 저기 있어... 저사람에게 간다면, 배는 안굶을거야...'
사랑때문에 울지마라..."
위는 영화의 한 장면 중 '마리아'의 대사이다. 이로 전쟁 후에 독일 여성들이 겪었던 문제점을 어떻게 풀어나가면서 살아남는지에 대한 생존의 방법을 보여주며 당시 독일 사회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담담히 드러내는 '마리아 브라운의 결혼' 영화에 대한 평을 전문가적인 면모보단 조금 서툴지만 적어보려한다.
배경은 1960년대 말 부터 1970년대에 걸쳐 독일에서 일어난 2차 세계대전 후의 독일 영화는 침체에 허덕이고 있었는데 60년대 영화 산업 외부에서 활동하던 일련의 젊은 영화인들에 의해 독일 영화가 부흥된 뉴 저먼 시네마 시기로 영화의 장면마다 사회성이 담겨져있는 것을 보아 인상적인 장면으로 손꼽을 수 있었다. 독일 사회의 황폐함과 참혹한 현실이 담긴 장교 한명이 버린 담배 꽁초를 차지하기 위해 여러명이 싸우는 장면과 남편을 잃어버리고 떠도는 '아낙네들'과 포탄 습격을 받은 듯한 건물을 나타내는 세트들을 보아 전쟁 중이나 전쟁 직후 독일 사회를 사실적으로 구현된 모습이 나타났다. 더나아가 생각하자면 우리나라의 6.25전쟁을 떠올릴 수 있었다. 여기서 우리는 문제를 한 번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과연 전쟁 후에 우리나라나 독일에서는 얼마나 많은 '마리아'와 같은 여성들이 있었을까? '그 대답은 분명히 있었을 것이다'라고 확신한 대답이 마리아의 모습과 대사를 통해서 말할 수 있다.

"이 넓은 세상에 한 사람 뿐이랴?
바다에 고기가 한마리 뿐이랴?
날 기쁘게 하는 모두를 사랑하리라..."
이는 당시 여성들은 남자하나에 매달릴 필요없이, '살기위해' 다른 남자들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마음을 대변하는 노래로 자신의 몸을 팔아가며 승진까지하는 모습을 통해 살아남는 방안으로 선택하였다. 또한 영화의 전반에는 가족끼리 화기 애애한 분위기와 전쟁 중에는 살아남기 위해 단합한 모습을 전쟁 후에는 '돈'과 '성공'의 유혹에 무너지고 마는 마리아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같은 여성으로서 마음이 아프고 그녀가 안쓰러웠다. 돈과 성공을 위해서라면 마다하지 않는 마리아의 모습을보며 독일 뿐만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여성들이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의문이 들었다. 전쟁을 통해 여성의 삶이 얼마나 비참하고 그 사회가 여성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도 알 수 있었다. 시대적 상황이 낳은 '마리아'라는 여인은 언제 돌아올지 모르는 남편을 배신하고 이익을 챙겨 미국 흑인인 '빌'을 선택한 파렴치한 인물로 보아야할지 혹은 살기 위해 어쩔 수 없는 행동이므로 그녀의 행동이 올바른 것인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하는지도 의문을 가질 필요가 있다. 남편을 배신하고 부도덕한 일을 한건 맞지만 그렇다고 무작정 나쁘게만 볼 수 없다. 우리 세대들이 '페피니즘', '성차별' 등의 문제도 여전히 발생하고 있지만 유사한 문제가 60년대 70년대에도 지금보다 가옥하게 '살아남기 프로젝트'를 하는 것을 표면적으로 느낄 수 있었다.
위에서 말한 마리아의 모습을 통해 '자본 주의'라는 체제 자체에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있는 파스빈더 감독의 날카로운 통찰을 통해 전후 독일 사회를 되돌아보는 것에만 의미를 둘뿐만아니라 영화가 자본주의 폐해의 심각성에 대해 다루고 있음을 깨닫을 수 있었다. 년도가 다를 뿐 현재 살아가고 있는 모든 사람들이 자본주의 세상이라고 입이 닳도록 말해 힘겹게 살아가다 삶을 포기하지는 않는지에 대해 생각을 해본 계기가 되었다.
이 영화를 통해 시대적 사회 상황에 맞춰 세상에 살아가는 방법에는 정답이 없다고 보지만 쉽고 편하게 생각할 것들의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 임금 문제, 노사 문제, 인종 차별 등의 이러한 문제들과 같이 발생되는 '여성 문제'도 매년 새롭게 문제 인식이 되는 부분이다. 우리가 합의를 보면서 적정선을 말하지만 해결이 안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그만큼 문제 해결방안은 우리가 천천히 대범한 마음을 가지고 그것을 변화시킬 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이 글을 마친다.






No 제목 이름 날짜
2778 (기고)공공장소에서 지켜야 하는 필수 에티켓   ×1 이호동주민센터 김정희 11-19
2777 [독자투고] 코로나19 재확산, 로컬푸드로 이겨내자  ×1 비밀글 임관규 11-18
2776 [기고]농촌에 부는 스타트업 바람을 기대하며  ×1 송민형 11-17
2775 (독자투고) 어울림과 멀어짐으로 계획하는 김장김치 담그기  ×1 유승훈 11-17
2774 [기고]우리 집 안전한 겨울나기 첫 걸음, 주택용소방시설  ×1 양승호 11-14
2773 (기고)고향을 지키는 슬기로운 선택, '고향세'  ×1 임규현 11-12
2772 체육종목별회장선거에대한우려  ×1 김병우 11-12
2771 제2공항 여론조사를 말하다  ×1 오병관 11-09
2770 칼럼 기고 문의  ×1 비밀글 김성일 11-08
2769 비상구는 생명의 문! 절대 막지마세요  ×1 ×1 동부소방서 표선119센터 이정훈 11-08
2768 (독자투고) 농업인의 날! 농업에서 찾은 희망  ×1 유승훈 11-07
2767 조천청소년문화의집‘개관기념 지역 간담회’ 개최  ×2 조천청소년문화의집 11-06
2766 서귀포시노인복지관 치매예방홍사업 일자리를 하면서...  ×2 김원 11-06
2765 서귀포시노인복지관 노인여가활동지원사업 일자리를 하면서....  ×2 임용국 11-06
2764 (기고)농촌의료공백, 공공의료로 다시 접근하자  ×2 임규현 11-05
2763 포스트코로나19 이후 변화하는 스포츠  ×1 ×1 비밀글 이로숙 11-05
2762 귀덕초등학교 자전거 하이킹 실시 비밀글 귀덕초등학교 11-04
2761 [독자투고] 전통차 한잔 할래요  ×1 비밀글 임관규 11-04
2760 [기고] 생애최초로 주택을 구입하는 제주시민을 위한 취득세 절세방법 공개  ×1 ×1 조천읍사무소 11-04
2759 이제는 채용면접도 화상면접이 대세!  ×1 한재복 11-03
2758 로타리클럽과 소아마비  ×1 ×1 강성준 10-29
2757 간호간병통합 서비스 확대를 기대하며  ×1 고기봉 10-28
2756 가을철 야외활동 시 야생진드기 감염 주의해야  ×1 비밀글 정정식 10-28
2755 코로나시대, 홈족을 위한 반려식물 키우기  ×1 비밀글 정정식 10-28
2754 조류독감 확산방지를 위한 철저한 방역필요  ×1 비밀글 정정식 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