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산비닐' 사용 줄여 제주환경 되살리자!
2019-09-15 14:04
정지영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우산비닐’ 사용 줄여 제주환경 되살리자!

때늦은 가을장마로 인해 제주의 날씨는 며칠째 흐림이다. 비를 피하기 위해 우산을 쓰고 물 고인 길을 걷다 보면 옷이나 신발에 빗물이 튀진 않을지, 잠시 긴장의 끈을 놓았다가 길에서 미끄러지는 건 아닐지 걱정이 된다. 다행히 실내에선 건물 입구에 비치된 우산비닐 덕에 우려가 사라지지만, 반대로 잠깐 쓰고 버려져 복도 전체에 널린 비닐 쓰레기들을 보면 양심의 가책이 드는 게 사실이다.

일회용품들의 단점은 삶을 편리하게 하는 만큼 환경을 해친다는 점이다. 우리가 무심코 쓰다 버린 우산비닐의 국내 연간 사용량은 공공 부문만 해도 무려 1억 장이 넘는다. 재활용이 가능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해 제작되지만 물기에 젖으면 활용 불가능하며 소각이나 매립 또한 어렵다. 사용자들 역시 제대로 수거를 하지 않으니 우산비닐 이용의 결과는 어떻게든 환경오염의 야기로 수렴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까?

첫째는 친환경 우산 빗물 제거기의 설치다. 극세사 패드 털이 원리를 이용한 이 제거기는 추가 유지비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우산비닐 사용의 가장 큰 원인인 미끄럼 문제 역시 예방할 수 있다. 우산을 좌우로 흔들기만 하면 빗물이 제거되기 때문에 방법이 간편하며 전기가 쓰이지 않아 에너지 절약에 도움이 된다. 실제로 제주도청 등 몇몇 공공기관에서 이용되는 중이지만 여전히 그 숫자는 손에 꼽을 뿐이므로 도내 설치 범위의 확대가 다급한 시점이다.

다음으로는 친환경 우산 커버 레인트리 캠페인이 있다. ‘레인트리 캠페인’은 최근 일회용 우산 커버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사회적 문제가 된 것에 착안, 방수원단의 자투리로 재사용이 가능한 우산 커버를 제작해 기존의 비닐 우산 커버 대용으로 사용하는 친환경 캠페인이다.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개인의 노력 역시 필요하다. 미끄럼 사고가 걱정된다면 실내로 들어오기 전 반드시 빗물을 털고 들어오는 습관을 들이자. 여의치 않을 경우엔 우산을 구매할 때 동봉되는 커버를 이용하는 것 또한 좋다. 비록 휴대 및 관리는 번거롭겠지만 우리의 행동이 환경에 끼칠 영향을 생각하면 마냥 편의만을 추구할 수도 없는 노릇 아닌가.

끝으로 환경 개선은 어느 한 쪽의 노력만으로 이뤄지는 게 아님을 염두에 두고 우리 모두가 포켓용 장바구니를 휴대하고, 보온병이나 머그잔, 텀블러 사용을 생활화 한다면 세상은 바뀐다. ‘세상을 바꾸는 우리’가 되리라. 바뀐 세상은 자연생태계가 정상적으로 돌아가고 있으리라.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정지영


No 제목 이름 날짜
2557 사회적기업활성화 제주네트워크 ‘너도나도 우산 함께쓰기’ 사회적기업 …  ×2 서귀포YWCA 12-13
2556 안전한 겨울나기! 우리 모두 함께 노력해야  ×1 ×1 제주특별자치도 재난대응과 송승효주무관 12-13
2555 민식이법과 제주 스쿨존 운영 실태 비밀글 현원준 12-12
2554 일회용품 줄이기 선택이 아니라 필수!  ×1 현원준 12-12
2553 (주)JPM과 혜정원의 볼링나눔 무료 봉사  ×1 제이피엠 12-11
2552 누구에게나 떳떳한 ‘깨끗한 손’  ×1 현다솔 12-11
2551 우리사회의 청렴과 공정에 대한 열망  ×1 고준영 12-10
2550 제주지역, 방과 후 학교 두뇌계발 한자속독 길 열려..  ×1 오창수 12-10
2549 사회적기업활성화 제주네트워크 ‘사회적경제 인식개선 교육’ 진행  ×1 서귀포ywca 12-09
2548 페트병 재활용 분리수거 대비해야  ×1 최유진 12-09
2547 노인일자리(치매예방홍보사업) 를 참여하면서..  ×1 김 원 12-09
2546 기고  ×1 고기봉 12-08
2545 서귀포시진로교육지원센터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1 서귀포YWCA 12-07
2544 수소사회로 나아가는 길  ×1 김민기 12-06
2543 「서귀포시진로교육지원센터 "꿈what"」 학부모진로교육 개최  ×1 서귀포시진로교육지원센터 12-03
2542 악성댓글, 뚜렷한 해결책 나련 시급  ×1 신수미 11-30
2541 서귀포시진로교육지원센터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1 서귀포YWCA 11-30
2540 기고  ×1 오병철 11-29
2539 청정 제주, 건전한 광고물부터  ×1 김승민 11-29
2538 손 효만씨 한시집 두 권 『설성절마집』 『설성구고집』 발간  ×1 비밀글 양은숙 11-29
2537 다함께 공유 할 수 있는 도심 미니 공원 조성 사업을 기대하며  ×1 김덕현 11-29
2536 제2공항을 둘러싼 오해와 갈등 '제주도가 시끄럽다'  ×1 김민성 11-27
2535 재활용도움센터는 우리 모두에게 이로운 정책 비밀글 이은진 11-25
2534 불법 광고물은 이제 그만  ×1 한림읍 11-25
2533 지구온난화에 대응하여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1 배창인 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