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정부가 다음 달 말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중국 단체관광객 한시적 비자 면제를 시행하기로 했다. 제주도에 한해서만 가능했던 비자 면제가 전국으로 확대되면서 제주 관광 산업 전반에는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와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광 활성화 미니정책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다음 달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중국 단체 관광객 대상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기로 했다. 이날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 규제 합리화 TF에서 신속추진 과제로 선정해 정부에 제안한 데에 따른 것이다.
정부는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이 방한 수요를 유발해 내수를 진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은 지난해 11월부터 우리 국민의 무비자 입국을 허용한 바 있다.
국정기획위원회도 "방한 관광 3000만명 시대를 열기 위해 외국인 관광객 입국 불편사항을 해소하고 불합리한 규제를 현실에 맞게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확대를 신속 추진 과제로 선정했다.
하지만 제주에서는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전국 확대가 제주 경제에는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중국인 관광객은 지금까지는 제주에서만 개인·단체 관광객 모두 비자 없이 30일간 체류할 수 있었기에 무비자가 전국으로 확대되면 굳이 제주를 찾을 이유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제주관광공사가 발표한 '2025년 1월 제주 외국인관광객 입도통계'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제주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9만6964명으로 전국 점유율 26.6%를 기록하고 있다.
제주도는 이번 한시적 비자 면제에 대응해 마케팅 강화에 나선다는 방침이지만 타 지역 관광객 유출을 막을 수 있을 지 미지수다.
한편 정부는 이날 국제회의 참가 외국인의 입국 편의를 높이기 위한 우대심사대(패스트트랙) 혜택 대상을 확대하고 의료관광 우수 유치기관 기준에 '외국인 환자 유치실적'을 포함하는 내용도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