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점포들도 골목형상점가로 등록이 가능합니다.
2022-08-01 20:30
|
||||
---|---|---|---|---|
문원영 (Homepage : http://)
|
||||
이전까지 ‘전통시장법’상 영업점포 중 도·소매 점포 비중이 50%를 넘어야 전통시장 또는 상점가등록이 가능했다. 음식점 등 ‘용역점포’가 밀집한 골목상권은 아무리 큰 상권을 형성하고 있어도 시장으로 등록할 수 없었다. 그러나 ‘골목형상점가’ 지정 조례가 신설되면서 달라졌다. 2,000㎡ 이내 면적에 영업중 점포가 업종에 관계없이 30개 이상 밀접한 곳은 ‘골목형 상점가’로 정할 수 있게 되었다 골목형상점가 지정신청은 ①등록신청서(영업 상인 1/2이상 동의, 구역도면, 상인명부) ② 상인회 등록신청서(상인 1/2이상 동의, 정관 등)를 제주도에 제출하면 된다. 서류심사, 현장 확인 후 14일 이내 지정된다. 골목형상점가도 시설 및 경영환경개선,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등록 등 기존 전통시장 및 상점가와 마찬가지로 각종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정부에서도 시장 및 상점가 활성화사업을 골목상권 활성화로 확대 개편하고 있다. 중기부 “상권르네상스 활성화 공모사업“은 인프라, 특화상품 브랜드 개발 등에 최대 5년간 120억원~60억원이 되는데, ’23년부터는 지역상생구역과 자율상권구역으로 지정이 되면 공모에 참여할 수 있다. 지역상생구역은 ①도시계획법상 상업지역이 50% 이상 ②일정수준(100개) 이상 점포 밀집 ③평균 상가임대료가 최근 2년 동안 조례로 정하는 비율(5%) 이상 초과 상승 시 지정될 수 있다. 자율상권구역은 지사업체 수와 업체 평균 매출액, 인구 수 등 3개 항목 중 2개 이상이 연평균 계속 감소하면 지정될 수 있다. 우리도에서는 도심과 골목상권에 특색있는 상권을 보호하고, 활성화 될 수 있도록 관련 조례제정과 다양한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골목 상점들도 상인들의 자체 노력을 시작한다면, 조금 더 빠르게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
|
꿈바당어린이도서관 "제주어의 즐거움"… 여름…
코미디 연극 '고스트'… 26일 김정문화회관 공연
제주연구원 도민행복연구실장 윤원수, 지속성장…
금전 부탁 거부하자 분신 소동… 60대 검찰 송치
외국인 아내 폭행·흉기 위협 50대 구속… 피해자…
문대림 "현장 목소리 의정활동 반영".. 12일부터 …
'페페의 꿈' '커다란 방귀'… 제주서 가족 뮤지컬
복지우편 배달 제주 집배원 소중한 생명 구했다
내년 최저임금 2.9% 오른 시간당 1만320원..월 215만…
자살률 높은 제주, 고위험군 조기 발견 등 대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