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일상회복 그리고 농업인의 날
2021-11-02 22:21

원본 이미지 보기
“추수하는 제철에도 농사꾼들은 쌀밥을 먹지 못한다. 명절이라고 쌀밥을 양껏 먹을 수 있는 집은 흔하지 않았다.” (토지 1부 4권 p22)
토지 1부의 시대적 배경은 1897년 한가위에서 1908년 5월까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 시기는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된 때로서 자연재해 뿐만 아니라 인재(人災)에 의하여 대다수의 국민이 기아에 허덕이고 있었다. 하지만 시기의 특별함 때문은 아니었다. 그 이후에도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일은 우리에게 가장 시급한 과제였다. 1970년대초까지도 농업은 한국의 가장 중요한 산업이었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경제가 본궤도에 오르자 농업은 그 자리를 2차, 3차 산업에 내주기 시작한다. 이제는 농업이 국민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 아래로 떨어졌다. 농업보다 다른 산업이 더 높은 성장 가능성을 가지게 되자 사람들은 농촌을 떠나기 시작했다. 이제 농업은 한국의 가장 중요한 산업이라는 지위에서 정부의 지원이 없으면 버틸 수 없는 산업으로 전락하였다. 우리는 농업이 우리의 삶을 지탱해 주는 가장 중요한 산업이라고 이야기 하면서도 스스로는 농업에 종사하려고 하지 않는다.

하지만 코로나19는 이러한 우리의 생각을 바꾸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0년초부터 코로나19라는 전염병이 우리 삶을 송두리째 뒤집어 놓았다. 전염병앞에 경제대국도 봉쇄를 실시했고, 세계주요 도시들이 셧다운 되었다. 올림픽이 연기되고, 수많은 사람들이 기아선상에 놓이게 되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라는 바이러스도 인간이 자초한 것임을 인정한다. 성장의 속도를 높여가며 자연을 파괴해 인간의 이기심을 극도로 끌어올린 것이 주요 원인이라는 것이다.

코로나19와 기후변화의 재앙은 자연의 소중함과 농업의 다원적 가치에 대해 재평가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농업은 먹거리 제공 이외에 환경을 보호하고, 생태계 다양성을 유지하고, 홍수를 방지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하고 있다. 농업, 농촌, 농업인은 그 자제로 자연이다.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이제는 우리 인간이 살기 위해 이들을 찾고 있다.

우린 이제 일상으로 돌아가려고 한다. 많은 제한을 걷어내고, 여행도 자유롭게 하고, 공연도 볼 수 있다. 2년전의 일상으로 돌아가려는 시도를 하려 한다. 하지만 우리가 왜 코로나19라는 재앙의 상황에 놓이게 되었는지 잊지 말아야 한다. 산업화의 기관차에서 내릴 순 없겠지만, 우리가 살아남기 위해선 자연의 소중함과 농업의 중요성, 농업인의 소중함을 생각해야 한다.

삶이 지속되는 한 농업은 인간의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기본임을 생각하게 된다.
‘먹고 사는’ 문제에 관한 한 지구상의 인류는 자연앞에서 일대 위기를 맞고 있고, 위기 극복을 위한 시도가 세상 각처에서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다. 11월 11일 농업인의 날은 그동안 삶의 후면부로 밀려났던 농업, 농촌, 농업인을 우리 삶의 전면부로 가져오는 날이다. 그래도 희망은 농업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102 산불 등 부주의 화재는 예방이 최우선  ×1 ×1 남원119센터 소방교 오성룡 03-23
3101 강력한 지도자  ×1 ×1 문석부 03-22
3100 농업용수 스마트하게 관리해야  ×1 고기봉 03-21
3099 인명을 구하는 비상구신고포상제  ×1 ×1 동부소방서 정용택 03-21
3098 장난으로 시작하는 학교폭력 이제 그만!!  ×1 서귀포경찰서 경위 이세희 03-18
3097 (기고)감귤원 간벌과 품질관리가 중요하다  ×1 ×1 강준형 03-17
3096 제주 횡단보도, 안전하십니까?  ×1 김승화 03-16
3095 외도동 새마을협의회   ×2 외도동새마을협의회 03-14
3094 제주유나이티드FC 12번째 선수는 제주도민  ×1 서귀포시체육회장 김태문 03-14
3093 서귀포중앙교회, 애쓰는 의료진, 보건담당자 격려물품 후원  ×1 서귀포중앙교회 03-11
3092 4560꽃중년 공익활동 배움터 신청하세요!  ×1 김현주(제주공익활동지원센터) 03-08
3091 긴급차 전용번호판 통과시스템  ×1 고기봉 03-07
3090 우리는 모두 '모범운전자', '안전운전자' 인가?  ×1 오재환 03-06
3089 한림읍지역사회보장협의체 방역활동  ×2 임철종 03-03
3088 기고) 자치경찰 2.0시대, 새로운 도약을 향한 자치경찰기마대!  ×1 ×1 이명량 03-03
3087 제주 강소권메가시티 전략과 ‘중산간순환도로 추진’ 유감 - 환경친화적…  ×1 고창남 02-28
3086 기고(노인 교통사고 우리 모두의 문제다)0  ×1 고기봉 02-23
3085 국회의원님! 교육의원 후보자 등록해도 되나요?  ×1 ×1 고재옥 02-21
3084 코로나19 방역조치 최대 피해자 소상공인에 공감과 배려를  ×1 ×1 문원영 02-10
3083 (기고)화상의 올바른 응급처치  ×1 ×1 오라119센터 소방교 김수호 02-10
3082 시온빌자립생활관 2022년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의 자립역량강화사업 … 시온빌자립생활관 좌경은 02-09
3081 이제는 헬시플레져(Health Pleasure) 시대   ×1 ×1 제주특별자치도 방역총괄과 오미옥 02-07
3080 통합의 리더십은 경쟁의 아닌 공존의 길  ×1 고기봉 02-06
3079 면허증 제시, 이제는 모바일로도! 김범철 02-05
3078 투잡러 앞집 사장님! 엄지척 응원합니다. 소상공인지원팀장 문원영 02-05